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07/08/24 16:08:08
Name 메딕아빠
Subject ★ PgR21 Expert Group 에 대한 제안 ★

게임이라는 공통분모를 가지고 모인 사람들이 여러가지 생각을 나누는 곳이 바로 피지알입니다.
여기서 우리가 나누는 생각들을 조금만 더 다듬어 봤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늘 했었습니다.

PgR21 Expert Group ... 이 우리의 생각들을 조금 더 정리할 수 있는 주체가 되었으면 하는 바램을 가지고 제안합니다.


.PgR21 Expert Group ?
: 피지알 및 게임계에서 이슈가 되고 있는 여러가지 문제들에 대해 심층적으로 분석하고 나름의 결과를 제시하는 모임.

.Expert ?
: 현재 전문가라는 의미가 아닌 이후로 해당 주제에 대한 전문가가 되어보자는 의미.

.구성
: 일반회원 4명 + 운영진 1명

.주제
: 매 기수마다 각 시점에서 다루어 봄직한 주제를 선정하도록 함.
  ex) "이상적인 게이머 랭킹산정을 위한 방안" "개인리그와 프로리그가 함께 사는 법"
        "종족별 밸런스 유지를 위해 맵이 갖추어야 조건" 등등

.활동기간 및 모임
: 기본 1개월을 활동기간으로 하고 활동상황에 따라 기간 연장 가능.
  주 1회이상 온라인 모임.
  월 2회 오프 모임 - 매 모임마다 인당 2만원씩 경비지원.
  지방거주 회원이 멤버로 참여할 경우 편도 차비 지급.

.보고
: 활동 2주 차에 중간 산출물 & 4주차에 최종 산출물을 게임게시판에 게시 (산출물의 특별한 양식은 없음).
  활동 기간 중 별도의 게시물을 통해 일반회원들의 의견을 수렴함.

.참여혜택
: 최종 산출물로 게시 된 글은 게임게시판 게시 후 추천게시판으로 이동.
  Expert Group 의 멤버로 활동한 유저는 7레벨로 레벨업.
  기타 여러가지 혜택이 돌아갈 수 있도록 할 예정.

.참여 자격
: 게임과 게이머를 위해 무언가를 고민할 수 있는 9레벨 이상의 모든 피지알 유저.


이상 PgR Expert Group 에 대한 기본적인 구상이었습니다.
관련해서 유저분들의 의견을 받습니다.
운영방식이나 다루었으면 하는 주제 ... 등에 대핸 의견 주시면 수렴하도록 하겠습니다.

1기 Expert Group 의 시작은 여러분들의 의견을 수렴 & 주제 선정 후에 모집공지를 올리도록 하겠습니다.
눈에 보이는 무언가를 얻을 수 있으면 좋겠지만 그렇지 못한다 하더라도
게임과 게이머를 위해 고민하고 생각하는 분위기가 만들어 졌으면 하는 바람이 듭니다.

게임을 좋아하고 아끼는 모든 사람들이 피지알 안에서 즐거워졌으면 좋겠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07/08/24 16:10
수정 아이콘
정말 참여해보고 싶은데;;; 오프라인 만남이 역시 좀 무리스럽네요;;
지방 거주에.. 학생이 아닌 신분이라;;; 온라인 미팅이야 일주일에 14번도 가능합니다만;;; 어떻게 조정이 불가능할까나요;;;
信主NISSI
07/08/24 16:28
수정 아이콘
오프라인이 자주 있어야할 필요는 없다고 생각합니다. 온라인 횟수는 적당할 것 같구요. 참여자 수가 적다는 생각이 듭니다.

어쨌든 위에 쓴 것은 중요한 문제가 아니고, 전문위원의 선출 방식이 더 중요하겠죠. 사실상 주제에 따른 전문가그룹이 달라져야하기에 주제가 먼저 정해지고 나서, 전문가 그룹이 형성되는 것이 옳은 방향일 거라 생각합니다. 주제선정->전문가선정->형성된 그룹의 토의->결과물까지의 과정이 한달은 힘들어 보이네요.

