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10/06/04 15:12:24
Name 그들이사는세
Subject 명예의전당 최종판 (골드,실버,안티크 클래스)
1. 골드클래스(Gold Class) - Personal Glory (개인의 영광)


- 개인리그에서 훌륭한활약상을 보여준 자에 대한 예우
- 총 우승횟수가 3회이상인 인물에게 주는 명칭




임요환(황제, 스타리그2회, MSL1회, 2002.04.14)

스타리그
2001.05.05 - 한빛소프트
2001.09.08 - 코카콜라

MSL
2002.04.14 - KPGA 투어 2002 1차




이윤열(천재, 스타리그3회, MSL3회, 2003.01.18)

스타리그
2003.02.14 - 파나소닉
2005.03.05 - 아이옵스
2006.11.18 - 신한은행 2006 시즌2

MSL  
2002.06.22 - KPGA 투어 2002 2차
2002.10.05 - KPGA 투어 2002 3차
2003.01.18 - KPGA 투어 2002 4차




최연성(괴물, 스타리그2회, MSL3회, 2004.8.29)

스타리그
2004.11.20 - 에버 2004
2006.03.04 - 신한은행 2005

MSL
2003.11.30 - TG삼보
2004.04.18 - 하나포스 센게임
2004.08.29 - 스프리스




박성준(투신, 스타리그3회, 2008.07.12)

스타리그
2004.08.01 - 질레트
2005.07.02 - 에버 2005
2008.07.12 - 에버 2008





김택용(혁명가, MSL3회, 2008.11.22)

MSL
2007.03.03 - 곰TV 시즌1
2007.07.14 - 곰TV 시즌2
2008.11.22 - 클럽데이 온라인





이제동(폭군, 스타리그3회, MSL2회, 2009.04.04)

스타리그
2007.12.22 - 에버 2007
2009.04.04 - 바투
2009.08.22 - 박카스 2009

MSL
2008.03.08 - 곰TV 시즌4
2010.01.23 - 네이트




이영호(최종병기, 스타리그2회, MSL1회, 2010.05.29)

스타리그
2008.03.15 - 박카스 2008
2010.01.17 - 에버 2009

MSL
2010.05.29 - 하나대투증권





골드라인 '임이최박택동호'
"우리는 골드라인"








+ 준골드라인(양대2회우승자)
'임이강최박택동호'

강민(몽상가, 스타리그1회, MSL1회, 2004.03.21)

온게임넷 스타리그
2004.03.21 - NHN 한게임

MSL
2003.07.19 - 스타우트


+ 준준골드라인(2회우승자)
'김임이강최박택동호'

김동수(가림토, 스타리그2회, 2001.12.28)

스타리그
2000.11.01 - 프리챌
2001.12.28 - 스카이 2001






2. 실버클래스(Silver Class) - Contribution to Team (팀 공헌)

- 팀단위 대회에 많은 출전하여 팀에게 많은 승리를 선물한 자에 대한 예우
- 프로리그에 출전하여 개인전,팀플 포함하여 100승을 넘긴자에게 주는 명칭


박정석

개인전 : 106전 43승 63패 (40.6%)
팀전 : 100승 68승 32패
총전적 : 206전 111승 95패 (54.1%)
100승 달성날짜 : 2009.02.18

이제동

총전적 : 235전 165승 70패 (70.2%)
100승 달성날짜 : 2009.03.28

김택용
개인전 : 155전 99승 56패 (63.9%)
팀전 : 26전 17승 9패
총전적 : 181전 116승 65패 (64.1%)
100승 달성날짜 : 2009.10.25

이영호
총전적 : 193전 143승 50패 (74.1%)
100승 달성날짜 : 2009.12.06

송병구
총전적 : 206전 124승 82패 (60.2%)
100승 달성날짜 : 2009.12.23

김윤환
개인전 : 160전 93승 67패 (58.1%)
팀전 : 48전 24승 24패
총전적 : 208전 117승 91패 (56.5%)
100승 달성날짜 : 2009.12.30

염보성
개인전 : 178전 116승 62패 (65.2%)
팀전 12전 8승 4패
총전적 : 190전 124승 66패 (65.6%)
100승 달성날짜 : 2010.01.12

