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07/08/20 02:18:44
Name 오크히어로(변
Subject 폭풍은 멈추었다.... 하지만?
한여름밤의 폭풍

지겨운 비는 끝이 나고, 낮이고 밤이고 푹푹 쪄대는 밥통 같은 더위가 시작되었네요. 매년 여름이 되면 찾아오는
태풍의 위력도 올해는 그다지 느껴지지도 않고, 국지성 호우만 7월을 이어서 8월 중순까지도 계속 되었습니다.
머 태풍으로 말미암은 피해가 나지 않은 것은 다행이지만, 그래도 왠지 와야 할 것만 같은 것이 오지 않으니 기분이
묘한 것은 어찌할 수 없네요.


폭풍이라고 불리는 자가 있었습니다. 그는 참 오래도록 바람을 몰고 다녔습니다. 온게임넷 코카콜라배 결승을
시작으로 그는 최정상을 도전하는 저그의 수장으로서 우리에게 폭풍을 느낄 수 있도록 해주었습니다. 항상
나무뿌리째 뽑아버리는 바람과 모든 것을 떠내려가게 하는 비를 뿌렸지만, 비바람이 그치고 나면 사그라져버리는
한여름의 그저 하룻밤 내리는 폭풍일지라도 누구보다도 저에게 큰 즐거움을 안겨다 주었습니다.


임요환은 스타의 황제가 되었습니다. 당시에는 최고의 선수에게 칭해지던 호칭이 누구도 넘볼 수 없는 그 만의
최고의 별명이 되었습니다. 당시 임요환 선수와 김정민 선수의 대결에서 누가 테란의 황제인가를 결정하는 자리라고
설명하던 itv의 해설진들이 떠오릅니다. 지금에 이르러서는 최강의 선수에게 본좌라는 호칭을 씁니다. 최근 우승을
몇번 놓친 마재윤 선수의 별명으로도 잘 알려졌습니다만 언젠가는 마재윤 선수만을 지칭하는 별명이 될지도
모르겠습니다.


그는 폭풍입니다. 수없이 몰아치고 수없이 유닛을 바꾸어 주면서 승리를 쟁취하였습니다. 우스갯소리로 드론은
인구수를 잡아먹는 불필요한 존재로 보인다는 듯이 그는 자원을 짜내고 짜내서 승리하는 모습을 보여주었습니다.
폭풍같이 몰아치는 그를 보면서 폭풍이라는 그의 별명이 딱 들어맞는다고 생각했습니다. 하지만 폭풍은 언젠가는
그치기 마련이죠.


수많은 명경기로 누군가에게는 환한 웃음을 안겨 주었고, 누군가에게는 아쉬움의 눈물을 흘리게 했던 사나이
저그는 해낼 수 없다던 그 시절... 저그는 우승할 종족은 아니라는 소리를 듣던 그 시절
저그는 1.08 패치 이후에 테란을 상대해낼 수 없다고 이야기되던 시절


그는 폭풍으로 몰아치며, 최고의 자리를 향했습니다. 그리고 최고의 자리에서 그 시대 최고의 선수들과
최고의 명경기들을 쏟아냈습니다. 비록 환희의 눈물이 아닌 아쉬움의 안타까움의 눈물이 항상 그 끝을
함께 하였지만 그의 능력은 우승자와 동일하면 동일했지 그 이하는 아니었습니다.


하지만 항상 영원한 것이라는 것은 없습니다. 지금 그는 최고의 스타크래프트 프로게이머는 아닐지도
모르겠습니다. 일명 S급 프로게이머 아니 A급 프로게이머에서도 멀어지고 있는지도 모르겠습니다.
이제는 시대에 뒤처진 컨트롤과 운영능력을 가진 퇴물일지도 모르겠습니다.


하지만 그의 도전이 끝이 났다고는 믿고 싶지 않습니다. 아직 올라가 볼 수 있는 정상이 남아 있기에...


폭풍이 아무리 거세고 사납다고 할지라도 폭풍은 언젠가는 잠잠해지기 마련입니다.


그렇지만 폭풍은 다시금 불어옵니다.


비록 미약할 지라도 언젠가는


세상을 삼켜버릴 폭풍이 불어올 것입니다.


그게 자연의 이치인걸요.