당장은 참여신청에 비해 선정되는 사람이 적을 것이고, 그래서 기간을 짧게 잡아서 선정기회를 늘리는 것이겠으나...

음... 어쨌든, 누가 선정되느냐가 가장 큰 문제일 거란 생각이 듭니다. 위의 자격은 운영진1+일반회원4로만 표시되어 있지만, 일반회원4를 뽑는 기준도 서로 다르게해서 뽑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아니면 저 그룹들이 실제 전문가들을 접할 수 있는 기회를 pgr에서 적극적으로 마련해 주던지요. 개인리그와 프로리그라면, 해당 관련자들과 인터뷰라도 할수 있게 말이죠.
Love.of.Tears.
07/08/24 16:33
수정 아이콘
참여하고 싶지만 저 expert란 단어가 조금 부담스럽네요^^ 역량이 많이 부족하죠^^
信主NISSI
07/08/24 16:37
수정 아이콘
Love.of.Tears.님// 현재가 아니라 앞으로 그 분야에선 전문가가 되자란 취지라고 매딕아빠님이 말씀하셨잖아요... 우린 거기에 희망을 걸어 보죠.
sway with me
07/08/24 16:50
수정 아이콘
좋은 제안이라고 생각됩니다.

어떤 주제를 다루실 건지 무척 궁금하군요.
온라인 미팅은 주 1회를 기본으로 하되, 필요에 따라 좀 더 늘리시고,
오프라인 미팅은 월 1회를 기본으로 하시는 것이 어떨까 싶군요.

꼭 필요할 때는 1회 정도 더 모이시는 것으로 하구요.

주제에 따라서는 참여해보고 싶은 마음도 있습니다.
The Drizzle
07/08/24 17:09
수정 아이콘
저도 참여해보고 싶어요! 일단 피지알에 논객이 제법 많지만... 그래도!
My name is J
07/08/24 17:21
수정 아이콘
좋은 기획인것 같군요. 참여해보고 싶지만 능력부족이므로..으하하하-
기대하겠습니다.^_^
EsPoRTSZZang
07/08/24 19:07
수정 아이콘
오옷!!! 괜찮군요? 근데 경비는 어느예산으로....?
마음의손잡이
07/08/24 20:29
수정 아이콘
솔깃해지는군요. 도전해보고픈 영역입니다.
07/08/24 20:47
수정 아이콘
저 역시 참여해보고 싶지만 제 역량에 전문가가 될 수 있을런지ㅜㅜa
메딕아빠
07/08/24 21:23
수정 아이콘
EsPoRTSZZang님// 경비는 아껴서 마련하면 됩니다^^