윤용태
총전적 : 195전 113승 82패 (57.9%)
100승 달성날짜 : 2010.01.19

김구현
개인전 : 181전 105승 76패 (58.0%)
팀전 16전 10승 6패
총전적 : 197전 115승 82패 (59.0%)
100승 달성날짜 : 2010.03.07

이재호
개인전 : 172전 99승 73패 (57.6%)
팀전 16전 10승 6패
총전적 : 188전 109승 79패 (59.3%)
100승 달성날짜 : 2010.03.13

이윤열
개인전 : 150전 81승 69패
팀전 : 27전 19승 8패
총전적 : 177전 100승 77패 (56.5%)
100승 달성날짜 : 2010.04.17

신상문
총전적 : 162전 105승 57패 (64.8%)
100승 달성날짜 : 2010.04.27

오영종
개인전 : 185전 91승 94패 (49.2%)
팀전 : 21전 10승 11패
총전적 : 206전 101승 105패
100승 달성날짜 : 2010.05.30

"우리는 실버라인"





3. 안티크 클래스(Antique Class) - History of Starcraft (스타크래프트의 역사)

- 오랫동안 e스포츠에 기여하며 많은 공식전에서 활약을 보인 선수에 대한 예우
- 프로게이머로서 5년 이상, 300게임 이상 출전한 자에게 주는 명칭





임요환
개인전 : 428전 236승 192패 (55.1%)
팀전 : 26전 10승 16패 (38.5%)
총전적(공식전) : 454전 245승 209패(55.1%)
데뷔전 : 2000-01-01 Crezio 서바이벌대전 김정민


박태민
개인전 : 314전 167승 147패
팀전 : 24전 11승 13패
총전적 : 348전 178승 170패
데뷔전 : 2000-10-01 WCGC 대표선발전 유병준

조용호
개인전 : 351전 193승 158패
팀전 : 50전 32승 28패
총전적 : 401전 225승 176패
데뷔전 : 2000-11-13 MPGL League 이상헌

홍진호
개인전 : 352전 187승 165패
팀전 : 87전 56승 31패
총전적 : 439전 243승 196패
데뷔전 : 2000-12-10 iTV 게임월드 강도경

이윤열
개인전 : 652전 395승 257패
팀전 : 27전 19승 8패
총전적 : 679전 415승 265패
데뷔전 : 2000-12-17 iTV 게임월드 최인규

박정석
개인전 : 377전 186승 191패
팀전 : 101전 68승 33패
총전적 : 478전 254승 224패
데뷔전 : 2001-04-18 iTV 프로대길드 박정석

서지훈
개인전 : 382전 212승 170패
팀전 : 22전 10승 12패
총전적 : 404전 222승 182패
데뷔전 : 2001-03-14 iTV 프로대길드 이기석

강민
개인전 : 318전 177승 141패
팀전 : 49전 26승 13패
총전적 : 357전 203승 154패
데뷔전 : 2001-09-23 저그, izone배 제3회 김재훈T

박성준
개인전 : 372전 209승 163패
팀전 : 66전 38승 28패
총전적 : 438전 247승 191패
데뷔전 : 2002-09-25 2002 4th KPGA 임균태

전상욱
개인전 : 309전 182승 127패
팀전 : 6전 2승 4패
총전적 : 315전 184승 131패
데뷔전 : 2003-02-16 2003 1st 챌린지 이승열

최연성
개인전 : 321전 200승 121패
팀전 : 18전 10승 8패
총전적 : 339전 210승 129패
데뷔전 : 2003-02-16 2003 1st 챌린지 이재항

오영종
개인전 : 315전 158승 157패
팀전 : 22전 9승 13패
총전적 : 337전 167승 170패
데뷔전 : 2004-03-28 iTV 랭킹전 7th 심소명

염보성
개인전 : 324전 200승 124패
팀전 : 13전 9승 4패
총전적 : 337전 209승 128패
데뷔전 : 2004-08-20 2004 2nd 챌린지 윤종민

송병구
총전적 : 443전 265승 178패
데뷔전 : 2004-09-02 4th 마이너리그 박신영

"우리가 골동품(Antique)?"



