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07/12/04 17:48:41
Name 프렐루드
Subject 선수추천을 위한 자료입니다.
각종 후보선정에 참고가 될까 해서 올려봅니다. PP기준으로 해서 쭈욱 뽑아봤습니다.

MIP PP 순위(연초 PP점수가 300점 이하 선수기준, 연초 PP와 현재 PP의 차이가 점수가 됨)

MIP PP순위 선수 현재PP - 연초PP 연간전적 연간승률
1위  박성균 622.59(752.97, 130.39) 27승/15패 64.29%
2위  이영호 403.12(548.31, 145.19) 31승/24패 56.36%
3위  신희승 197.08(491.29, 294.21) 36승/30패 54.55%
4위  김구현 184.39(353.82, 169.43) 30승/19패 61.22%
5위  김성기 179.75(365.29, 185.54) 34승/25패 57.63%
6위  주현준 166.45(315.00, 148.55) 20승/16패 55.56%
7위  한상봉 144.21(261.00, 116.79) 13승/11패 54.17%
8위  박정욱 137.04(282.23, 145.19) 24승/16패 60%
9위  이승훈 133.99(279.18, 145.19) 22승/22패 50%
10위  박찬수 126.10(393.97, 267.87) 36승/21패 63.16%

MSL 우승을 앞세운 박성균 선수가 수위에 올랐습니다. MIP의 측면에서 볼때 후보는 1-4위로 볼때 점수, 승률은 박성균 선수, 다승은 신희승선수, 밸런스는 이영호 선수의 순입니다.

MIP-All PP 순위(300점 이하기준 제거)

MIP PP순위 선수 현재PP - 연초PP 연간전적 연간승률
1위  박성균 622.59(752.97, 130.39) 27승/15패 64.29%
2위  김택용 604.26(999.97, 395.72) 54승/33패 62.07%
3위  송병구 554.89(880.56, 325.66) 65승/30패 68.42%
4위  이영호 403.12(548.31, 145.19) 31승/24패 56.36%
5위  진영수 285.83(679.09, 393.26) 50승/38패 56.82%
6위  김준영 252.47(665.05, 412.59) 46승/33패 58.23%
7위  변형태 239.03(698.07, 459.05) 53승/30패 63.86%
8위  이제동 235.49(609.14, 373.65) 62승/32패 65.96%
9위  이성은 231.81(565.69, 333.89) 36승/28패 56.25%
10위  신희승 197.08(491.29, 294.21) 36승/30패 54.55%

연초 300점 기준을 제거하더라도 수위는 박성균 선수입니다. 하지만 2, 3위에 최강의 포스를 뿜어대는 두 선수가 위치 하였습니다. 이 두선수가 올해 얼마나 성장했는지를 보여주는 수치라고 생각되네요.

Peak PP 순위(연간 최고점 PP를 기준)

Peak PP순위 선수 Peak PP 연간전적 연간승률
1위  마재윤 1138.47(2007.02.24) 52승/36패 59.09%
2위  김택용 1082.77(2007.11.30) 54승/33패 62.07%
3위  송병구 1054.14(2007.07.18) 65승/30패 68.42%
4위  이윤열 926.48(2007.02.24) 37승/34패 52.11%
5위  변형태 925.58(2007.07.21) 53승/30패 63.86%
6위  김준영 823.46(2007.07.21) 46승/33패 58.23%
7위  진영수 798.55(2007.06.29) 50승/38패 56.82%
8위  박성균 752.97(2007.12.01) 27승/15패 64.29%
9위  이성은 751.17(2007.07.17) 36승/28패 56.25%
10위  전상욱 700.59(2007.01.31) 28승/27패 50.91%

연간 PP기준 최고점을 기준으로 산정한 순위입니다. 대부분의 선수가 결승전을 전후로 최고의 PP점수를 거뒀습니다. 문제는 마재윤선수의 점수를 07시즌으로 볼 수 있느냐 하는 점입니다. 올해의 선수에 연계되는 부분인데요. 사실 이 점수는 의미가 없어보입니다. 왜냐하면 김택용 선수나 송병구 선수가 스타리그를 우승한다면 마재윤선수의 점수에 근접하거나 상회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현재 PP 순위

PP랭킹순위 선수 PP 순위변동 점수변동 연간전적 연간승률
1위  김택용 999.97 [-]  -44.94 54승/33패 62.07%
2위  송병구 880.56 [-]  -48.24 65승/30패 68.42%
3위  마재윤 853.97 [-]  -46.68 52승/36패 59.09%
4위  박성균 752.97 [▲1]  +20.03 27승/15패 64.29%
5위  변형태 698.07 [▼1]  -52.72 53승/30패 63.86%
6위  진영수 679.09 [▲1]  -34.20 50승/38패 56.82%
7위  김준영 665.05 [▼1]  -57.93 46승/33패 58.23%
8위  이제동 609.14 [-]  +17.83 62승/32패 65.96%
9위  윤용태 566.6 [▲1]  -13.39 49승/28패 63.64%
10위  이성은 565.69 [▼1]  -18.02 36승/28패 56.25%

이건 패스 하겠습니다.

