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07/09/12 21:41:24
Name 信主NISSI
Subject 그저 재미로 보는 각팀선수들의 개인리그 성적.(개인별 성적을 추가했습니다.)
* 순위는 우승횟수->결승진출횟수->4강진출횟수로 했습니다.(개인리그성적입니다.)
양대리그 성적만을 고려했습니다. 놓친 부분이 있다면 지적해 주세요.

1위 SK 텔레콤.
우승 9회, 결승 12회, 4강 22회.
준우승이 3번밖에 없으면서 9회 우승을 달성한 SK. 성적의 절반을 최연성선수가 차지하고 있으며, 세명의 박씨가 4승을 보탰습니다. 최근 합류한 박성준선수에 의해 준우승 횟수가 늘어난 정도의 느낌? 역시나 압도하는 성적을 내고 있습니다.
최연성(우승 5회, 결승 5회, 4강 8회)
박성준(우승 2회, 결승 4회, 4강 4회)
박용욱(우승 1회, 결승 2회, 4강 4회)
박태민(우승 1회, 결승 1회, 4강 4회)
전상욱(4강 2회)


2위 KTF 매직앤스.
우승 7회, 결승 21회, 4강 40회.
14회에 달하는 압도적 준우승 횟수. 결승징크스는 팀전만이 아니었습니다. 물론 이러한 성적의 가장 큰 공로자는 준우승 5회의 홍진호선수와 1회 우승 3회 준우승의 조용호선수로 구성된 양 저그라인이죠. 준결승에만 가면 우승으로 달린 것이 김동수선수가 2회, 변길섭선수가 1회이지만 압도적인 차이로 여전히 준우승 횟수가 많네요. 강점이라면 팀원들의 고른 성적정도이며, 단점이라면 개인리그에서 거둔성적의 반이상이 팀 이적 이전에 거둔 성적이란 점이겠네요. 현재 이 멤버들 중 많은 인원이 로스터에서 제외되있고, 로스터에 있는 선수들도 보기 힘든 선수들이 많아 빨리 성적이 회복되길 기원합니다.
강민(우승 2회, 결승 4회, 4강 8회)
김동수(우승 2회, 결승 2회, 4강 2회)
조용호(우승 1회, 결승 4회, 4강 8회)
박정석(우승 1회, 결승 4회, 4강 6회)
변길섭(우승 1회, 결승 1회, 4강 1회)
홍진호(결승 5회, 4강 10회)
이병민(결승 1회, 4강 4회)
이영호(4강 1회)


3위 위메이드 폭스.
우승 7회, 결승 12회, 4강 17회.
거의 대부분 이윤열선수가 거둔 성적입니다. 이윤열선수 개인으로도 3위네요. 아직까지는 원맨팀의 이미지를 떨치진 못했지만, 재창단 된 분위기를 타서 앞으로 많은 선수들의 호성적을 기원합니다.
이윤열(우승 6회, 결승 10회, 4강 11회)
한동욱(우승 1회, 결승 1회, 4강 3회)
심소명(결승 1회, 4강 1회)
나도현(4강 2회)


4위 CJ엔투스.
우승 5회 결승 8회, 4강 11회.
역시나 마재윤선수의 성적이 큰 비중을 차지합니다. 개인으로도 4위에 해당될 성적이죠. 여기에 서지훈선수와 변형태선수의 성적이 더해졌습니다. 마재윤선수의 조금은 떨어졌지만 아직도 충분히 강한 포스와 꾸준함에 있어서는 뒤쳐질 수 없는 서지훈선수와 최근 상승세의 변형태선수의 활약을 기대합니다.
마재윤(우승 4회, 결승 6회, 4강 6회)
서지훈(우승 1회, 결승 1회, 4강 3회)
변형태(결승 1회, 4강 2회)


5위 공군 ACE.
우승 3회, 결승 9회, 4강 16회.
역시나 임요환선수의 활약상이 큽니다. 결승과 4강진출은 둘다 4위를 앞서네요. 선수들이 지속적으로 합류하면서 점점 좋은 엔트리가 구성되는 만큼 큰 기대를 부르고 있습니다. 연습상대가 적은 것이 최단점인데 시간이 지날 수록 보완될 거라 생각되네요. 이번시즌 유일하게 진출한 이주영선수의 활약도 기대해 보죠.
임요환(우승 3회, 결승 7회, 4강 9회)
강도경(결승 2회, 4강 2회)
최인규(4강 4회)
성학승(4강 1회)


6위 MBCGAME 히어로즈.
우승 2회, 결승 2회, 4강 4회.
박성준선수가 빠져나가면서 개인리그에서의 관록은 절반 이하로 떨어졌네요. 그러나 김택용선수가 2회연속 우승을 차지하면서 다시금 성적을 쌓고 있습니다.
김택용(우승 2회, 결승 2회, 4강 2회)
박지호(4강 2회)