참고 : 와이고수, 포모스
참고 : 개념은나의것,「양대리그 통산 커리어 랭킹」, 2007, http://cafe.naver.com/fafostar/194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마르키아르
10/06/04 15:18
수정 아이콘
수많은 기준들 가운데......

제가 보기엔 제일 괜찮은거 같네요..

고생많으십니다.+.+
귀염둥이 악당
10/06/04 15:22
수정 아이콘
좋은 정리네요.
민죽이
10/06/04 15:25
수정 아이콘
휴, 그래도 홍진호선수는 너무너무 아쉽군요.
Frostbite.
10/06/04 15:28
수정 아이콘
저기 골드라인에 왜 박성준선수와 김택용선수가 들어가 있는거죠? 양대 우승자라는 조건을 충족시키지 못하는거 아닌가요?
10/06/04 15:28
수정 아이콘
정말 좋습니다. 훈훈하네요.
완성형폭풍저
10/06/04 15:29
수정 아이콘
골드 클래스보다 상위개념도 하나 있으면 좋겠네요.
예전 본좌라인에 비해 무게감이 떨어지는듯해서요.
임이최마율~
10/06/04 15:34
수정 아이콘
앤티크 클래스에 속한 선수들이 가장 빛나보입니다.
누구보다 꾸준하고 스타 역사에 길이남을 선수들..

우리 뱅구는 데뷔전이 2004년이었었나요...벌서 6년정도...
10/06/04 15:37
수정 아이콘
앤틱에 오영종, 염보성 선수가 있는데... 전상욱 선수가 없다는게 슬프군요.
10/06/04 15:40
수정 아이콘
임이최동에 비해서 다른 선수들은 약간 무게감이 떨어지지 않나요? 이영호 선수는 현재진행형이지만 아직 3회우승인데 말이죠. 개인적으로 생각하는 클래스는
임이최동
박택호
정도일거 같네요.
완성형폭풍저
10/06/04 15:44
수정 아이콘
우승을 제껴두고 5회이상 결승진출이라는 조건이 있으면 우리 황신님께서도... ㅠ_ㅠ
바꾸려고생각
10/06/04 15:47
수정 아이콘
골동품-_-중 아직도 주전을 꿰차고있는 염보성,송병구 선수는 진심 대단하네요..
삼겹돌이
10/06/04 15:48
수정 아이콘
이거 멋지네요
데프톤스
10/06/04 15:50
수정 아이콘
이 정도면 정리될줄 알았는데 또 커리어가지고 사사껀껀 태클 거는 사람들이 생기네요..
E.D.G.E.
10/06/04 15:53
수정 아이콘
온겜 스타리그 우승자로 이름을 올린 김준영선수가 인연없던 MSL의 서바이버 부스에 있는 사진으로 나와있으니 약간 어색하네요..
안드로메다
10/06/04 15:55
수정 아이콘
5회이상 우승자는 3명이고 3회 우승자는 4명인데 5회우승자와 3회우승자도 따로 분류해야된다고 봅니다.
같은 우승회수라도 양대결승에 올랐고 양대우승을 경험한 선수를 더 높게 평가해야 된다고 봅니다.
Alan_Baxter
10/06/04 16:06
수정 아이콘
개인리그만 따지자면

플래티넘 - 5회 우승 이상 / 양 방송사 우승 (+ 골든마우스 혹은 골든 뱃지 획득?)
골드 - 3회 우승 이상 / 양 방송사 우승
실버 - 2회 우승 이상 / 4~5회 준우승 이상 (양방송사)
브론즈 - 1회 우승 이상/ 2~3회 준우승 이상

대충 이렇게 정리했는데, 이정도는 어떤가요?
뭐 그 이상 따져 보지만, 다이아몬드는 6회 이상 우승/골든마우스 - 골든 뱃지 모두 획득
서러움
10/06/04 16:09
수정 아이콘
우승만 기억하는 더러운 세상.....;;은 농담이고요;;;
프로리그 다승왕이나 승률 같은 기준은 그냥 무시되는 듯 하네요..
10/06/04 16:10
수정 아이콘
'플래티넘'라인 - 총 우승횟수가 '5회'이상인 인물에게 주는 명칭
임요환(황제, 스타리그2회, MSL1회, WCG2회)
이윤열(천재, 스타리그3회, MSL3회)
최연성(괴물, 스타리그2회, MSL3회, WCG1회)
이제동(폭군, 스타리그3회, MSL2회, WCG1회)

