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10/04/22 18:15:10
Name NecoAki
Subject 이제동이라는 이름을 가진 저그의 드라마
1. 시작이 다른 이제동.

이제동은 다른 저그들과는 드라마의 시작이 달랐습니다.
저저전을 승률을 보장하는 슈퍼신인, 테란을 압살하는 저그의 교과서.

이제동이 로열로더에 자리에 오르기까지 당시 잘나간다는 테란은 모조리 때려 잡았습니다.
테란전 무적의 포스였죠.
기존의 홍진호, 박성준, 조용호, 박태민이 보여준 줄타기가 존재하던 가난한 혹은, 수비적인 운영과는 모습이 달랐습니다.

결승에 왜 테란이 없어? 라는 질문에 테란이라는 테란은 결승에 오른 이제동, 송병구가 다 때려 잡았다고...

그런데 이제동에게 딴지를 걸었던건 토스전이었습니다.
안기효와의 다전제 패배 라던가, 검증되 않은 토스전 이라던가...

기존의 저그 강자들이 보여준 모습과는 차이가 존재했습니다.
그리고 이제동은 시작을 다른 저그는 보여주지 못한, 로열로더라는 이름을 걸고 드라마의 첫 장을 엽니다.


2. 마재윤과 이제동의 차이

이제동은 그 드라마가 시작부터 다른 저그들과는 너무나 틀렸습니다.
그리고 그 스타리그의 로열로더라는 타이틀이 갖는 무게감은 MSL의 로열로더와 갖는 무게감이 다릅니다.
스타리그 입장에서는 난데없이 등장한 이 저그 신인 때문에 로열로더를 강조했지만,
마재윤이 다져놓은 틀을 다듬은 정도로 큰 고생없이, 좌절없이 등장한 선수같은 이미지가 커져버린 것이지요.

이 것이 로열로더로 끝을 마무리한 마재윤과, 로열로더로 시작한 이제동의 차이 이자,
마재윤의 팬들이, 또한 저그는 고생하는 종족이라는 생각을 가진 저그팬들이,
이제동에게 열광하지 못한 큰 이유라고 봅니다.

마재윤이 3 해처리 운영으로 재미를 보고, 다른 저그들이 운영을 장착하면서,
테란 역시 3 해처리에 적응을 합니다.
그러면서 마재윤식 운영도 예전은 물흐르는 듯한 모습은 어려워졌고, 줄타기라는 저그 특유의 모습이 비춰지는듯 했습니다.

하지만 이제동은?
결정적으로 둘은 피지컬이 달랐습니다.

마재윤이 뮤탈을, 그리고 병력들을 돌리며 시간을 끄는데 중점적으로 사용했다면,
이제동은 그 병력을 시간을 끄는 용도가 아닌 상대를 무너트리는 사용했습니다.
그러면서도 디파일러까지 물흐르는 듯한 운영을 가지고 있었죠.
마재윤과 달리 시종일관 저그가 유리한 상황이 전개 되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폭풍과 3 해처리가 적당히 어우러진 모습.
완벽한 경기력, 동시 다발적인 컨트롤. 그 당시에는 완벽한 초인의 모습이었죠.

사람은 완벽주의자가 존재하고, 또 완벽에 대한 거부감을 갖는 사람도 존재합니다.
일반적으로는 가끔 실수도 하는 인간적인 모습을 보이는 그런 상대에게 호감을 더 갖게 되지요.


3. 너무 많은 일정, 너무 많은 부담, 그리고 저묵묵

이제동이 수많은 일정을 치러내고, 팀의 에이스로 엄청난 경기를 치렀다는건 누구나 압니다.
양대 4강을 동시에 진행하면서, 프로리그 결승까지...

저그는 테란의 수많은 전략을 대비 해야합니다.
그리고 실제로 이제동 선수는 몇몇 테란전에 의해 발목을 잡혔습니다.
중요한 고비에서 발목을 잡힌다. 이 것은 드라마를 쓰는데 화룡점정을 찍는데 어렵게 만드는 요소. 그 것도 여러번...

화승이 인기 팀도 아닌데다, 또한 선수층이 두텁지도 못합니다.
그런 팀의 에이스가 갖는 부담은 뒤를 받쳐줄만한 선수가 있을때와는 차원이 다르죠.

게다가 묵묵한 편인 선수의 성격상, 팬들마저 선수를 믿고 나서지 않는 편이지요.
그냥 알아서 잘하겠지 믿고 지켜보는 팬들이 많았지요.

