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07/11/12 23:28:42
Name 레모네이드
Subject 김윤환선수, 이걸 질수가 있나요...
스타를 보면서 많은 역전경기를 보았지만
이긴선수에게 박수를 보내기보다 진선수에게 책망을 하고 어떻게 이걸 질수가있나 하는 말이
나오는 경기는 이경기가 처음입니다.

임요환대 도진광은 도진광선수가 그닥 못했다기보다 임요환선수가 잘했고
이윤열대 한승엽경기 역시 한승엽의 실수를 지적하기보단 이윤열선수의 플레이를 칭찬해줘야 하며
최연성선수의 최근 역전경기(상대가 누구인지 가물가물..)는 그렇게 양방향 드랍을 한 최연성선수가
더 눈에 들어오지만

오늘 있던 염보성선수대 김윤환선수의 경기는
염보성선수보다도 김윤환선수의 실책이 눈에 확 들어오네요

테란 멀티까지 띄우고 자신은 4가스를 가져갔는데 어떻게 그렇게 질수가있나요.
더더군다나 상대는 메카닉병력인데 왜 그리 히드라를 많이 뽑았는지...
저글링은 뽑지도 않고 (나중에 자원모자라니 그떄가서 뽑더군요) 아드레날린 업글도 안하고
오버로드 속업도 안되있어서 히드라가 마인에 대거 폭사당하는 상황이 계속 일어났습니다.

해설자분이 이거 지려면 정신이 혼미해지거나 홀리지 않고서는 안된다라고 여러번 말하셨는데
그게 씨가 되었던 걸까요?

정말 그말대로 김윤환선수 뭐에 홀린듯 히드라만 줄창뽑아서 마인에 들이박더니 어느새
경기는 염보성선수로 기울고 결국 역전패를 당하고 말았습니다.

결국 3:1로 이길수있었던 stx는 에이스결정전까지가서 3:2로 지고말았네요.


김윤환선수...
이 경기를 독으로 삼아 그리고 채찍으로 삼아
다시는 이러한 실수가 없도록 최선을 다해주십시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07/11/12 23:33
수정 아이콘
김윤환 선수 박대만 선수 오늘 충격과 공포였습니다;;
로바로바
07/11/12 23:38
수정 아이콘
사실 그정도로 유리한 상황은 아니였던거 같구요 해설하시는분들이 너무 이리갔다 저리갔다 하셨는데
안돌아가는 멀티도 있었고 그렇게 유리하다고 말하던 상황 조차도 인구수 비슷했고 말이죠
역전극이긴 한데..대역전극까지는 아닌듯
07/11/12 23:40
수정 아이콘
아까 염보성 선수 멀티 위에 있던 8기의 히드라 5마리인가 6마리인가 잡히는 동안 아예 반응 하지 못하고 있더군요....
딱히 본진 같은거에 신경 쓸만한 상황도 없었구요.. 해설자분 말씀대로 계속 맵에 신호가 떴을텐데...
오늘 경기는 좀 아니었던 것 같습니다. 그리고 다시 디파일러 뽑으면서 해설자분들 완전 김윤환 선수가
엄청 유리하다고 해설하는거 듣다가 껐는데 파포 가보니 졌더군요 ;;
결명자
07/11/12 23:46
수정 아이콘
로바로바//사실 해설이 잘봤다고 생각합니다.ㅡㅡ.
테란은 본진자원으로 바이오닉도아니고,메카닉을 하려고했는데. 위쪽 윗마당(?)도 못돌려서 겨우겨우 중앙쪽가져간상황이고,
저그는 아무런 지장없이 4곳에 멀티를 한상황이고,테란병력자체도, 골리앗중심이고, 탱크도 거의없었어요.
한타이밍 잡아서 저글링+히드라로, 6시쪽부터 쭉들어갔으면, 정말테란본진 초토화될뻔했는데....
리켈메
07/11/12 23:51
수정 아이콘
확실히 엄청 유리했죠...지기 힘들정도로...김윤환 선수 ome 같은 경기력을 보여줬지만 염보성 선수도 분투했고 칭찬받아야 할만 하다고 생각합니다.
산사춘
07/11/12 23:57
수정 아이콘
솔직히 오늘 경기는 김윤환 선수가 너무 유리한 나머지 자제력을 잃은것이 아닌가 싶습니다
일방적으로 유리하다 보니 판단력등이 상실하여 병력구성이나 저글링 아드레날린 업글도 안하고 말이죠.
테란의 병력 많지도 않았고 자원도 넉넉치 않았으니..
자신이 그냥 병력으로 밀어붙히면 무조건 이긴다는 생각이 강한것 같더군요.
염보성 선수도 잘했지만
오늘 경기는 김윤환 선수가 너무 유리한 나머지 마지막 경기이고 해서 관광때릴려다 망친경기라고 생각합니다
올드카이노스
07/11/13 00:02
수정 아이콘
딱히 자원견제를 받았던 것도 아니고..뮤링만 뽑아서 몰아쳤어도 이겼을 것 같은데..;;아쉽더군요
07/11/13 00:36
수정 아이콘
김동준해설이 거의 끝났다는 듯이 해설도 했었죠..정말 질 수 없었던 거 같은데
07/11/13 00:47
수정 아이콘
참 질 수 없는 경기를 졌다고 생각합니다.
만약 고등학교때 친구끼리 게임해서 이런 경기 나왔다면 몇달을 우려먹을만한 사건이었겠죠...