'골드'라인 - 총 우승횟수가 '3회'이상인 인물에게 주는 명칭
박성준(투신, 스타리그3회)
김택용(혁명가, MSL3회)
이영호(최종병기, 스타리그2회, MSL1회)

'실버'라인 - 총 우승횟수가 '2회'이상인 인물에게 주는 명칭
김동수(가림토, 스타리그2회)
강민(몽상가, 스타리그1회, MSL1회)
서지훈(퍼펙트, 스타리그1회, WCG1회)
송병구(총사령관, 스타리그1회, WCG1회)

'브론즈'라인 - 총 우승횟수가 '1회'이상인 인물에게 주는 명칭
스타리그
최진우(1999.12.30 - '99 PKO)
기욤 패트리(2000.05.16 - 하나로통신)
변길섭(2002.06.15 - 네이트)
박정석(2001.05.05 - 한빛소프트)
박용욱(2003.11.09 - 마이큐브)
오영종(2005.11.05 - SO1)
한동욱(2006.06.23 - 신한은행 2006 시즌1)
김준영(2007.07.21 - 다음)
김정우(2010.05.22 - 대한항공)
MSL
박태민(2005.02.06 - 당신은 골프왕)
조용호(2006.01.14 - 싸이언)
박성균(2007.11.17 - 곰TV 시즌3)
박지수(2008.07.26 - 아레나)
김윤환(2009.08.30 - 아발론)
WCG
이재훈


누적집계
1. 플래티넘 4명
2. 골드 7명
3. 실버 11명
4. 브론즈 26명

'구4대천왕(임홍이박)' 중 '플래티넘' 2명, '브론즈' 1명, '옐로우'1명
'신4대천왕(최강양박)' 중 '플래티넘' 1명, '골드' 1명, '실버' 1명, '브론즈' 1명
'택뱅리쌍' 중 '플래티넘' 1명, '골드' 2명, '실버' 1명



그리고,
2. 실버클래스(Silver Class) - Contribution to Team (팀 공헌)
-> 아너클래스(Honor Class) - Contribution to Team (팀 공헌)
흑태자
10/06/04 16:42
수정 아이콘
굳이 이글에서 정한 골드라인에서 나눠야 한다면

3회이상 우승 and 양대리그 우승 한 선수들과
3회이상 우승 or 양대리그 우승 한 선수들을 나누는게 좋을거 같습니다.

WCG는 명목상은 당연하지만 실질적으로는 포함하기 무게가 떨어지죠.

임이최이이
강박김
아류엔
10/06/04 16:55
수정 아이콘
오류 하나 지적해도 되나요? 이윤열 선수 아직 프로리그 100승
못하신걸로 압니다 지금 98승으로 알고 있습니다
신상문 오영종 이윤열 3선수가 11번째 100승선수에 가까웠는데
신상문선수가 먼저 달성했습니다
포스트 시즌이나 이런것 까지 합치신거면 오영종선수도 들어가야 하는건데...뭔가 이상해서

이런걸 볼때마다 느끼는데 10년가까이 난 어떤 프로게이머를 응원한건지..
제가 응원했던 선수는 단 3명만 속해 있네요
BoSs_YiRuMa
10/06/04 17:04
수정 아이콘
제동이가 앤티크 클래스까지 들려면 65전을 더 해야 하네요.
뭐 지금 화승 페이스로 보면 차기 리그안에는 달성할것 같지만..
제동이가 300전 되는 그 순간 제동이는 트리플클래스 달성이네요.
현재 트리플클래스 달성은 이윤열 하나뿐이네요..
KnightBaran.K
10/06/04 17:13
수정 아이콘
우승만 따지는 더러운 세상....
검은창트롤
10/06/04 17:18
수정 아이콘
그렇게 맘에 안들면 따로 기준 만들어서 정리들 하세요.
무슨 랭킹도 아니고 작성자가 묶고 싶은 기준으로 묶어서 정리했는데 이건 어쩌구 저쩌구 저건 어쩌구 저쩌구
만들고 정리하긴 귀찮고 말하는건 쉽죠?
좋은풍경
10/06/04 17:27
수정 아이콘
이거 좋네요. 추천합니다.
명예의 전단 최종판 답게 마음에 쏙 듭니다.
특히 많은 선수들이 열거 되어 있는 점이 좋군요. (물론 너무 많아서 골드말고 기억하기 힘들다는 점이 있으나. 크)
대부분 분들이 호응이 있다는 점도...