인터뷰만 봐도 이미 어른인 이제동이었습니다.
말을 아끼고, 다른이의 탓을 하지 않으며, 자신이 짊어지고 있는 부담이 느껴질 정도로...


4. 너무나 빠른 골든 마우스.. 그리고 MSL 온풍기

임이최마가, 그리고 박성준이 드라마의 끝을 스타리그에서 썼다면,
이제동은 스타리그에서 써야할 이야기를 모두 써버렸습니다. 아직 드라마가 끝나지도 않았는데도 말이죠.

이야기를 만드는데 있어 엄옹의 능력은 타의 추종을 불허하죠.
그런데 이제동은 이야기를 더 만들어야 하는데, 그 곳에선 이미 할 이야기가 없습니다.
너무 짧은 시간에... 이윤열이 걸었던 만큼의 절반 밖에 안되는 시간에...골든 마우스를 얻어 버렸기 때문입니다.

금뱃지를 먼저 얻었고, 남은게 골든 마우스 였다면?
이제동을 중심으로 만들어질 이야기 더 많았을텐데, 이런 아쉬움을 갖는 분들도 분명 계실 겁니다.

이제동의 스타리그 이야기가 끝나면서, 남은 스토리는...
리쌍록이라는 임진록에 버금갈만한, 기대를 모으는 경기로 완성되나 싶었습니다.

어처구니 없는 MSL의 준비성에 이제동의 드라마는 끝에서 얼토당토 않는 이야기가 되어버리는 막장 드라마로 변하고 맙니다.
하지만 그것은 이제동 스스로는 전혀 의도 하지 않은 이야기.

타인의 의해 자신의 스토리가 무너져 버립니다.
5회 우승이라는 타이틀의 빛이 바래 버릴 정도로 말이죠.


5. 끝나지 않아서, 끝낼수 없어서,

드라마의 절정부분에서 그리고 결말에서 엄재경이라는 스토리의 완성자를 만나지 못한다는 것에
이제동의 드라마는 좋은 드라마가 되기 힘들지도 모릅니다.

남은 것은 MSL 금뱃지 하나.

사람은 변하기 마련입니다.
신인때의 자세를 유지 하고자 노력한다 하더라도, 반드시 사람은 변합니다.

신인때 전략적인 모습이, 지금은 사라졌고,
많은 일정속에 하위 토너먼트, 리그 정도는 새 전략이 아닌 기본기로 승부하는 일이 빈번해 집니다.

권위를 상실한 MSL, 골든 마우스보다 동기 부여가 다소 적을 수 있는 금뱃지...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진로도 생각해야 합니다. 그에 따라 생각도 많아집니다.
한창 치고 올라오는 어린 신인들처럼 게임에 집중하기는 당연히 어렵습니다.
병역 의무도 고민할 나이입니다. 연애도 하고 싶은 나이입니다.

선수에게 게임에만 집중하라고 하는건 분명 무리일거라고 봅니다.
자신이 쌓았던 모든것을 부정하고는 신인때로 돌아가라고도 못하겠습니다. 그 곳까지 오르는데 소비한 노력을 알기에...

이제동 선수에게 남은 기록은 6회 우승, 그것 밖에 남지 않았을 만큼 거의 모든 기록을 갈아 치웠고,
뒤도 안돌아보고 달려 왔습니다.
6회 우승을 달성해버리고 나면 정말... 더 이상 연소할 무언가가 남지 않게 될수도 있습니다.

이제는 이 드라마의 끝에 결말이 어찌 되든간에, 묵묵히 박수를 보내주는 일만이 남은 것 같은 생각도 듭니다.

그렇지만 아직 끝내서는 안된다고 생각하기에,
타인이 아닌 스스로 드라마의 끝을 마무리하기를 바라기에,

적과 싸움에 지고, 동족에게 물려 쫓겨나는 추락한 폭군의 모습이 아닌,
진정한 왕의 모습으로 역사에 기록되기 위해 마지막 불꽃을 더 밝게 태워주길 바랍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Neperpite
10/04/22 18:24
수정 아이콘
정말 좋네요 '폭군' 이라는 닉네임.
그리고, 미안하지만 다시 한번 더 끝을 보여줬으면 좋겠군요 ^^

