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10/03/15 18:47:20
Name Korea_Republic
Subject 각 게임단별로 보는 역대 MSL 우승자
2002 KPGA 1차투어 임요환 (IS, 테란)

2002 리복 KPGA 2차투어 이윤열 (IS, 테란)

2002 펩시트위스트 KPGA 3차투어 이윤열 (IS, 테란)

2002 베스킨라빈스 KPGA 4차투어 이윤열 (KTF, 테란)

스타우트 MSL 강민 (GO, 프로토스)

TG삼보 MSL 최연성 (오리온, 테란)

하나포스 센게임 MSL 최연성 (T1, 테란)

SPRIS MSL 최연성 (T1, 테란)

당골왕 MSL 박태민 (GO, 저그)

우주닷컴 MSL 마재윤 (GO, 저그)

CYON MSL 조용호 (KTF, 저그)

프링글스 MSL 1 마재윤 (CJ, 저그)

프링글스 MSL 2 마재윤 (CJ, 저그)

곰TV MSL 1 김택용 (히어로즈, 프로토스)

곰TV MSL 2 김택용 (히어로즈, 프로토스)

곰TV MSL 3 박성균 (위메이드, 테란)

곰TV MSL 4 이제동 (르카프, 저그)

아레나 MSL 박지수 (르카프, 테란)

클럽데이 온라인 MSL 김택용 (T1, 프로토스)

로스트사가 MSL 박찬수 (KT, 저그)

아발론 온라인 MSL 김윤환 (STX, 저그)

NATE MSL 이제동 (화승, 저그)

IS-PLUS-르카프-화승: 4명-5회 (이윤열 2, 이제동 2, 임요환, 박지수)
GO-CJ: 3명-5회 (마재윤 3, 강민, 박태민)
오리온-4U-T1: 2명-4회 (최연성 3, 김택용)
n016-KTF-KT: 3명-3회 (이윤열, 조용호, 박찬수)
POS-히어로즈: 1명-2회 (김택용 2)
SG-큐리어스-EX-위메이드: 1명-1회 (박성균)
STX: 1명-1회 (김윤환)

여기서도 화승의 위엄은 후덜덜 하군요. GO랑 T1도 대단했고.

다음은 스타리그, MSL 통합한 통계입니다.
IS-PLUS-르카프-화승: 5명-11회 (이제동 5, 임요환 3, 이윤열 2, 오영종, 박지수)
GO-CJ: 4명-8회 (마재윤 4, 강민 2, 서지훈, 박태민)
오리온-4U-T1: 3명-7회 (최연성 5, 박용욱, 김택용)
n016-KTF-KT: 4명-6회 (이영호 2, 이윤열 2, 조용호, 박찬수)
SM-한빛-웅진: 4명-5회 (김동수 2, 변길섭, 박정석, 김준영)
POS-히어로즈: 2명-4회 (박성준 2, 김택용 2)
SG-큐리어스-EX-위메이드: 2명-3회 (이윤열 2, 박성균)
SOUL-STX: 2명-2회 (박성준, 김윤환)
ESC Net: 1명-1회 (최진우)
U2U4: 1명-1회 (기욤)
KOR-스파키즈: 1명-1회 (한동욱)
삼성: 1명-1회 (송병구)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FastVulture
10/03/15 19:10
수정 아이콘
이윤열 선수나 임요환 선수는... 화승 계열에 넣기가 좀 그렇지 않나요
이전 글에서도 그랬지만 ...
리프팅턴
10/03/15 19:23
수정 아이콘
이윤열, 임요환이 왜 화승 계열이죠???
멀쩡한 T1 놔두고??
信主SUNNY
10/03/15 19:32
수정 아이콘
이윤열선수 여기저기 세 팀에 있네요.

IS는 세 팀으로 공중분해됐다고 봐야하는데...
차라리 세 팀중에서 고르라면 "IS-SG-큐리어스-EX-위메이드"가 더 맞는 느낌입니다.

IS는 당시 성학승선수 혼자남았다 싶을 정도의 느낌이었는데, 그 성학승선수마저 나중에 SK로 옮겼으니 더더욱이요.
10/03/15 20:08
수정 아이콘
MSL 임요환 선수 우승 횟수가 2회로 되어있네요. 1차 KPGA 한번 우승했으니 1회죠.
10/03/15 20:50
수정 아이콘
IS-PLUS-르까프-화승
IS-SG-팬택-위메이드
IS-SKT

저 역시 셋 중 하나를 고르라면 두번째, IS-SG-팬택-위메이드가 제일 맞다는 느낌입니다.
사실 그것보다 IS는 특별히 하나의 계승팀이 없다..가 더 정확하겠지만 말이지요.
트레제디
10/03/15 21:53
수정 아이콘
제가보기에도 IS는 위메이드쪽이 제일 맞습니다.


그당시 동양이 가장 핵심적멤버를 소유했고, 화승은 사실상 가장 비핵심적 멤버만 남은 팀이고 말이죠..
행복하게살자
10/03/15 22:12
수정 아이콘
계승과 정통성에 관한 문제라 잘못 건들이면 굉장히 미묘한 문제가 될수도 있지요. 물론 시간이 오래 지난일이라 이제는 그냥 재미삼아서 할수 있는 일일지도 모르지만요.