플레티넘이라는 초유의 클래스를 원하시는 분도 있군요.
저 같은 경우는.. 궂이 우승자 기준으로 클래스를 만든다면 3회로 족할 거 같구요.
정 플레티넘을 만들려면 6회 우승자, 즉 이윤열 하나면 될거 같습니다.

즉, 플래티넘이란 이름보다...
레전드 클래스. 우승 6회이상, 및 앤티크 클래스 포함되는 선수.
정 극소수만 들어가는 클래스가 있어야만 한다면 말이죠.

그게 아니라면 3회정도로 충분하지 않을까요.

참 그리고 글쓴 분께서 예전 글에서 안치셔서 잘못 올라온 거에요. 처음에는 양대 3회우승으로 하셨었는데,
사람들 의견 때문에 양대 상관없이 3회이상 우승자로 변경하셨습니다. 즉 위의 본문글이 수정되어야겠죠.

7명은 충분히 스타판에서 극소수라고 보이는데 말이죠. ^^

앤티크 클래스 역시 매우 마음에 듭니다.
다만 실버의 경우, 예전엔 프로리그가 지금과 달랐었던 시기, 없었던 시기를 감안해서... 좀변경해야되지 않나 싶기도 하지만,
큰 불만까지는 아니고요. 프로리그 중심의 명예의 전당이 하나쯤 있는 것도 괜찮기도 하고요.

여튼 대체로 골든클래스는 기준이 너무 명확하기 때문에 호응을 얻기 쉬울 겁니다.
한가지. WCG금메달도 우승으로 치면 저는 좋을 거 같지만... 이건 논란이 많긴 하군요.
충분히 개인리그 우승만큼이나 엄청 가치있다고 보는데 말이죠.
특히 임요환선수 초대 2연속 금메달은... 정말 황제다운 업적이고, 진정 전세계 챔피언이었다고 할 수 있는 부분이 아닐까.. 해서.

어쨌든 추천합니다.
본좌론을 대체할 확실한 기준이 되었으면 하네요.
그리고 자꾸 기준을 좀 빡빡하게 하고 싶은 분들이 계신데, 물론 명확하다면 빡빡해도 되겠지만,
원래 기준이 빡빡할수록 본좌론에 가까운, 주관성이 개입될 여지가 많아질 위험이 있습니다.
즉 논쟁과 떡밥을 불러오기 쉽다는 거죠.
그래서 저는 기준은 아주 명확하고도 간단한게 좋다고 생각합니다.(즉 3회이상 우승회수 같은 초간단 기준)
cutiekaras
10/06/04 17:28
수정 아이콘
갑자기 없던 wcg를 넣는건 좀 생소 하네요
열씨미
10/06/04 17:32
수정 아이콘
역시 기준에서 합의가 안되는군요.
승률이나 새 패러다임, 전략성 등등은 전혀 고려되지 못하는 분류구요.
wcg의 비중에 대해서도 의견이 분분하고.
골드클래스에서 본문에 '양대리그에서 모두 우승하고' 라는 언급이 분명 되어있는데도 본문에서 정한 기준조차 제대로 지켜지지도 않았구요.
그리고 이렇게 골드클래스라고 정해진다고 하여 그들이 과거의 본좌라인을 대체하는 선수들이라거나 최강자라인으로는 못받아들입니다.
말그대로 골드클래스의 기준을 채운, 양대리그 우승 + 총 3회이상 우승 을 충족한 선수들. 이게 다죠. 다른 기준은 고려조차 되지 않았으니까요. 실버, 안티크는 외우기도 힘드네요. 안티크 같은 경우는 오랫동안 e-sports에 기여한 선수...스타를 오래 봐왔다면 안티크 라인같은건 만들지않아도 알아서들 오래 활동한 선수들은 다 기억할 듯 하네요. 저 라인보다도 훨씬 더 구체적으로 말이죠. 임요환, 조용호, 송병구선수 등이 같이 묶여있는데 이 3명만 봐도 데뷔시기나 활동한 시기 등은 사실 굉장히 차이가 나죠. 안티크 같은것 만들지않아도 그런건 알아서 각자 더 자세하게 기억하고 있을테구요.

