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09/03/07 22:14:13
Name ataraxia
Subject 스타크래프트 고해상도 모드
스타크래프트가 정상적으로 설치된 시스템에서 사용하세요!
립버젼은 실행여부를 모릅니다;;;;(무책임-_-;;;)

첨부파일을 다운받아 압축을 푼뒤
reshack.ini파일에서 ScreenWidth와 ScreenHight란의 숫자를 자신이 원하는 해상도로 바꾸어 줍니다.

예 : 800*600, 1024*768, 1088*612, 1152*864, 1280*1024 등등



실제 게임화면이 아닌 배틀넷 화면이나 오리지널 부르드워 선택 창에서는 640*480으로 나옵니다.


하지만 리플레이를 실행하거나 실제 게임을 할 때는 자신이 설정한 해상도로 바뀌어 화면에 출력됩니다.


참고로 24인치 모니터의 최적 해상도인 1920*1200으로 설정하면 화면이 깨져서 나옵니다.
1920*1080으로 설정해서 사용하시길 바랍니다.

Windows XP & Vista x86 or x64에서 실행가능합니다.

Download는 아래 링크를 눌러주세요.
http://nofate.tistory.com/attachment/cfile24.uf@137D820D49B271C1336958.zip





원문출처
http://nofate.tistory.com/entry/스타크래프트-고해상도-모드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택용스칸
09/03/07 22:15
수정 아이콘
위에 화면은 해상도가 어떻게 되나요..?
ataraxia
09/03/07 22:16
수정 아이콘
스샷에 있는 화면은 1920*1080 해상도입니다.
FantaSyStaR
09/03/07 22:16
수정 아이콘
프로게이머들이 이화면을 쓴다면..;
도달자
09/03/07 22:17
수정 아이콘
이런툴프로그램도 일종의 핵이아닐까 생각해요;; 만약 컨트롤만 완벽히할수있으면 대략;;
09/03/07 22:18
수정 아이콘
방송에서 사용해주면 좋겠네요.
원더걸스
09/03/07 22:20
수정 아이콘
선수들이 쓰는거 보다는...

화면을 좀더 확대해서.. 중계할 때 옵저버화면정도로 쓰면 적당하지 않을까 싶어요...