올해의 선수 후보(김택용, 송병구) 올해의 기량발전(송병구, 박성균, 이영호, 신희승) 정도는 위의 순위로 봐도 별다른 고민없이 뽑아낼 부분인듯 싶습니다. 올해의 프로토스 역시 김택용, 송병구 2파전이구요. 문제는 올해의 테란, 올해의 저그(아무래도 마재윤선수겠죠? 한풀 꺾인 인상이더라도요)가 고민거리라고 생각합니다. 올해의 테란에는 이윤열, 변형태, 진영수 선수 정도가 눈에 띄고 올해의 저그에는 마재윤, 김준영, 이제동 선수정도가 눈에 띕니다.

그나저나 여러부분의 후보군에 들어갈 선수들이 스타리그 4강에 포진하고 있으니...(신희승 선수도 스타리그 결승전 진출 혹은 우승한다면 단박에 기량발전 상 후보라고 생각됩니다.) 이번 스타리그는 올해를 여러가지로 마무리하는 대회가 되겠네요.

p.s. 그나저나 다시한번 살펴보니 3.3 혁명 이전의 마재윤선수의 포스는 후덜덜하네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이카르트
07/12/04 17:50
수정 아이콘
일목요연하군요. 멋진 자료.
My name is J
07/12/04 17:50
수정 아이콘
대략 이번 시즌 스타리그만 잘 치뤘어도 내 올해의 저그로 김준영선수를 마구 밀어 볼텐데 말입니다. 유일한 저그우승자 아닙니까....
그런데 막 공군전에 지질 않나..ㅠ.ㅠ.<---막상 미네랄은 공군에 베팅했음.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33183 김택용선수 수고했습니다.. [14] Missing you..4270 07/12/14 4270 2
33182 도대체 송병구선수를 어떻게 이기라는 건가요? [26] ISUN4977 07/12/14 4977 0
33181 본좌론은 끝인가??... [40] Rush본좌4935 07/12/14 4935 0
33180 충격과 공포네요. 공변뱅의 압도적인 이 포스... [27] aura5306 07/12/14 5306 0
33178 무결점의 총사령관!!! [7] 보아남자친구5127 07/12/14 5127 0
33177 Perfect,송병구. [146] SKY926204 07/12/14 6204 0
33176 이겨주세요.. [8] 파하하핫4210 07/12/14 4210 0
33175 개념있는 커리어랭킹 [44] fourms5267 07/12/14 5267 0
33174 이제동의 이미지, 그 모습은 마치 한마리의 날렵한 매와 같았다. [10] legend4414 07/12/14 4414 1
33173 무결점의 총사령관, Imperator 송병구 [10] 종합백과3938 07/12/14 3938 0
33172 무결점의 총사령관의 승전보를 기다리며... [4] 하성훈4575 07/12/14 4575 0
33171 [팬픽] 새벽의 사수 [6] kama5120 07/12/14 5120 5
33170 저그전의 신들린듯한 멀티태스킹, 기적의 혁명가 당신을 결승에서 보고싶습니다!! [47] 내가바라는나5520 07/12/14 5520 1
33169 아이러니한 SKT T1의 팀 구조. [67] 모짜르트10791 07/12/13 10791 6
33168 프저전, 제 입스타를 실현시켜 주세요 [53] 산타6119 07/12/13 6119 0
33167 [단편] 프로토스 공국(公國) 이야기 [17] 설탕가루인형4735 07/12/13 4735 4
33166 혹시 오늘 새벽에 베넷에 계셨던 분들 [10] 파일널푸르투6662 07/12/13 6662 1
33164 이스포츠(스타) 에서의 여러 설레발들 [26] 불타는 저글링6798 07/12/13 6798 3
33163 이윤열이 이제는 최연성 잡는 법을 안것 같습니다. [43] 매콤한맛7008 07/12/13 7008 0
33162 우주 전쟁, 시대의 흐름, 그리고 새로운 도래 (수정) [13] Akira5736 07/12/13 5736 4
33161 줄타기와 뒤집기, 박서의 매력 [21] 설탕가루인형6378 07/12/12 6378 2
33160 악마는...... [6] 테크닉션풍5588 07/12/12 5588 0
33159 1년전 wp 랭킹과 현재의 wp 랭킹 [9] fd테란25174 07/12/12 5174 2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