7위 르카프 오즈.
우승 1회, 결승 2회, 4강 2회.
'모두' 오영종선수의 성적입니다. 아직은 개인리그보단 프로리그의 성적에 집중되는 듯 하네요. 로열로더 1순위로 꼽히는 이제동선수의 활약을 기대해 봅니다.
오영종(우승 1회, 결승 2회, 4강 2회)


8위 한빛 스타즈.
우승 1회, 결승 1회, 4강 4회.
다음배를 거머쥔 김준영선수의 한빛입니다. 정말 많은 결승무대에 선수를 보냈던 한빛에 남은 선수는 몇 없어서 아쉽네요. 진출당시의 팀으로 순위를 책정한다면 1위를 다툴 한빛입니다. 전통의 명가, 이젠 전통만 아니라 힘도 보고 싶습니다.
김준영(우승 1회, 결승 1회, 4강 1회)
박경락(4강 3회)


9위 삼성 칸.
결승 1회, 4강 6회.
프롤리그 전길리그를 거머쥔 삼성칸. 전반기 송병구선수의 전천후 활약이 있었지만, 아쉽게도 결승과 준결승에서 좌절했습니다. 그래도 유일한 양대리그 시드배정자 송병구선수가 2번째 시즌에선 어떤 활약을 보여줄지 기대가 큽니다. 지난 시즌 저그를 거의 만나지 않았는데, 이번시즌엔 계속해서 적게 만날지, 이겨내서 오명을 떨칠지, 져서 거품론에 휩싸일 지 궁금하네요.
송병구(결승 1회, 4강 2회)
변은종(4강 3회)
이성은(4강 1회)


10위 온게임넷 스파키즈.
결승 1회, 4강 2회.
한동욱선수를 내보내면서 예전 전태규선수의 성적만이 남아버린 온게임넷입니다. 최근 분위기는 썩 좋지 않지만, 전반기 시즌을 시작할 당시의 온게임넷의 분위기를 회복한다면 다른 결과가 나오지 않을까 기대됩니다.
전태규(결승 1회, 4강 2회)


11위 STX 소울.
4강 1회.
진영수선수의 4강진출 기록밖에 없는 STX. 지난 시즌 양대 8강에 머물면서 성적을 추가하진 못했네요. 이번 WCG우승을 비롯, 최근 분위기가 최고조에 달한 만큼 뭔가 추가적인 것이 있지 않을까 기대해 봅니다.
진영수(4강 1회)


12위 이스트로.
없음.
2년만의 본선진출을 이뤄낸 만큼, 최근 예선을 뚫는 모습을 자주 보여주는 만큼 이번엔 준결승에서 이스트로선수들을 보길 원합니다. 이스트로 화이팅!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발업까먹은질
07/09/12 21:44
수정 아이콘
할말이 - -;; 이윤열 선수 한명으로도 우승횟수로는 2위...게다가 아직도 건재하다니..
그리고 t1 은 뭐...갓다하면 우승이네요 .. 역시 4강만갓다하면 거의 우승햇던 최연성선수 포스가...이래서 머씨형제죠!
꿀호떡a
07/09/12 21:46
수정 아이콘
3위는 정말 할말이 없군요 --;;;
07/09/12 21:46
수정 아이콘
소울이랑 이스트로 우승자 한명씩 배출해야겠군요
the hive
07/09/12 22:06
수정 아이콘
KTF 결승 21회 안구에 습기가.....
the hive
07/09/12 22:09
수정 아이콘
아 양대리그(온게임넷 엠비시게임)만 본 성적인가보내요
상어이빨
07/09/12 22:15
수정 아이콘
당시 소속으로 한다면.. CJ가 만만치 않을텐데..^^
강민, 박태민 우승 3회, 준우승 1회 추가가 되려나??
쿨러닝
07/09/12 22:17
수정 아이콘
KTF 7회 우승 중... 김동수 2회, 박정석 1회, 변길섭 1회는 한빛에서 이룬 것이고... 강민 2회는 슈마GO...