결론은 이런거 하지 말자. 입니다. 봤던 것중에 그래도 가장 납득이 되는건 시대구분론 이더군요. 사실 애당초, 임요환 선수나 이윤열 선수등을 김택용, 이제동 선수 등과 동일한 잣대로 평가한다는 것 자체가 부적합하다고 생각합니다.
cutiekaras
10/06/04 17:56
수정 아이콘
솔직히 저는 3회 보다 4회가 낫겠더라구요 wcg이런건 넣기좀 그렇고
제발좀요
10/06/04 18:08
수정 아이콘
임요환 선수가 안타깝네요..

지금의 양대리그가 정착되기 이전... 양대리그 그 이상의 권위의 wcg와
양대리그와 비슷한 권위인 프리미어리그 게임큐대회 등등 많은 대회에서 우승했는데..
양대리그 기준으로 싹둑 짜르니 업적이 엄청 많이 손상되네요..
사실 이윤열 선수도 그런 의미에서 손해 좀 봤구요.
[임]까지마
10/06/04 18:10
수정 아이콘
스타 역사상 최고의 패러디물인 '20세기본좌'를 추천합니다.
브라운쵸콜렛
10/06/04 18:18
수정 아이콘
겜큐 ,키글, wcg 우승은 양대리그 기준 도입으로 하늘 나라로 가버리고..
3회 우승자 취급 당하시는 불쌍한 우리 황제님...ㅠ,.ㅠ
루로우니
10/06/04 18:31
수정 아이콘
언제부터 모든 커리어는 양대리그 기준이었는지 모르겠지만..
참 아쉽네요.. 커리어=양대리그 인식이 되서 바꾸기가 쉽지 않죠..
임요환선수의 겜큐는 그렇다 쳐도 wcg우승도 인정을 받을수 없다는게 안타깝네요
멜랑쿠시
10/06/04 18:39
수정 아이콘
뭔가 굉장히 재밌네요, 흥미롭구요.

음.. 다른 선수들도 공식리그 이외 여러 리그에서 우승했으니 딱히 다른 리그들이 포함 안되었다고 억울해 할 필요 있나요?
이제동 선수만 해도 천하제일스타대회, 곰티비, wcg 우승했고,
송병구 선수도 wcg 우승했고,
이영호 선수는 곰인비, 곰티비 우승했죠.
김택용 선수도 곰티비 우승했구요.
오히려 곰티비 같은 경우에는 저 밑에서부터 토너먼트로 우승자를 꼽았기 때문에
wcg 못지 않게 우승하기 힘든 리그라고 생각합니다.

홍진호 선수도 여러가지 대회에서 우승했지만 우승 커리어로 쳐주지도 않는데
우선 홍진호 선수의 커리어나 제대로 매겨보고 이야기하자구요;;
10/06/04 18:40
수정 아이콘
저거 선수들 옆에 우승시기면, 박정석 선수는 2002sky배 우승인데 어렴풋이 생각해봐도 가을이었고 말이죠. 날짜가 상당히 오류가 있는것 같습니다.
The Drizzle
10/06/04 18:44
수정 아이콘
커리어만 놓고 보자면
임이최동
박택호
강민, 김동수