요즘은 기본 2~3부대 씩 충돌하니;; 한화면 가득!!;;
09/03/07 22:21
수정 아이콘
모니터 30인치쓰는데 2560 *1600하니깐 에러나네요;;
택용스칸
09/03/07 22:21
수정 아이콘
스타도 WWE처럼 리플레이 기능이 있어서 오늘 김택용 선수처럼 3방향 동시 공격이라면 리플레이로 보여주는 것도 생각해보았는데.. 아직 무리인 것 같더군요..
ataraxia
09/03/07 22:23
수정 아이콘
칼새님// 해상도를 약간 변경해보세요. 글에서 언급했다시피 저 역시 24인치에서 1920*1200로 설정하면 화면이 깨져서 나왔습니다.
09/03/07 22:29
수정 아이콘
ataraxia님// 아.. 1920*1080에서는 실행되는데 그이상의 해상도에서는 실행종료 디버그 뜨네요..
해상도 조절을 해봐야겠네요.. 근데 이 넓은 화면으로 스타하는데 적응하기 쉽지 않겠던데요^^;;
EsPoRTSZZang
09/03/07 22:31
수정 아이콘
예전에 동영상으로 나왔던 그 프로그램 인가요??? 오오옷!
09/03/07 22:33
수정 아이콘
방송에서 대규모 전투장면 중계에사용된다면 멋있는 연출이 가능하겠네요.
아델라이데
09/03/07 22:34
수정 아이콘
옵저버 화면은 좀 힘들지 않을까요? 리플레이 화면도 아니고 실제 게임진행 상황에서의 옵저버인데, 고해상도에서 좀 느려질 수도 있을 것 같구요, 경기 끝나고 리플레이 화면 보여줄 때 사용하면 괜찮을 듯 싶어요.
09/03/07 22:37
수정 아이콘
중계에 활용되기를 꼭 바랍니다...!
09/03/07 22:45
수정 아이콘
이 넓은화면을 옵저버화면으로 쓰면 해설들이 상당히 바빠질것 같습니다..
09/03/07 22:53
수정 아이콘
테...테란 첫미션!!
09/03/07 22:57
수정 아이콘
옵저버 하기에 편할 것 같네요. 이 화면으로 직접 플레이하기엔 미니맵 보기도 힘들고 인터페이스도 작고....;;
하얀그림자
09/03/07 23:11
수정 아이콘
오우. 저 립버전인데 되는데요? 이렇게 보니 또 새로운 맛이 나는데요. 멋집니다. 하하.
09/03/07 23:21
수정 아이콘
한판 해보고 왔는데 시야가 넓은 사람이 아닌 이상 못해먹겠네요.
거기다 미니맵에 어택 클릭하면 어택찍은 위치 상관 없이 6시쪽으로 이동하네요. 마인도 맵핵처럼 보이진 않지만 박혀 있는게 티가 나구요. 고쳐야 할 부분도 있는 것 같구요.
플레이용은 아닌 것 같아요.
바카스
09/03/07 23:38
수정 아이콘
플레이하기는 좀 그렇네요.. 방송사에서 옵저버용으로 쓰면은 좋을 것 같습니다.
풍운재기
09/03/07 23:58
수정 아이콘
다크 꾸물거리는게 고해상화면으로 보니 너무 쉽게 보이더군요.
nekohand
09/03/08 00:22
수정 아이콘
이거 좋은데요? 단축키만 외워서 하면 아이콘은 누를 필요 없고
아직 좀 버그가 있는 거 말고는 쓸만한거 같네요.
3:3 팀플같이 여러 상황 신경쓰는 게임에서는 유용하네요.
하얀그림자
09/03/08 00:31
수정 아이콘
풍운재기님// 저도 그 현상 봤어요. 검은색으로도 보이고, 그런건 좀 아쉽더군요. 클로킹유닛은 다 그런가?
ataraxia
09/03/08 00:33
수정 아이콘
풍운재기// pgr에 올리기 전에 테스트 좀 하려고 먼저 네이트로 보내려 했는데;;;-_-+ 대화창 열리면 대답 좀 하셈...
09/03/08 01:09
수정 아이콘
지금 해봤는데 3D 스타크래프트를 하는 느낌이 드네요. 신선한 자료 감사합니다.
예아나무
09/03/08 02:39
수정 아이콘
중계할때 이 프로그램 썼으면 좋겠네요.
이 프로그램을 쓰는 게임연출을 따로 조인시켜서 대규모 병력 싸움할때 화면 전환하는 식으로 구성하면 재밌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드네요.
오렌지
09/03/08 03:49
수정 아이콘
중계할때 썼으면 좋겠습니다.
옵저버 화면만이라도요..
안정성이 문제된다면 경기가 끝나고 나서 중요장면 리플레이 보여줄때라도 시험적으로 한번 사용했으면 합니다
조기찬
09/03/08 06:50
수정 아이콘
새로운 세상이 펼쳐지는 것 같습니다.
조금만 수정한다면 완전해질 것 같습니다.
온겜이나 엠겜에 컨택해서 꼭 쓰여지길 바랍니다~!
김연우
09/03/08 11:12
수정 아이콘
왠지 삼국지 보는듯한 기분이군요
