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07/07/25 21:14:55
Name Frostbite.
Subject 오늘 온게임넷 듀토...해설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한동안 스타를 보지 않다가 오랜만에 좋아하는 T1선수 두명이 듀토를 하게 된다 해서 스타를 보게 되었습니다.

첫번째판, 제가 좋아하는 최연성 선수가 패배해서 약간 기분이 안좋았지만 그래도 다음경기 오충훈선수가

이기면 두선수 다 올라갈 수 있다는 희망을 가지고 집중해서 보게 되었는데요,

두번째판 신희승 선수 대 오충훈 선수전부터 해설이 약간 이상하게 흘러가기 시작한것 같습니다.

분명 신희승 선수가 초반에 이득을 본것은 맞지만, 정말 엄청나다 싶을 정도의 이익은 아니었고, 충분히 테테전이라면

역전이 나올 수 있다고 생각했고, 노가다드랍이 그닥 큰 이득을 보지 못하고 좋은 scv 블로킹에 막힌 이후로는

어느정도 비등비등한 상황까지 갔다고 생각했습니다. 2멀티 타이밍이 조금 늦긴 했지만요.

그런데 해설은 오충훈 선수가 8시를 부수면서 5시 멀티를 지켜낸 상황에서 오충훈 선수에게 승기가 많이 기울었음에도 불구하고

아직도 신희승 선수가 약간은 유리하다는 식으로, 역전하려면 많이 멀었다는 식으로 말을 하더군요.

그 경기는 그렇다 치더라도, 두번째 경기에서의 박찬수 vs 오충훈 경기에서의 해설은 정말 의문이었습니다.

두번째판에서 아무리 테란 본진밖에 없었고 초반 피해를 어느정도 받았다 하더라도 저그가 엄청나게 가난하게

드론을 줄여가면서 병력을 뽑은 이상 테란이 어느정도 유리한 상황이었습니다.

그리고 첫 러시때, 분명 앞마당에서 3드론을 째는 바람에 뮤탈 숫자가 충분하지 않았고, 그나마 있는 드론도

성큰을 짓느라 자원을 거의 캐지 못했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이 러시만 막으면 저그가 무조건 이긴다.

저그가 많이 잡았다 하는 식으로 해설하는 건 정말 아니었던것 같습니다. 분명 저글링 초반 헌납 이후로는

테란이 거의 잡은 경기였음에도 불구하고요. 저그 해보신 분들이라면 그정도 드론이 있을때 저그가 얼마나 암울한지 다들 아실겁니다.

제가 아직까지 스타보는 눈이 부족하여 그런건지는 모르겠지만, 적어도 오늘 해설은 너무나 이해가 되지 않는군요.

다른분들의 의견도 한번 들어보고 싶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초록별의 전설
07/07/25 21:22
수정 아이콘
음.. 전 2경기 테테전은 못보구 3경기 승자전만 봐서 그때 느낌을 말씀드리면, 막 뮤탈이 나올때쯤 저그가 유리하다고 해설한 부분은
저도 좀 이해가 안갔습니다. 오충훈 선수가 병력 생산되는 족족 저그쪽으로 보내서 유닛 손해가 컸지만 저그의 드론숫자가 말씀하신데로
암울한 숫자였거든요. 근데, 스파이어가 터지고 라바가 잠깐 놀다가 본진, 앞마당 해처리 동시에 모든 라바가 변태되고 있었습니다.
그때, 그 모든게 뮤탈이었으면 저그가 유리한게 맞았지만 결국 드론숫자가 부족했는지 앞마당에선 드론이 나와버리죠.
아무래두 실시간 전략시뮬레이션 게임의 긴박한 해설이기때문에 해설자분들도 가끔 맥을 잃어버리는 경우가 있을테죠.
그리고 오충훈 선수의 스타일도 상당히 특이했구요. 해설자분들의 표현대로 이상한 단단함이 있는거 같더라구요.
항상 잘해오셨던 분들이니, 오늘의 잠깐 빗나간 해설은 애교로 보는게 어떨까 합니다.
지포스2
07/07/25 21:51
수정 아이콘
허참.. 정말 패자전 경기 좀 이해가 안되네요..
최연성 왜 저런식으로 플레이하는지;; 돈도 많은데..
애플보요
07/07/25 22:02
수정 아이콘
전 시간이 안맞아서 3경기밖에 보질 못했는데 참..머랄까 상황을 잘 못읽으시는듯

이럴 때는 해변김이 절실하단 생각이 듭니다. 역시 현역 출신이라 잠시 잘못 판단한듯 해도 금방 정확한 눈으로 짚어내죠

하지만 해설자들은 실제 경기에서의 선수들의 체감상 유불리를 잘 파악하지 못하는거 같아요
07/07/25 22:16
수정 아이콘
근데 오늘 패자전은 정말 어이가 없네요;;;