조용호 선수의 우승이 KTF소속으로서의 유일한 우승이었나요... ...
마술사
07/09/12 22:32
수정 아이콘
쿨러닝님//
그렇게 계산하면 이윤열선수 KTF소속일당시 했던 양대리그 우승도 계산해야 하지 않을까요
07/09/12 22:36
수정 아이콘
조용호선수 우승1회 준우승 4회가 아니고 3회입니다...
信主NISSI
07/09/12 22:40
수정 아이콘
하이님// 네. 수정했습니다. 감사합니다. 우승 1회, 결승 4회를 잘못 봤네요. --;
FC Barcelona
07/09/12 22:49
수정 아이콘
KTF 결승 박정석 4회 강민 4회 홍진호 5회 조용호 4회 변길섭 1회 김동수 2회 이병민 1회
NeVeRDiEDrOnE
07/09/12 23:08
수정 아이콘
그런데 'WCG 한국예선 우승'을 'WCG 우승' 으로 써도 전혀 어색하지 않군요 허허허^^;; 몬드라곤이나 드라코등이 있지만 이번에도 한국선수들 화이팅입니다~
Ma_Cherie
07/09/12 23:31
수정 아이콘
ktf 우승자출신 한빛 + go출신이 대부분이라서... 참 안타깝네요.
07/09/13 02:13
수정 아이콘
팀 구버젼으로~~(괄호는 성적순)
1위 IS (이윤열, 임요환, 홍진호, 성학승)
우승 9회 결승 22회 4강 31회

2위 GO (마재윤, 강민, 박태민, 서지훈, 변형태, 최인규, 전상욱)
우승 8회 결승 13회 4강 29회

3위 한빛 (김동수, 박정석, 박용욱, 변길섭, 김준영, 강도경, 박경락, 나도현)
우승 6회 결승 12회 4강 21회

참고로 한빛의 김동수 선수를 제외하면(혹은 김준영 나도현선수를 제외하면),
각 팀별로 전원이 같은 시기에 한솥밥을 먹던 때가 있었습니다.
공실이
07/09/13 05:56
수정 아이콘
레알 마드리드라.. 왜그런지 알겠군요..
노력의천재
07/09/13 08:32
수정 아이콘
공군 조금만 힘내자...
[Oops]Reach
07/09/13 16:07
수정 아이콘
이윤열선수.. 4강 11회인데 결승이 10회군요..
07/09/14 00:40
수정 아이콘
IS,GO,한빛.. 그 중 IS의 선수 엔트리는 지금 봐도 후덜덜이네요;; 당시 코치진도 송호창감독에 주훈, 김양중, 조정웅 코치진이었나요? 아무튼 후덜덜~!!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32087 차기 스타리그에 대한 약간의 제안. [3] 信主NISSI4073 07/09/16 4073 0
32052 그저 재미로 보는 각팀선수들의 개인리그 성적.(개인별 성적을 추가했습니다.) [18] 信主NISSI4873 07/09/12 4873 0
32025 지난 일주일간의 지나친 소란 [66] 信主NISSI5795 07/09/07 5795 0
31935 개인리그와 프로리그의 공존에 대한 제안. 시즌 분리. [10] 信主NISSI3851 07/08/30 3851 0
31805 차기시즌 진출자현황(2) [9] 信主NISSI5230 07/08/16 5230 0
31735 한동욱선수 이적요구 철회 [20] 信主NISSI7110 07/08/10 7110 0
31670 차기시즌 진출자현황(1) [16] 信主NISSI4395 07/08/03 4395 0
31661 3개의 맵으로 개인리그를 치루자. [17] 信主NISSI5016 07/08/03 5016 0
31641 완전섬맵. 2:2 팀플에서의 활용. [8] 信主NISSI4394 07/08/01 4394 0
31614 프로리그 서브리그의 도입 [33] 信主NISSI5148 07/07/28 5148 0
31580 서바이버토너먼트와 듀얼토너먼트의 종족구성비 [5] 信主NISSI3838 07/07/23 3838 0
31570 양대리그라운드진출기준 랭킹 [8] 信主NISSI4202 07/07/22 4202 0
31535 듀얼 대진에 대한 불만 표출.(수정) [40] 信主NISSI7553 07/07/20 7553 0
31532 7전 4선승제와 양대리그 주장. [17] 信主NISSI5299 07/07/20 5299 0
31503 [판타지] 2007프로리그가 연 4회였다면. [6] 信主NISSI4064 07/07/17 4064 0
31499 온게임넷 개인리그 방식 제안. [7] 信主NISSI3833 07/07/17 3833 0
31442 신한은행 프로리그 2007 전기리그 7월 로스터 [16] 信主NISSI33912 07/07/12 33912 0
31432 무승부경기는 무승부로 하자. [21] 信主NISSI4904 07/07/11 4904 0
31430 이기는것. 그것을 이뤄내는 이스트로. [11] 信主NISSI4747 07/07/10 4747 0
31406 듀얼 토너먼트 대진. [14] 信主NISSI6702 07/07/07 6702 0
31345 개인리그, 덩치를 키워라. [8] 信主NISSI3839 07/07/03 3839 0
31317 개인리그의 제3의 물결. [4] 信主NISSI4159 07/07/01 4159 0
31277 서브리그, 그리고 팀단위리그의 도입. [8] 信主NISSI3807 07/06/28 3807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