P.S 스타라는 것을 시청하게 되면서 참 홍진호 선수 때문에 많은 즐거움을 얻었습니다.
      그가 메이저라고 칭하는 리그에서 우승하지 못했다고 폄하되기도 하고 혹은
      최근의 무기력하게 지는 모습때문에도 일명 X까지마라는 유머가 나돌기도 합니다.
      머 다 좋습니다. 하지만 적어도 그가 스타라는  이 작은판에 있어서 아무런 역할도 하지 않은듯
      비추어지는 것은 아닌거 같습니다.


한줄요악(요즘 이게 유행인가요?)

폭풍아 몰아쳐라!!!(?)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비스트마스터
07/08/20 15:07
수정 아이콘
홍진호선수 양대리그 우승하세요.
안단테
07/08/20 20:50
수정 아이콘
스타를 즐기면서 행복했던 6년 남짓한 세월 동안 절대 빼놓을 수 없는 한 선수!!
아직도 폭풍저그를 기억하는 팬이 있습니다.
힘내세요~
에인셀
07/08/20 21:17
수정 아이콘
그에게 반해 스타를 보기 시작했던 때가 떠오르네요. 폭풍아 몰아쳐라!!!(2)
그런데 오늘 예선 탈락 ㅠㅠ 오늘 올드 게이머들 대거 탈락하네요. 안타까움에 가슴이 저립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31893 Starcraft가 진정한 스포츠가 되기위한 조건 Long Run [20] 삼삼한Stay5293 07/08/26 5293 0
31891 비시즌에 가장 빛난 테란. 진영수의 2007시즌 성적보기. [19] Leeka5843 07/08/26 5843 0
31888 [요청] 스타크래프트2 에 대한 질문 및 요청사항 취합 ( 블리자드 코리아 ) [62] 메딕아빠8313 07/08/23 8313 0
31887 제게 있어 추억의 스타리그 마이큐브 스타리그.. [21] 반니스텔루이6040 07/08/26 6040 0
31886 제친구에게 스타크래프트를 소개하려고합니다... ^^;; [16] Pride-fc N0-14685 07/08/25 4685 0
31885 KTF 조용호, 이병민 선수의 향후 진로.. ?? (esforce 기사를 보고..) [33] 아주큰행복10147 07/08/25 10147 0
31882 이번 온게임넷 스타리그 조지명식 시드권자들 지명 예상. (D조도 예상) [22] SKY925353 07/08/25 5353 0
31879 내 추억속 스타리그 2002 SKY [28] 아이우를위해6109 07/08/25 6109 0
31877 엠비씨게임에 새프로그램 '우리팀 킹왕짱'에 대한 개인적인생각. [72] SkPJi8864 07/08/24 8864 0
31876 당신을 추억하기를 거부하다 [19] 에인셀7427 07/08/24 7427 0
31875 ★ PgR21 Expert Group 에 대한 제안 ★ [21] 메딕아빠4222 07/08/24 4222 0
31874 임이최마김송 승률차트 [33] 프렐루드7783 07/08/24 7783 0
31872 팀단위리그 통합이후 우승팀들 살펴보기 [19] Leeka4113 07/08/24 4113 0
31869 어제 경남-STX 마스터즈 마지막 경기 보신분 계신가요? [38] 벨리어스6348 07/08/24 6348 0
31867 스타 베틀넷은 미네랄핵 덕분에 수그러들 것입니다...블리자드의 의욕상실? [45] LiQuidSky10707 07/08/23 10707 0
31865 이번 2007 시즌 상반기의 명경기들. 과연 무엇이 있었을까? [28] SKY926378 07/08/23 6378 0
31864 온게임넷 스타챌린지 시즌2 오프라인예선 맵전적 [21] Forgotten_5444 07/08/23 5444 0
31863 스캐럽에 관해서 - 잡담 [37] 소현5888 07/08/23 5888 0
31862 2007 전기리그 개인전 맵 맵밸런스 차트 [16] 프렐루드4768 07/08/23 4768 0
31859 PGR21 여러분들이 생각하시는 '본좌' 마재윤의 테란전 최고의 경기는? [55] 라울리스타9354 07/08/23 9354 0
31858 차기시즌 맵의 윤곽 [57] 파란무테8109 07/08/22 8109 0
31857 각종 랭킹 20걸 [17] 프렐루드8389 07/08/22 8389 0
31856 마재윤의 3햇과 뮤탈 뭉치기의 관계? [37] Leeka8583 07/08/22 8583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