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10/04/25 17:57:40
Name noknow
Subject 스타리그 8강 울산야외경기가 가지는 중요한 의미
오랜만에 스타리그 8강경기가 야외경기로 진행됩니다. 그동안 경기침체등으로 스폰서의 지원이 한계가 있었기에 계속 지속되던 8강투어가 잠시 사라졌었는데 이번에 든든한 스폰서를 얻고 난 후 8강 야외경기가 다시 진행되어 기쁨이 큽니다.

과거 스타리그 8강 야외경기는 항상 성공적인 흥행을 해왔습니다.(여기서 말하는 흥행은 오프라인관객동원을 말함) 특히 스타리그가는 스타크래프트와 관련된 리그중 누구나 인정하는 최고의 리그입니다. 그러다보니 스타리그가 개최하는 야외경기는 흥행에 항상 성공을 이루어왔습니다. 그런데 이번 야외경기는 걱정반 기대반입니다.

우선 이번 야외경기가 승부조작스캔들이 터진 후 첫 야외경기라는것입니다. 사건이 터진 후 객관적인 지표가 없어서 비교하기는 어려울지 모르겠지만 스타관련리그에 대한 사람들의 관심이나 참여가 다소 줄어든것이 아닌가 하는 느낌이 듭니다. 많은 팬들이 실망한것도 사실이고 이것이 오프라인 관중의 감소로 이어지고 있지는 않나 하는 걱정이 드는것도 사실입니다. 물론 스타판이 정체되고 감소추세에 있는것은 사실이지만 이번 스캔들이 직격탄이 되지 않을까 걱정이 큽니다.

그래서 이번 울산경기의 흥행은 여러모로 의미가 있다고 봅니다. 아직 스타판의 흥행이 유효한가에 대한 상징도 될 수 있고 오랜만의 지방야외경기로서 지방팬들의 관심 역시 여전한가를 볼수있는 계기가 될것으로 봅니다. 즉, 스캔들이후 팬들의 실망이 얼만큼 이고 이것이 어떻게 표출되는지를 나름 객관적으로 판단할수있는 1차시험 무대가 될 수 있다는 것이죠. 일부 사람들이 무료인 야외무대의 오프라인 관중 동원이 무슨 의미가 있냐고 할 수도 있겠지만 관중동원력이 어느정도가 되느냐가 이판의 인기가 어느정도인지 확인할수 있는 가장 잘 알 수 있는 사례가 되기 때문입니다.

항상 훌륭한 리그를 진행하는 스타리그 운영진이므로 이번 울산 8강도 상당한 노력을 할것입니다. 그리고 흥행을 위해서 여러 방법을 쓸것입니다. 이번 스타리그 8강의 흥행이 실패할경우, 그 상징성은 생각보다 크다고 할 수 있습니다. 최고의 브랜드가치를 지닌 스타리그조차도 이제 이정도 밖에 되지 않냐는 우려도 나타날수 있습니다. 반면에 흥행에 성공한다면 최고의 리그로 불리는 스타리그는 그 자리를 더 공공히 할것이고 스타판이 아직 유효함을 증명하는 기회가 될듯합니다.

10년 이스포츠팬으로서 이번 스타리그 야외무대가 성공적으로 이루어졌으면 하고 울산에 사시는 분은 꼭 한번 찾아가셨으면 하네요. 전 대구에서 할때 가곤하는데 오프라인 구경 생각보다 상당히 재미있으니 아직 경험 없으신 분들은 가서 응원도 하시고 많이 보시길 바랍니다. 사실 지방에서 스타리그를 직접 볼 기회가 많은 편이 아니거든요. 그나마 대구는 과거에 많이 했었는데 갈수록 비용등 여러문제로 수도권 이외의 지역에서 경기개최를 잘 안하는듯...