09/03/08 11:21
수정 아이콘
시야가 넓어져서 대규모 병력 컨트롤이 쉬워진 느낌 다만 미니맵 클릭이 안먹힌다는게 좀 답답하네요.
그래도 왠지 스타실력이 향상된느낌이 드는듯
09/03/08 12:14
수정 아이콘
우와 이거 옵저버 할 때 서브 옵저버로 두면 예술이겠는데요..
알럽스노보딩
09/03/09 01:44
수정 아이콘
방금 이걸로 배틀넷 해서 팀플해보았습니다.
쓰리칼라 러시가 들어왔는데 시야가 많이 확보되어서 그런지 방어가 수월했습니다.
상대팀이 병력 돌리는것에 대한 파악이 쉬워서 그런 것 같습니다.
그런데 다 이기고 나서 상대팀이 모두 나가니깐 disconnect 창이 뜹니다.
혹시 핵으로 인식되어서 디스가 된 것일까요?
한게임밖에 안해봐서 정확히는 모르겠습니다.
09/03/09 09:21
수정 아이콘
좀더 보완하면 미니맵을 키우는 것도 가능하지 않을까요? 좋네요. 꼭 방송에서 봤으면 좋겠습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공지 댓글잠금 통합 규정(2019.11.8. 개정) jjohny=쿠마 19/11/08 425968 0
공지 게임게시판 운영위원회 신설 및 게임게시판 임시규정 공지(16.6.16) [3] 노틸러스 15/08/31 490903 4
공지 공지사항 - 게시판 글쓰기를 위한 안내 [29] 항즐이 03/10/05 662072 13
81691 [LOL] 승자 결승이 있었는데요.. 없었습니다. LCK 플옵 한화vsKT 후기 [41] 하이퍼나이프5193 25/09/20 5193 2
81690 [LOL] 2025 월즈 슬로건으로 추정되는 문구가 확인되었습니다. [6] 코라이돈4995 25/09/20 4995 1
81689 [LOL] 2025 롤드컵 트로피. 소환사의 컵이 새롭게 디자인 됩니다. [10] Leeka5921 25/09/20 5921 0
81688 [LOL] 4세트 람머스 픽에 대한 김정균 감독의 반응 [64] Lz10139 25/09/19 10139 10
81687 [LOL] LCK에서 3시즌 내내 반복된 역사와, 바뀐 역사 [25] Leeka9711 25/09/19 9711 8
81686 [LOL] 어둠을 뚫고 내가 돌아왔다! LCK 플레이오프 T1 vs DK 후기 [33] 하이퍼나이프11337 25/09/18 11337 4
81685 [LOL] LCK 롤드컵 시드 관련 [30] 영혼9885 25/09/18 9885 4
81684 [LOL] 김대호 코치 “이기는 게 더 상상돼서 아쉬웠다” [138] 반니스텔루이12857 25/09/18 12857 0
81683 [LOL] 어쨌든 진출 [55] roqur8915 25/09/18 8915 3
81682 [LOL] 월즈에 진출한 20명의 월즈 연속 진출 기록 정리 [9] Leeka4753 25/09/18 4753 0
81681 [LOL] 각 팀별 월즈 우승시 행복 시나리오 [24] 잘생김용현4431 25/09/18 4431 2
81680 [LOL] 티원과 딮기가 롤로파 1시드 결정전을 펼칩니다. [87] Leeka7589 25/09/18 7589 1
81679 [LOL] 노란 폭풍을 잠재우고 북벌을 향해 - LCK 플레이오프 DKvsBFX 후기 [47] 하이퍼나이프8436 25/09/17 8436 8
81677 [LOL]2025 리그 오브 레전드 아시아 인비테이셔널(ASI) 확정! [75] 본좌8840 25/09/17 8840 2
81676 [LOL] 현재 LPL 상황 [30] 포스트시즌13362 25/09/16 13362 2
81675 [오버워치] OWCS 2025 스테이지 3 3주차 리뷰 [2] Riina5231 25/09/16 5231 0
81674 [LOL] KT vs HLE 승자조 경기 결과는 어떻게 될 것인가. [99] 자유형다람쥐17407 25/09/15 17407 10
81673 [LOL] 이 와중에 LPL 상황 [22] 포스트시즌18653 25/09/14 18653 1
81672 [발로란트] T1 이겨줘.. [7] 김삼관10203 25/09/14 10203 0
81671 [LOL] [LCP] 2025 월즈에 올 베트남 팀이 결정되었습니다. [3] BitSae7350 25/09/14 7350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