이렇게 나누는게 맞습니다.
본좌라인이 아닌 이상, 포스 따위는 고려할 이유가 없고,
가장 객관적인 커리어로 카테고리를 나눠야 한다고 봅니다.
이영호 선수는 현존최강자니까 물론 이후 행보에 따라서 곧 임이최동이랑 어깨를 나란히 하겠죠.
마요네즈
10/06/04 18:48
수정 아이콘
전 WCG 이전 부터 본 사람이지만, WCG가 양대리그에 준하는 권위로 같이 포함시키는건 전혀 내키지 않네요. 임요환 선수 우승당시를 생각해도 지금 현재 느끼고 있는 양대리그 권위에는 전혀 못 미칩니다. 어뷰저 논란이나 그런 것도 많았고요 WCG를 포함시키는 건 우스운 일이죠.
차라리 저는 WCG보다는 게임큐를 넣어야된다고 봅니다. MSL이전의 메이저 대회로 게임큐 스타리그로 대체 해야된다고 보는 입장입니다. 그 쪽 스텝들이 게임큐 망하고 겜비씨 만들어지면서 많이 넘어가기도 했구요. 게임큐 스타리그가 묻히는게 저로서는 가장 안타까운 일이네요.. 온게임넷 스타리그와 충분히 양대리그라 불릴만한 메이저 대회였다고 생각하는데..
그리고 양대리그라는 관점에서 벗어나서 아쉬운 리그는 선수 참여도와 대회비중을 생각했을 떄 겜TV랑 프리미어리그가 커리어 면에서 평가 절하되는게 조금 아쉽네요. 물론 양대리그와 같이 넣기는 개인적으로도 힘들다고 생각되지만.
디에고 마리화
10/06/04 18:50
수정 아이콘
제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커리어만의 랭킹 매기기라면 이윤열선수는 독보적인 본좌라고 봅니다.

같은 급으로 묶이고 있는 임,최,동 선수들과는 사실 커리어에서 차이가 좀 나죠. 스타 10년 역사상 유일하게 골든마우스,금뱃지를

동시에 가지고 있는 게이머이며,(물론 둘 다 최초 수상이라는 영예도 가지고 있지요.) 결승진출만 10회에 이르는 괴물이거든요.

2위인 임요환,이제동 선수가 7회라는 걸 감안하면 차이가 없다고 보는게 오히려 더 이상할 것 같습니다. 게다가 누구나 인정하는

가장 오랜 전성기를 구가한 선수이기도 하구요. 단순 포스등으로 묶여있던 기존 본좌라인에서 새로이 정립되는 라인이라면, 또

그 라인이 커리어만에 초점을 맞춘 기준이라면 이윤열 선수가 가장 높은곳에 있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라구요
10/06/04 18:58
수정 아이콘
오........ 멋진데요.

전에 말했던 브론즈 클래스를....... 명칭을 바꾸셨군요.

브론즈라는 어감이 나빠서 건의 드린건데... 확실히 3위는 좀 어감이 어색하죠.
정대훈
10/06/04 21:08
수정 아이콘
WCG가 넘 무시당하네요.적어도 1,2회때까지는 양대리그는 훨씬 뛰어넘는 가치를 가지고 있는 대회였죠.
이미 대회자체가 1년에 한번 있는 게임 올림픽이라는 기치였고,당시 누구나 그렇게 인정하고 있었죠.

WCG출전을 가장 큰 영광으로 생각하고 있었습니다.(삼성의 WCG의 애국심마케팅이 제대로 빛을 발했죠.)
뭐 지금이나 한 5,6회정도부터 무시당했고,그게 사실은 맞는데.

적어도 1,2회 혹은 3회정도까지는 선수들이 가장 우승하고 싶어하는 대회.였다고 말을 하고 싶네요.
루로우니
10/06/04 22:04
수정 아이콘
임요환선수 우승할 당시에는 정말 wcg라는 대회가 정말 세계챔피언을 가리는 대회였죠.
그당시 양대리그 보다 더 권위있는 대회가 wcg였는데..
잘모르는 분들이 안타깝네요.
그들이사는세
10/06/04 23:23
수정 아이콘
Frostbite.님// 작살님// 수정했습니다.
yoosh6님// 아류엔님// 전상욱선수, 오영종선수 수정하겠습니다.
10/06/05 01:39
수정 아이콘
본좌라인도 아니고 '명예의 전당'인데 그걸 단순히 '최강자' 라고 생각하시는 건 좀 의아합니다.

원래 명예의 전당 자체가 어느정도 조건을 충족하면 되지 않나요?

그리고 온겜 2회 우승과 온겜 1회, 엠겜 1회 우승은 동시 우승이 아닌바에야 똑같이 평가하는게 좋을 것 같네요.
두개 대회 중에 어떤 대회가 더 어렵다라고 보기도 그렇고, 어느 리그는 어느 선수가 유리하다 라고 보기도 그렇고, 결국 같은 우승 2회 아닌가요.