그나저나 MBC 해설진들 전부 말을 조신조신 하다가 갑자기 흥분하면 급 목소리 커지면서 어버버 하는거...
가만히 리모컨을 놔두고 볼 수가 없습니다....
KCM께서 흥분 시작하시면 우선 볼륨을 내려야...
스피넬
07/11/13 01:44
수정 아이콘
경기보면서 딱히 할 말... 하나도 없더군요...
예전에 강민선수 리콜 처음봤을 때 넋놓고 보던 제 행동과 비슷했지만 이건 기분이 너무 안좋네요^^

처음에 히드라 잡힐 때 컨디션 안좋은가하고 불안했었죠
하지만 멀티에 있는 빵빵한 드론수 보고 무난하게 이기겠네 싶었는데...

최연성&김성기선수 경기는 에결까지 갔지만 승패에는 변함이 없었는데
이건 뭔가요 -_- 금방 몰아쳐서 3:1로 이기는 줄 알았는데 지다니요!
초보저그
07/11/13 04:00
수정 아이콘
염보성 선수도 잘했지만 김윤환 선수가 너무 삽질했죠. 아무리 염보성 선수가 잘했어도 김윤환 선수가 보통보다 조금 못하는 정도로 이끌었더라도 이기는 경기였습니다. 예전 최연성vs김성기 선수 경기도 그렇고 관광 때릴 수 있는 기회라도 마인드 컨트롤을 잘 해야하는 것 같습니다. 너무 신나서 막 들이대다보면 어처구니 없는 역전승이 나올 수 있습니다. 고기도 먹어본 사람이 잘 먹는다고 평소에 그런 경기들 종종 보여주는 선수들의 경우는 완벽하게 밀봉관광을 시키는데 비해서 김윤환, 김성기 선수는 거의 처음 맞는 기회라 의욕이 너무 앞섰던 것 같습니다.
마음의손잡이
07/11/13 06:57
수정 아이콘
거짓말 안하고 피지알의 고수분이 자리를 대신해도 이길 수 있는 상황아니었나요?
정말 좌절이었습니다.
라구요
07/11/13 07:09
수정 아이콘
역전승이라고 보진않습니다.......
몬티홀의 저주라고 밖엔......
이해할수없는 경기가 속출..
07/11/13 09:37
수정 아이콘
유리하긴 했어도 그렇게까지 절대로 질 수 없는 경기라곤 안 보였습니다.