개인적으로는 껍데기만 남았더라도 그래도 IS의 이름을 계승한(?) 플러스-화승라인이 맞다고 생각되지만은 쉽지는 않은 문제인것 같네요. 이건 여기계신 분들의 생각보다는 당시 소속선수들이나, 조정웅,김양중감독 등 직접적인 관계자들의 생각이 더 중요하다고 생각됩니다. 정통성에 관한 문제는 객관적으로 남은 사실 뿐만 아니라, 당시 IS가 갈라질 때의 분위기, IS팀을 규정하는 성격등도 작용할 수 있거든요.
승리하라
10/03/15 22:42
수정 아이콘
이윤열선수 4차 kpga때는 ktf소속이었는데요.
승리하라
10/03/15 22:45
수정 아이콘
IS가 갈라질 때 오리온은 임요환을 주축으로 한 멤버들이 따로 독립했고 마찬가지로 sg도 송호창감독이 게임아이 멤버들을 데리고 분리해 나간거 아닌가요? 따로 독립해나가려는 움직임이 없던 plus가 IS의 적통을 물려받았다고 생각해왔는데.
彌親男
10/03/16 09:14
수정 아이콘
일단 이윤열 선수 3번째 우승 당시에는 KTF로 임대가 있는 상태로 기억합니다.

그리고 왜 다른 팀들은 스폰서를 쓰는데 SK텔레콤하고 MBC게임만 굳이 팀 이름을?
노련한곰탱이
10/03/16 15:05
수정 아이콘
이런상황이면 IS라는 팀은 깨진 것이고 어떤 계보에 넣는게 불가능하다고 보입니다.
실질직으로는 플러스팀으로 이어진 것이지만 당시 상황을 고려해보면 꼭 그런것도 아니구요.

소위 프로야구에서 말하는 인천야구의 계보 비스무리한 느낌을 주네요. 정확히 맞는건 아니지만..

팀의 계보는 프로리그-팀리그가 시작 된 뒤의 이야기를 해야 맞지 않나 싶습니다.
信主SUNNY
10/03/16 15:49
수정 아이콘
IS는 그냥 소속선수따라 가는 것이 옳다고 생각합니다.

SK와 위메이드, 화승에 전부 포함시키고, 당시 소속선수가 어디로 이동했는지에 따라서 평가하면 되겠지요.(이 경우 화승선수는 없지만요.)

간단하게, 임요환선수가 우승한건 SK, 이윤열선수가 우승한건 위메이드로 넣으면 되지 않을까요?
카르타고
10/03/16 16:19
수정 아이콘
IS는 위메이드와 화승의 역사에 둘다 추가시키는게 맞다고봅니다 임요환선수만 나가서 오리온개인스폰으로 창단된 SK는 IS와는 거리가멀고요 IS당시 감독이었던 송호창감독(현재는 김양중감독)과 조정웅감독은 IS의 계보를 이을 자격이있죠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42521 분리형 5전제는 5전제의 참맛이 부족합니다. [18] 언데드네버다6746 10/08/12 6746 0
41854 하나대투증권 MSL 결승전 진행에 대한 몇 가지 후기 [25] 엑시움6768 10/05/29 6768 0
41734 이번 사태로 인해서 온게임넷의 위상 추락은 피할 수 없을 듯합니다. [75] 엑시움6384 10/05/24 6384 8
41651 정말 제대로 된 경기 좀 보면 안될까요?? [118] 영웅과몽상가8055 10/05/22 8055 2
41558 시대는 그들을 기다렸다 제 2의 절정 리쌍록 [53] 영웅과몽상가5319 10/05/20 5319 1
41344 MBC 정오뉴스에 뜬 조작리스트 캡쳐본과 그날 있었던 경기결과 모음입니다. [77] Hypocrite.12414.16269 10/05/16 16269 1
41326 이영호 선수의 현재. [44] Ascaron6572 10/05/15 6572 3
41268 현재 이영호의 스타판 전체 지배력을 엿볼 수 있는 한 판이었습니다. [44] Dizzy7077 10/05/13 7077 0
41227 이영호의 과거 그리고 현재.. (history) [15] Ascaron5210 10/05/10 5210 2
41022 이영호 선수의 2연속 양대결승 진출이 이루어지길.. [40] Ascaron5352 10/04/22 5352 2
40966 비교 그리고 폄하하는 행위는 하지 맙시다. [37] Ascaron5019 10/04/18 5019 0
40958 이영호와 이제동 [146] 케이윌11097 10/04/17 11097 0
40776 이제동선수는 이미 본좌로 인정받은게 아니었나요. [255] 케이윌9090 10/04/05 9090 6
40678 역대 MSL 4강진출자 명단 및 횟수 [12] Korea_Republic4895 10/03/23 4895 0
40671 우리 모두의 MSL을 위하여 [25] 영웅과몽상가5455 10/03/22 5455 1
40619 각 게임단별로 보는 역대 MSL 우승자 [15] Korea_Republic5390 10/03/15 5390 0
40469 대인배 김준영이 생각났던 경기 [24] 대한건아곤6247 10/03/02 6247 0
40422 NATE MSL 결승전 3경기 우세승 판정에 대한 비판을 불편해 하시는 분들께... [65] 풋내기나그네6472 10/02/24 6472 1
40352 99PKO부터 NATE MSL까지의 리그 방식 변천사 [17] 彌親男5452 10/02/17 5452 1
40325 100211 기록으로 보는 경기 - MSL 서바이버 토너먼트 1,2조 [7] 별비4034 10/02/11 4034 0
40314 대한항공스타리그 시작에 앞서 개인적으로 꼽은 스타리그 오프닝 Top5+2 [84] 임이최마율~8038 10/02/09 8038 2
40187 저그가 이영호를 상대하는 방법. (NATE MSL 결승 분석글입니다) [36] 블랙독6531 10/01/28 6531 0
40101 양대리그 커리어랭킹 [33] 信主SUNNY4824 10/01/25 4824 2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