이 사람은 단일대회 3회니까 명예의 전당에서 저평가되어야한다는 의견은 수긍할 수 없습니다.

음... 그리고 옛날에는 게임큐도 있었고 비록 준 메이져급으로 평가받았지만 대부분 인정하던 프리미어리그도 있고하는데

잘모르는 분들을 위해서 잘 아시는 분들이 좀 작성해주셨으면 하네요.
10/06/05 02:09
수정 아이콘
명예의 전당인데요 뭘;;; 개인적으로는 옆에 지금은 공인받지 못하지만 WCG, 프리미어, 겜TV, 겜큐 같은 대회들의 성적과 팀리그 성적도 언급된다면 더 좋을듯 싶은데...;; 역시 -_-;; 옆에서 떠드는건 쉬워서 막 지르는데 약간 힘드려나요;;;
그리고 기준은 지금정도가 적당해보이고... 진지하게 옐로우 클래스를 만드실 생각은 없으신지 -_-;;;
10/06/05 12:07
수정 아이콘
아,,왜 난 조용호선수가 왜이리 보고 싶을까ㅜ.ㅜ
끝없는사랑
10/06/06 22:22
수정 아이콘
글쓴 분 수고하셨구요.. 참 위에 보니 소모적인 논쟁땜에 글 쓴 맛 안나실듯.. 잘 봤습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43966 피디팝 MSL 결승전 신동원 vs 차명환 예고 동영상 [8] Davi4ever6424 11/02/18 6424 1
43907 MSL 4강 진출자를 바라보는 네 개의 시선들 [30] becker10529 11/02/06 10529 14
43892 이제동vs신동원 피디팝 MSL 4강 [21] SKY928575 11/02/01 8575 1
43882 택뱅리쌍에 관한 소고 [20] kimera8113 11/01/31 8113 19
43851 장윤철이 경기력을 떠나 진정으로 돋보였던 건.. [25] 불멸의황제8890 11/01/27 8890 2
43333 Today Issue & Play - Beyond the Protoss, 그리고 황제. [18] legend6925 10/10/18 6925 0
43198 본격 황제 응원글 - 황제여 어서오소서. [35] 좋아가는거야9094 10/10/10 9094 1
43000 네 테란은 사기입니다 [14] CtheB6108 10/09/15 6108 0
42982 테란 유저로서 다른 종족이 사기라고 느꼈던, 그 때, 그 사람 [14] Ymini5368 10/09/14 5368 0
42965 리쌍.. 주관적 견해 [24] CANE6216 10/09/13 6216 0
42941 시대의 별 춘추오패(春秋五覇)와 스타오패 [5] 뺑덕어멈5337 10/09/12 5337 3
42788 너무나 아쉬운 그랜드 라인과 캐논 한기. [16] 좋아가는거야7798 10/09/01 7798 0
42778 폭군 & 총사령관, 저그와 프로토스의 숙명... [8] §최종병기§5335 10/09/01 5335 1
42726 2010년 낭만을 느끼다. [1] 잔혹한여사4545 10/08/28 4545 0
42721 빅파일 MSL 결승전 이영호 vs 이제동 예고 동영상 [15] Davi4ever7277 10/08/28 7277 0
42632 저그의 민중이 단 한 분 통치자 폭군께 드리는 상소문 [23] 안스브저그7659 10/08/21 7659 0
42626 3차 리쌍록. [16] 잔혹한여사5248 10/08/21 5248 0
42110 스타크래프트 역대 최고 라이벌 10선 (part.2) [31] Hanniabal10321 10/06/28 10321 4
42101 스타크래프트 역대 최고 라이벌 10선 (part.1) [40] Hanniabal8789 10/06/27 8789 6
41955 명예의전당 최종판 (골드,실버,안티크 클래스) [79] 그들이사는세7022 10/06/04 7022 5
41883 외쳐는 봅니다. 명예의전당! [18] 그들이사는세4347 10/05/31 4347 0
41851 오늘의 이제동, 무엇이 문제였을까요. [21] JUSTIN6465 10/05/29 6465 0
41850 적어도 5전제에서만큼은 이영호는 이제동을 그동안 넘지못했습니다. [22] SKY925961 10/05/29 5961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