전문가라는 말에 부담을 느끼시는 분들이 계신 것 같은데 본문에서도 언급했듯이
이미 전문가의 수준을 가진 사람들이 참여하자는 의미가 절대 아닙니다.
전문가 수준의 결과물을 반드시 내어 놓아야 한다는 의미도 아니구요.
우리 앞에 놓여진 여러가지 문제들에 대해
보다 진지하게 다른 사람보다 더 많이 고민하고 더 많이 생각해 보자는 의미입니다.
Expert 라는 말이 너무 부담이 되나요 ?^^
Love.of.Tears.
07/08/24 21:27
수정 아이콘
메딕아빠님// 정신만은 expert이니 필요하시다면 저도 돕겠습니다..^^
信主NISSI
07/08/24 23:36
수정 아이콘
어쨌든 꼭 해보고 싶어서, 이 게시물에는 하면 안좋을 것 같은 말만 잔뜩 하렵니다... (경쟁율도 치열한데, 경쟁상대를 줄이기 위한... --;)
07/08/24 23:41
수정 아이콘
저도 참여하고 싶습니다.
근데 해외거주자는 어떻게 되는건지..
ClassicMild
07/08/25 00:14
수정 아이콘
우아~ 멋지네요^^
제 힘이 닿는 주제라면 참여해보고 싶은 마음 100%입니다~
애연가
07/08/25 00:50
수정 아이콘
이번주에 백수간 된 입장에서 한달 열심히 달려볼 생각은 있는데, 일반 회원수가 너무 적은거 아닌가요??
07/08/25 01:03
수정 아이콘
오프라인 참여만 없다면,
참여하고 싶습니다 -
07/08/25 09:58
수정 아이콘
좋은 취지의 모임인 만큼 해보고 싶지만 오프라인참여가 여건상 불가능하여서 힘들겠네요...
toujours..
07/08/25 10:50
수정 아이콘
저도 햇수로 5년째 눈팅족이지만 이번에는 한 번 해보고 싶네요..^^
the hive
07/08/25 22:01
수정 아이콘
요새는 표면상으로는 조용한축에 속하는듯 합니다 ~_~;;
아 그리고 월 2회 오프라인 모임은 죽어도 무리입니다 ==;;
마음의손잡이
07/08/26 00:03
수정 아이콘
지금까지 내용 보면 문제가 '1.오프라인,2.적절한 요금,3.사람선정,4.관심' 이렇네요.
1,2는 절충으로 문제해결 가능하다고 생각하고 4같은 경우 첫회가 잘되면 앞으로도 잘될거라고 보고 역시 문제는 3...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31928 저그유저 5명의 맵별 성적 세부적으로 살펴보기. - Part 1. 김준영편. [20] Leeka4714 07/08/29 4714 0
31927 낭만시대의 종언 [6] 전경준4705 07/08/29 4705 0
31926 팀플레이의 입지를 과연 어떻게 보아야 할까요? [73] Yes4662 07/08/29 4662 0
31925 프로리그의 재미를 높일만한 2가지 [15] 못된놈3980 07/08/29 3980 0
31924 전적검색 사이트 ... 베타테스트 ! [7] 프렐루드5198 07/08/29 5198 0
31923 라이벌 배틀 브레이크- 방송사가 찾아낸 미완의 답지. [43] cald6448 07/08/29 6448 0
31922 물을 건너면 배를 버려야 한다 [12] happyend4398 07/08/29 4398 0
31918 진영수, 이종족(異種族)에게 겨누어진 인간의 칼날 [26] Judas Pain7357 07/08/29 7357 1
31917 프로게이머가 수업을 꼭 받아야 할까요? [82] 독안룡4429 07/08/29 4429 0
31916 댓글잠금 이제는 팀리그를 봐야합니다 [149] 점쟁이7486 07/08/28 7486 0
31914 그들(Progamer)의 활약상 1 - 마재윤 [7] ClassicMild5347 07/08/28 5347 0
31909 @@ 종족별 초반빌드를 어떻게 나눌 수 있을까요 ? [16] 메딕아빠5239 07/08/28 5239 0
31908 스타판에서 이해가 안되는점 [110] 로바로바8568 07/08/28 8568 0
31906 [스갤펌글]프로리그 주5일제는 독(毒)이다. [24] the hive6118 07/08/28 6118 0
31905 2003 올림푸스. 낭만의 회상. [35] SKY924569 07/08/28 4569 0
31903 점점선수들 연령은 낮아져만가는데.. [32] SSeri5377 07/08/27 5377 0
31902 경기 나올려면 학교 가지 마? [124] rakorn5838 07/08/27 5838 0
31901 2007 프로리그 올스타전 2차 중간집계 결과(08,02~08,24) [23] 엘리수4649 07/08/27 4649 0
31900 시즌중이라도 맵교체는 반드시 이루어져야한다. [25] 라구요3932 07/08/27 3932 0
31899 프로리그 주 5일제의 부하를 조금이라도 덜어줄 의견 제시 [12] S@iNT3936 07/08/27 3936 0
31897 [스갤펌]이스포츠.. 앞으로의 행보 예상 [27] dkTkfkqldy5979 07/08/27 5979 0
31896 잘못하면 요번 후반기도 전반기꼴 날듯.. [79] rakorn7312 07/08/27 7312 0
31895 ☆☆ 주간 PGR 리뷰 - 2007/08/20 ~ 2007/08/26 ☆☆ [15] 메딕아빠5793 07/08/27 5793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