아래 블리자드와 협회관련 글을 보니 걱정이 되더군요. 하지만 이판이 성장하는데 있어서 어려울때마다 항상 팬들의 지지가 있었기에 그 어려움을 극복하고 지금처럼 커갈수 있었습니다. 스타2가 어찌되든, 스타1이 어찌되든간에 팬들의 변함없는 지지가 있다면 전 긍정적으로 이판이 해결될거라고 믿습니다.

어쨌든 이번 스타리그 야외무대 8강이 대박나길 바랍니다. 경기면에서나, 운영면에서나, 흥행면에서나~~~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에이매치
10/04/25 18:04
수정 아이콘
울산에 살질 않아서 이번엔 못가지만...
솔직히 이영호 때문에 결승전만큼은 간만에 오프를 뛰어 볼까 생각중입니다.
(응!? 벌써부터 설레발?? 그런데 왠지 기정 사실 같아.. 덜덜..)
딱성호
10/04/25 18:13
수정 아이콘
전 친구들 4명이랑 가기로 했습니다~

또 가실분 푸쳐핸섭~!
10/04/25 18:19
수정 아이콘
같이 갈 사람이 없어요 ㅠ_ㅠ
10/04/25 18:25
수정 아이콘
가고싶긴한데 친구가 없다보니;;;
같이 갈 사람이 없네요;;;
우울하다...
최강견신 성제
10/04/25 18:33
수정 아이콘
울산엔 원래 연예인이 오거나 하는 이런 큰행사를 많이 치루는 곳이 아니라서 뭐만 했다하면 관중동원력은 끝내줍니다...
그래서 한번 울산공연을 했던 가수들은 전국투어시에 울산을 빼놓지 않고 찾기도 하구요.
일단 하면 대박이납니다.
LastStage
10/04/25 18:42
수정 아이콘
저도 가고싶어요... 울산인데 같이 갈 사람이 없음...ㅠㅠ
미소년
10/04/25 18:51
수정 아이콘
부산사는데 가치 갈사람이 없어서 gg;;;
10/04/25 18:52
수정 아이콘
저 울산인데 같이 가실분 계세요~~
LastStage
10/04/25 18:55
수정 아이콘
그냥 pgr모임한다는 생각으로 가야되는건가요 크크
뭐 가면 한분쯤은 pgr팻말 들고 있으시겠죠? 크크
도달자
10/04/25 19:02
수정 아이콘
다음스타리그 그 경기장 맞죠?
인기없는 그냥저냥 그런 중견카드 김준영선수와 변형태선수였는데.. 그많은 관중을 이끌어낸 울산!
선수들은 관중에 보답하며 명경기의 향연. 2:3 역스윕을 끌어내고. 하늘도 감동하였는지 눈물을 대신하여 비를 내린 울산..
박루미
10/04/25 19:13
수정 아이콘
전 흥행을 믿어 의심치 않습니다. 대인 김준영의 가호가 살아 숨쉬기를~
DeathMage
10/04/25 20:17
수정 아이콘
해운대 -> 울산이 부울고속도로 때문에 30분 거리더군요. 그래서 가볼생각입니다' 3'/~
10/04/25 20:50
수정 아이콘
울산사는 사람한명추가~ 저도 가고싶은데..칭구들은 스타에 관심없어서 혼자가기엔뻘쭘하구..
울산분끼리 뭉쳐서 같이가요 ~
딱성호
10/04/25 22:23
수정 아이콘
피지알분들끼리 만나서 같이 오세요~

