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07/11/12 01:59:52
Name 필리온
Subject 바뀌어가는 것.
양신, 프로야구 선수이지만 '신'으로 불리는 선수가 있다. 삼성의 팬이라면 한번쯤은 누구나 불러봤을 이름. 양준혁.
나는 93년인가 94년인가, 중학생 때 신문에서 읽었던 양준혁의 1차 지명 기사를 기억한다. 삼성은 걸출한 왼손 거포 양준혁을 지명할 가능성이 높다고.
그 신문을 보았던 때로부터 벌써 13년인지 14년인지가 지났다. 양준혁은 선수협으로 트레이드되는 아픔이 있었지만, 결국 삼성으로 돌아왔다. 그리고 14년이 지난 지금도, 삼성의 주축 타자로 활약하고 있다. 내가 삼성이 지면 훌쩍거리던 코흘리개 아이일 때 야구를 시작했을 양준혁은, 내가 서른을 바라보는 지금도 그라운드에서 누구보다 최선을 다해 뛰고, 슬라이딩하고, 다이빙한다. 그래서 사람들은 그를 '양신'이라고 부른다.

스타크래프트라는 게임이 나온 것은 내가 대학교 1학년 때였던 걸로 기억한다. 왜 그렇게 스타크래프트가 폭발적인 인기를 얻었는가, 그것은 나도 잘 모르겠다. 수많은 외부적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했겠지. 아무튼, 그 뛰어난 게임은 플레이를 지켜보는 것만으로도 재미를 줄 수 있는 전략 게임이었고, 그에 따라 처음으로 게임 방송이라는 것이 생겨난다. 그것이 자리를 잡고, 활성화되고, 시간이 흐르고...
내가 스타리그를 처음으로 (열심히) 본 것은 홍진호와 서지훈의 올림푸스 결승전이었다. 저그 유저인 나는 홍진호를 응원했지만 결과는 서지훈의 3:2 승. (그게 그 험난한 응원 세월의 시작이리라고는 그땐 미처 알지 못했지..) 신예 서지훈은 퍼펙트 테란이라는 닉네임을 얻으며 테란 진영의 최강자 중의 하나로 떠올랐다. 그 경기를 시작으로 나는 스타리그를 보기 시작했다.

얼마 전, 서지훈과 김택용의 준결승전을 보았다. 서지훈은 이미 중견 게이머, 아니 차라리 올드 게이머라는 표현이 어울릴 정도의 위치에 서 있었다. 서지훈은 결국 그 경기에서 패했다. 그리고 두각을 드러낸 지 얼마 되지 않은 김택용의 결승 상대는 김택용보다도 어린 신예였다. 그 신예는 단 2년 전만 해도 도저히 질 것 같지 않았던 최연성을 격파하고, 1년 전만 해도 도저히 질 것 같지 않았던 마재윤을 격파하고 결승에 올라왔다. 충분히 그럴 만한 실력이었다. 결승전이 기대되는 경기력이었다.

그러나 나는 단지 게임을 보려고 스타리그를 보는 것이 아니다.

너무, 빨리 변화하고 바뀌고 잊혀져 간다.

5년 전에 16강을 이루던 그 많은 선수들은 지금 무엇을 하고 있을까? 홍진호는 다시 스타리그 무대에 오를 수 있을까? 이윤열이, 최연성이, 마재윤이 도저히 질 것 같지 않았던 시절이 었었고, 그 시절은 눈깜짝할 사이에 바뀌어간다. 6개월만 스타리그에서 눈을 떼고 있으면 그새 판은 언제 그랬냐는 듯 완전히 바뀌어 있다. 모든 스포츠에 세대 교체가 있다지만 이건 너무 빠르다. 2년? 1년? 6개월? 3개월? 스타크래프트 방송을 본 지 불과 5년밖에 되지 않았는데, 5년 전의 게이머는 이미 아득한 옛날의 전설적인 프로게이머가 된 것 같다. "올드 게이머" 라고? 하지만 임요환조차도 나보다 나이가 많지 않다. 나는 올해 공채로 취직해 인생의 첫 발걸음을 내딛은 사람인데. 마치 스타리그라는 스포츠에서만, 원래부터 서른까지 살고 죽는 사람인 것처럼, 너무도 숨가쁘게 변해간다.