다른 두 명과 같이 말이죠.
언데드네버다
10/04/22 18:26
수정 아이콘
박성준 선수도 첫 개인리그 출전에 로열로더 아니었나요? 그전에 MSL을 올라갔었나...
그레이티스트
10/04/22 18:31
수정 아이콘
뒷담화에서 이윤열의 담화 생각나네요.
예전에 택시를 탔는데 자기가 프로게이머이윤열이라고하자 임요환은 아는데 이윤열은 모르겠다는 말했던 일화.
이윤열이 정말 오래 살아남았던이유가 천재성 피지컬등도 있겠지만
임요환을 넘고싶었던 동기부여도 크지않았을까요?
이제동이 아직 끝났다고는 생각하지않습니다. 그리고 아직 우승몇번더할수있는 역량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단순히 연습해서 실력을 쌓는것도 중요하겠지만 새로운 동기부여를 찿았으면 좋겠네요.
예전의 경기중에 독기품은 눈빛을 다시보고싶습니다. 패배할때 분노에 찬 표정도 보고싶고요.
무한낙천
10/04/22 20:18
수정 아이콘
박성준 선수도 로열로더였죠~ 저그 최초의 우승이자 최연성을 꺾고 우승한 신예.. 골든마우스도 최초였죠

그나저나 윗 댓글보니.. GG 안치고 버틴다 욕하다고 머쓱하게 만들던
임요환 선수의 포기하지 않는 눈빛이 생각나네요..
장군보살
10/04/22 23:02
수정 아이콘
MSL 금뱃지까지 도달합시다. 이제동 선수 ! 그것을 이뤄내는 그 순간, 당신은 이미 전설.

전설까지 단 하나의 개인리그 우승이 남아 있습니다. 물론 지금도 전설적인 선수이긴 하지만..
트레제디
10/04/23 00:08
수정 아이콘
오늘은 폼은 떨어졌지만 이제동의 클래스를 확인케 한 하루였습니다.

더불어 미칠듯한 저저전을 보여준 신동원의 눈빛도 매우 인상적이었습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41273 스타크래프트 사가 [1] 후아암5002 10/05/13 5002 1
41260 시대의 최강자와 본좌 [25] 천부경4296 10/05/13 4296 0
41228 김윤환과 김구현, 리쌍을 겨누고 있는 인간의 칼날 [11] LucidDream6299 10/05/10 6299 2
41227 이영호의 과거 그리고 현재.. (history) [15] Ascaron5213 10/05/10 5213 2
41211 의심 그것은 아무것도 아니다. [18] 영웅과몽상가5585 10/05/08 5585 0
41165 이제동과 4월의 상관관계, 그리고 5월 [15] 좋은풍경5121 10/05/05 5121 0
41044 파괴신! 조롱할 수 있다, 그러나 아무도 무시할 순 없다. [76] 박영인5744 10/04/24 5744 0
41028 이제동이라는 이름을 가진 저그의 드라마 [9] NecoAki4787 10/04/22 4787 1
41009 본좌(本座)란 존재하지 않는다. [24] epersys5291 10/04/20 5291 0
40756 이영호 앞에 무릎꿇다 [26] V6373 10/04/03 6373 2
40601 [재미없는 리뷰] 아쉽다 이제동, 잘했다 전태양 [17] 빵pro점쟁이4855 10/03/13 4855 0
40487 이영호 선수의 경기력을 뭐라고 설명해야 할까요... [22] Ascaron5778 10/03/03 5778 0
40472 테란의 시대를 예감하다. [25] 이리5502 10/03/02 5502 3
40466 택뱅리쌍의 경기에 대처하는 그들만의 전투자세. [47] 롯데09우승6279 10/03/01 6279 0
40186 헤게머니를 장악하라! - 저vs테 전을 중심으로 [10] 더미짱5629 10/01/28 5629 4
40134 폭군에게 바치는 아주 개인적인 헌사 [19] 필리온5367 10/01/26 5367 17
40053 그나저나 이제동은 최강포스라는 이영호를 잡고도 이렇게 묻히는군요 [30] 군대나온남자5467 10/01/24 5467 0
40044 이영호 선수 고맙습니다. 그리고 다음시즌엔 더 높이 비상하길 바랍니다. [12] HALU3890 10/01/24 3890 0
39928 다시한번 이제동은 이영호를 어떻게 파훼할 것인가? [25] 블랙독5566 10/01/22 5566 0
39906 스타역사상 최고의 대박매치 NATE MSL 결승전 '리쌍록' 오프 가실분 계십니까? [72] 윰댕6860 10/01/20 6860 1
39896 NATE MSL 2009, 결승전 예고편 영상 입니다. [27] kimbilly6767 10/01/20 6767 0
39873 [MSL 결승 기대글] 두 영웅이 마주 서다. [11] 세레나데3942 10/01/18 3942 0
39837 또 다른 시작... [2] 캐쥬얼가이4003 10/01/17 4003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