그리고... 도진광 선수는 아무리 봐도 "그닥 못 했다기보다"라는 말보다는 훨씬 못했다고 생각합니다.
금쥐유저
07/11/13 09:55
수정 아이콘
김윤환선수 오늘 참..
이해할수 없는 플레이였습니다. 다음엔 좀더 좋은모습 보여주리라 믿구요.
그리고 도진광 선수는 확실히 그 파라독스맵에서 정말 말도안되는 안좋은 플레이를 했었죠..;;
임요환선수가 침착하게 상황파악을 잘해가면서 플레이한것도 있지만..
아무튼 STX다잡은 고기를 놓치네요 안타깝습니다..
중년의 럴커
07/11/13 09:59
수정 아이콘
그레이트 스파이어 간 다음에 뮤탈을 전부 조이기 병력에 헌납한 그 공격부터 꼬였다고 봅니다.
저같은 하수 저그 유저야 상대적으로 저렴하고 뽑은 다음 오버로드와 함께 어택땅하는데 편해
히드라만 줄창 뽑지만, 어제는 정말 아니다 소리가 절로 나오더군요. 값싼 저글링만 같이 써
주었으면 상황이 훨씬 나았을 것입니다. 결국 그레이트 스파이어는 왜 올렸는지.... 그럴거면
차라리 퀸이라도 적절히 섞어 커맨드 적당히 타격하고 먹어버리는 것도 충분히 좋았을 것입니다.
07/11/13 10:09
수정 아이콘
경기 이후에 리플 복기를 하면서 해설자분들께서 하신 말씀중에 귀에 쏙 들어오는 말이 있었습니다.
내가 지금 뭘하고 있는거지 ? 뭐야;;; 이런 생각이 머리속에 가득~ 차버러셔 그냥 뽑던 유닛만 계속 뽑아서 들이부어버리고는
게임은 패배. 팬들의 질책. OME의 홍수.......... -_-;;;
토막이라 불리는 선수들은 다들 대 종족전에 대한 트라우마같은게 있는건 아닐까;;;;;;;;;; 라는 생각도 잠시 들더군요.
너무 안타까웠습니다.
토막이라는 단어가 언능 사라졌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했었네요;;
앙앙앙
07/11/13 11:03
수정 아이콘
토막이라는 게 토스전을 잘못한다는 뜻아닌가요 ?
허저비
07/11/13 12:38
수정 아이콘
한 게임 안에서 몇가지의 실수가 나올 수 있는가...?
근래 본 경기 중에서는 가장 실수가 많았던 경기라고 단언합니다(;;)
그 실수들 중 1~2개만 안했어도 이겼을것 같은데...
07/11/13 12:49
수정 아이콘
토막=토스전 막장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32911 김택용, 훼손당할 것인가 [36] 김연우11744 07/11/18 11744 69
32910 댓글잠금 정말 팀리그를 좋아하는 사람들이 더 많나? [94] epichigh8385 07/11/18 8385 26
32909 바둑의 경우처럼 "타이틀" 형태의 스타리그 개최는 어떨까요? 그러면 종족전용맵을 쓸수 있습니다. [13] 4595 07/11/18 4595 0
32908 영원한 강자는 없다 [5] 로바로바4447 07/11/18 4447 2
32907 팀리그의 장점 [24] 정테란4328 07/11/18 4328 1
32906 곰TV 시즌3 결승전 사진후기 [트래픽문제 수정;] [9] 태상노군4703 07/11/18 4703 0
32905 어제 MSL 결승 정말 재밌군요. [7] 이직신5553 07/11/18 5553 1
32904 뒷 담화를 봤습니다. [18] 처음이란6847 07/11/18 6847 0
32903 결승전 리뷰 - 양산형의 반란, 새로운 시대의 도래 [12] 종합백과6506 07/11/18 6506 9
32902 결승전 1경기 양선수 빌드오더입니다. [12] 태엽시계불태6306 07/11/18 6306 3
32901 스타크래프트2에 바라는 새로운 인터페이스(?).. [8] 청바지4886 07/11/18 4886 0
32900 오랜만에 다녀온 MSL 결승전 사진과 후기~! -ㅂ-)/~ [10] Eva0105518 07/11/18 5518 1
32899 스타크래프트 판에도 랭킹제 도입은 어떨까 합니다. [2] This-Plus4329 07/11/18 4329 0
32898 간단히 적어보는 곰티비 MSL 시즌3 결승전에 대한 단상. [12] MaruMaru4870 07/11/18 4870 0
32897 MSL을 진출했을때 한 박성균의 인터뷰 [6] 못된놈6288 07/11/18 6288 0
32896 주변에 pgr 하는 사람이 몇명이나 있나요? [44] pioneer5074 07/11/17 5074 0
32895 MSL 결승이벤트 당첨자 ... 10만원의 주인공은 ...? [32] 메딕아빠4797 07/11/17 4797 2
32894 김택용, 마약 처방 대신 기본기에 충실하라! [37] ArcanumToss7783 07/11/17 7783 9
32893 재미있어지게 되었습니다 - 박성균, 이윤열 선수. 그리고 위메이드 폭스. [20] The xian6651 07/11/17 6651 5
32892 김택용 선수 아쉽지만 그래도 당신은 '본좌'입니다 [21] sch3605306 07/11/17 5306 0
32891 2007.11.17일자 PP랭킹 [7] 프렐루드4651 07/11/17 4651 1
32890 아... 오늘 결승전 정말 충격입니다. [5] 메렁탱크5099 07/11/17 5099 0
32889 팀리그로의 회귀만이 옳은 길인가요? [44] 물빛은어5058 07/11/17 5058 1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