물론 어쩔 수 없겠지만,

다만,

게임을 플레이하는 그 선수들을, 좋아할 시간이 있었으면 좋겠다. 정들 만하면 사라져버리지 않았으면 좋겠다.



나는 양준혁을 좋아한다. 그 정든 시간만큼.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07/11/12 02:05
수정 아이콘
그러게요.. 요샌 매일 프로리그다 개인리그다 해서 게임이 있다보니.. 사실 다 챙겨보지도 못하고 묻히는 게임도 많고, 관심도 게임수가 적었던 이전보다 상대적으로 적어지기도 합니다. 그냥 좀 유명한 선수나 스토리가 있어보이는 이슈가 될 게임을 위주로 보게 되고 관심을 가지게 되죠.. 저도 그게 아쉽긴 합니다. 수많은 올드 게이머들.. 그리고 강력했던 본좌들.. 지는 모습이 넘 안타깝기도 하구요.
다시금 올드의 힘을 보여줬음 하네요. 마재윤선수도 온겜이 남았으니 선전했음 좋겠구요.
목동저그
07/11/12 04:38
수정 아이콘
저도 양신 팬이라는^^; 이스포츠는 확실히 선수들의 수명이 짧은 편이죠.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32870 팀리그의 장점과 단점 [26] 포도주스4966 07/11/17 4966 1
32869 프로토스대 테란전 커세어, 웹활용 ^^ [18] Pride-fc N0-17535 07/11/17 7535 0
32868 결국 어제 이영호선수 사건은 온게임넷의 문제! [14] 나멋쟁이6284 07/11/17 6284 0
32867 팀리그와 프로리그 적절히 섞어봅시다 [19] 돌아와요! 영웅4471 07/11/17 4471 0
32865 "본좌"탄생 임박 [18] JUSTIN5756 07/11/17 5756 1
32863 오늘 이영호 vs 마재윤 경기 정리... [40] sch3606862 07/11/17 6862 0
32862 온겜 8강 대진 설레발 [30] Axl5325 07/11/17 5325 0
32860 대박 대진표: 짜도 이렇게 안 나온다! [56] rakorn7209 07/11/16 7209 0
32859 팀리그, 케스파컵에서 일단 제대로 해봐라 [4] amiGO4130 07/11/16 4130 0
32858 올드 맵과 올드 프로게이머?? [19] 우리는-ing4463 07/11/16 4463 0
32857 저그의 딜레마 - 운영과 공격사이의 줄타기 [7] Mr.쿠우의 절규4357 07/11/16 4357 1
32855 진영수선수 스나이퍼 답네요 [114] 태엽시계불태6670 07/11/16 6670 1
32853 프로리그의 1군 2군리그 병행하는 방법 제안합니다. [16] 초신성4192 07/11/16 4192 0
32852 진짜 팀배틀 방식으로 갑시다! [169] 리콜한방8941 07/11/16 8941 14
32851 팀리그에 팀플을 넣는 법 [35] 점쟁이4982 07/11/16 4982 0
32849 팀리그와 프로리그 [8] amiGO4415 07/11/16 4415 0
32848 왜 왕중왕전 마스터즈 대회가 이벤트전일까? [27] 레모네이드4888 07/11/16 4888 0
32847 서바이버 토너먼트 예선전 대진표 나왔습니다. [34] SKY925325 07/11/15 5325 0
32846 스타2 성공할 수 있을까요? [29] 태엽시계불태5668 07/11/15 5668 0
32844 @@ GOM TV MSL Season 3 ... 결승전 참고 데이터 ...! [14] 메딕아빠4259 07/11/15 4259 0
32842 지옥문 지옥으로 가라앉는중? [15] 프렐루드4970 07/11/15 4970 0
32840 한빛 한승엽 은퇴…MBC게임 해설가로 전향(엘리트 스쿨리그 투입) [56] 회전목마9056 07/11/15 9056 0
32839 게임방송의 한계와 msl의 승리 [33] TaCuro6374 07/11/15 6374 1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