저두 인사하고 갈께요;;크크
영웅과몽상가
10/04/25 22:59
수정 아이콘
대구에 사시는 분 같이 가실 분 없나요??
10/04/25 23:40
수정 아이콘
헉 울산 사는데 저번에 문수구장에서 했는데 이번엔 어디지
sweethoney
10/04/25 23:48
수정 아이콘
울산 월드컵 경기장 참 예쁘던데 정말 동행만 있으면 가고 싶은 마음이 새록새록합니다.^^;
Hypocrite.12414.
10/04/25 23:49
수정 아이콘
아마 많이 갈것 같네요. 승부조작 파문이 일긴 했지만, 당장 스타리그 8강에 올라간 선수들은 그 혐의에서 벗어난 선수들이니 당장 그분들의 팬들이 자신의 고장에 오는데 가지 않을 이유는 없을 것 같습니다. 거기에 하나 더 보태서, 다음스타리그 결승때 김준영 vs 변형태 대진 보고 망했니 뭐니 했다가 울산팬들의 폭발적인 반응을 보고 놀랐던 저로선 걱정 안합니다. 흐흐.
이직신
10/04/26 00:04
수정 아이콘
뜬금없이 에버2007 역대 최고의 야외 8강이기억나는군요
마재윤vs김택용 이영호vs송병구 진영수vs신희승 이재호vs이제동..
다 결승급 대진에 김택용vs마재윤에서 김택용 다크포스 폭발..명경기속출
정말재밋었는데 말이죠
이번에도 대박경기들 기대합니다
권보아
10/04/26 01:30
수정 아이콘
엄옹 가라사대

울산은 다음 대인배와 광전사의 혈투가 남아있는곳

대인배의 후예 김명운과

광전사의 후예 김정우가 맞붙는 @#@$%%^&^&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43439 GSL 시즌중 밸런스 패치하는것에 대해서는 재고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61] 개념은?6045 10/10/27 6045 0
43026 이윤열, 그대의 새로운 도전을 응원합니다. [31] The xian7107 10/09/17 7107 3
42432 내 인생을 바친 스타...뭔가 교훈이라도 얻어보자~ [25] likeade5416 10/08/06 5416 4
41064 스타리그 8강 울산야외경기가 가지는 중요한 의미 [22] noknow6093 10/04/25 6093 0
40493 질레트때부터 스타 보셨습니까? [46] 彌親男7338 10/03/03 7338 6
40202 우세승 딜레마 해법 - 공식 재경기 맵, 판정 공시 게시판 [10] ArcanumToss4069 10/01/29 4069 0
40188 엠겜 결승을 다시 돌아보며... [16] 칼라일214445 10/01/28 4445 0
40066 3경기의 판정에 대해서는 팬들 모두 말을 아끼는 게 어떨까 싶네요. [44] 네야4765 10/01/24 4765 0
39199 차세대 배틀넷 간담회 후기 [8] Judas Pain6597 09/11/10 6597 1
38776 스타크래프트2 에 대한. [18] sisipipi4697 09/08/27 4697 0
37693 2002 SKY배, 가을의 전설, 너무나도 기묘한 그 날 [26] 김연우7112 09/05/11 7112 5
37639 맵과 벨런스와 전략 [36] 김연우6311 09/05/02 6311 6
37505 이제동을 위한 변호. - 본좌론의 상대성에 대하여. [37] 골이앗뜨거!6307 09/04/05 6307 0
37276 그래프와 함께하는 커리어 랭킹 ver 2.0 [43] ClassicMild6539 09/03/12 6539 13
37251 본좌론에 대처하는 택빠들의 행동강령 [87] 피스9128 09/03/09 9128 45
37138 야구 스탯으로 보는 스타 프로게이머들 [69] ClassicMild11573 09/02/25 11573 80
36640 이미지를 걷어버리자 [14] 王非好信主5046 09/01/13 5046 9
36312 저징징에 대한 고찰 [44] 라울리스타5394 08/12/16 5394 0
34892 역대 최강 홍진호. [45] 펠쨩~(염통)8944 08/06/07 8944 5
34845 종족밸런스를 맞추자. [35] 信主NISSI4670 08/05/31 4670 1
34398 김택용과 송병구, 그리고 케스파랭킹 [92] 매콤한맛6324 08/03/21 6324 3
33946 about "이영호 vs 이제동" [22] sylent7050 08/02/13 7050 11
33385 그래도 김택용이다. [45] sylent10691 07/12/31 10691 63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