이건 해설 못맞춰도 이해가 갈만한 플레이를 최연성 선수가 하네요....
앞에 두경기도 물론 해설에 이상이 좀 있었죠. 특히 박찬수 선수는 벌쳐3~4기 이후로는 거의 패배 확정이였죠.
물론 후반 마린 헌납은 진짜 오충훈 선수의 컨트롤 실수인지 돌은 던지는건지 구분안갈정도이긴 했지만요....
전체적으로 오늘 경기들이 좀 예측불허네요.
07/07/25 22:20
수정 아이콘
정신이 없어서일까요... 오늘 해설 미스가 많이 나네요.
그래도.. 평상시에는 잘하시는 분들이니까 다음엔 더 신경써서 해주시겠죠.
07/07/26 00:27
수정 아이콘
엠겜보단 비교적 온겜이 네임밸류에 근거한 해설을 하는 경우가 잦습니다. (뭐 눈에 띌 정도로 자주 있다! 이런 건 아닙니다.) 대놓고 욕먹을 정도로 상황을 파악하지 못하는 경우도 있었구요-_-a (이윤열 vs 김원기 선수 경기였던가) 저도 예전엔 그런 해설에 불만을 품었지만 이젠 그냥 그러려니 하고 보는게 편하더군요.
미라클신화
07/07/26 00:50
수정 아이콘
전 3경기만 봤는데 어떻게 그상황에서 박찬수 선수가 이겼다고 할수있죠?-_-
07/07/26 02:38
수정 아이콘
온겜해설 빗나가는건 한두번있는일도 아니죠. 그냥 정확함보다는 재미라는 요소로 보는게 더편한듯..
MiniAttack
07/07/26 04:16
수정 아이콘
온겜의 특징은 약간의 유리함도 엄청난 유리함으로 부곽시키면서

그대로 흘러가면 대압승으로, 역전극이 나오면 대 역전극으로 표현하려고 하는게 많더군요.

뭐 이점덕분에 온겜을 좋아하는 사람도 있구요
스탈라임
07/07/26 10:56
수정 아이콘
저 역시 좀 의아하긴 했지만 초반에 신희승 선수가 이득을 많이 보긴 했죠..;; 2번째 멀티 파괴 시점 이후에 오충훈 선수가 막멀티 다 성공시켰는데도 신희승 선수가 나름 비등하게는 싸웠을 정도니까요...
암튼 윗님들 말씀처럼 재미란 요소를 감안하고 들으시는게 나을 듯 합니다...사실 스타 보시는 분들 해설진이 없어도 경기가 어떻게 흘러가는지는 충분히 파악할 시야는 있으니까요...
MidasFan
07/07/26 17:00
수정 아이콘
그나저나 티원팬으로써 최연성 선수의 부진은 정말 안타깝네요...
서바이버때도 이런모습 보여주면 정말 힘들어질듯..
07/07/28 08:19
수정 아이콘
온겜해설과 엠겜해설은 각각의 장단점이있죠.
Frostbite님 같은경우는 엠겜해설이 더 어울릴것같네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31714 어떻게든 테란을 줄여주세요....ㅜ_ㅜ [47] Pride-fc N0-15928 07/08/07 5928 0
31711 블리즈콘 2007 - 테란 종족의 게임/미션 시연 영상 공개 [21] kimbilly6767 07/08/07 6767 0
31710 스타 2 테란 진영 테크트리 감상평. [11] newromancer6923 07/08/06 6923 0
31709 꾸준함의 대명사 이병민 선수의 부진에 대하여 [11] tune6512 07/08/06 6512 0
31708 IEF2007 스타크래프트, 워크래프트 경기 규칙안입니다... [6] 한방인생!!!4723 07/08/06 4723 0
31707 그냥 제가 생각해보는 다음 시즌 퇴출될 맵과 남겨질 맵. [36] 김광훈6133 07/08/06 6133 0
31705 스타2에 대한 이런저런 잡담 [31] Judas Pain9865 07/08/06 9865 0
31703 블리즈컨에서 공개된 테란 신유닛 시연 동영상링크와 감상평. [20] newromancer6411 07/08/06 6411 0
31702 2007 전기 프로리그만으로 보는 맵 벨런스 최종판. [3] Leeka4680 07/08/06 4680 0
31701 서울 E스포츠 페스티벌(속칭:천하제일스타대회) 256강 대진 발표!!! [33] SKY926033 07/08/06 6033 0
31700 삼성전자 칸의 힘 - 신한은행 프로리그 2007 전기 결승 [9] ls4738 07/08/06 4738 0
31699 꾸준함의 대명사는 누구?? [35] 나다5883 07/08/06 5883 0
31698 WCG 2007한국대표 선발전과 이벤트 안내입니다~ [1] 구우~4720 07/08/06 4720 0
31697 새로운 버그 발견? [11] 침묵의들개5057 07/08/06 5057 0
31696 2007 전기 프로리그. 맵별 동종족전 발생 횟수입니다. [8] Leeka4555 07/08/06 4555 0
31694 [블리즈컨 체험기] 스타그래프트 경기 현장 모습. [20] 메딕아빠8655 07/08/05 8655 0
31693 [블리즈컨 체험기] 제 마음을 사로잡은(?) 프로토스의 새로운 유닛. [30] 메딕아빠7725 07/08/05 7725 0
31691 [이벤트] 신한은행 프로리그 2007 전기리그 결승전 이벤트 - 최종결과 [48] anistar9010 07/08/04 9010 0
31690 후기리그의 판도는? [49] 처음느낌7914 07/08/04 7914 0
31689 새로운 역사가 쓰여졌습니다! [13] My name is J4554 07/08/04 4554 0
31687 삼성전자 칸의 우승을 축하합니다. [24] 종합백과4386 07/08/04 4386 0
31686 복수라는 단어를 맘속 깊이 새기고... [13] JuVinT4445 07/08/04 4445 0
31685 르까프 통한의 패배네요. [36] SkPJi5984 07/08/04 5984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