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07/06/04 17:37:43
Name 메딕아빠
Subject @@ 시간이 남아서 해 본 실험 - 테란유닛들의 이동 속도.

프로젝트 오픈을 위한 서버작업을 돌리는 데 4시간 ...
그 지겨운 시간을 보내기 위해 한 번 해보았습니다^^

실험제목 : 테란 유닛들의 이동 속도
실험조건 : 헌터맵 6시 가스 옆에서 12시 가스 옆까지 우클릭으로 이동
               1차 = 올라갈 때 / 2차 = 내려올 때 ( 단위는 초 )



결과
.속업벌쳐가 테란 유닛 중 가장 빠르다 - 당연하지 !
.배틀크루져는 공중유닛임에도 무지하게 느리다 - 이렇게 느릴 줄 몰랐음 ㅠ.ㅠ
.6시에서 올라가는 것보다 12시에서 내려오는 것이 느리다 - 왜 그럴까 ?
.스팀팩을 먹지 않은 마린은 메딕과 언제나 비슷한 속도를 유지한다 - ♡
.드랍쉽은 예상보다 느리다 - 1.07 패치 이후로 무지 빨라진 게 이 정도
.스핌팩을 먹지 않는 한 도망가는 SCV 를 마린으로 잡을 수 없다 - ?
.탱크 뒤에서 바둥거리며 따라가는 벌쳐 ... 다 이유가 있었다 - 제발 좀 막지마 !
.스팀팩 마린의 속도를 측정하는 건 너무 어렵다 ㅠ.ㅠ

* 본 실험의 결과는 정확성을 보장하지 않습니다^^


다음에 또 서버작업 할 일이 있으면 그 때는 플토 유닛으로 한 번 ...!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Weballergy
07/06/04 17:45
수정 아이콘
재미있는 글 잘 보았습니다. 음, 그러고보니 지속적인 스팀팩 사용을 위한 힐링용 메딕을 길목마다 배치해 두고, 힐을 받아가며 스팀팩을 계속 쓰면서 마린이 달린다면 몇 초가 나올지도 궁금해지는군요.
07/06/04 17:45
수정 아이콘
무플일때 상큼한 첫플!!
대충은 알고있었지만 재밌네요~ ^^

다음에는 저그를... !!
그나저나 감염된 테란은 버린건가요 ㅠ
07/06/04 17:46
수정 아이콘
......쓰고나니 두번째가 된건가..
信主NISSI
07/06/04 17:46
수정 아이콘
자신도 껴주길 간절히 바라는 저 고스트의 속도...
방화동김군
07/06/04 17:51
수정 아이콘
발키리가 속도가 굉장히 빠르네요~

괜히 느릴것 같은 느낌이 드는데말이죠..크크
07/06/04 17:52
수정 아이콘
스팀팩 마린은 치트키 쓰면 되요. power overwhelming 이거 맞나? 쓰면 스팀팩 써도 에너지 안달아요.
아쉬운국자
07/06/04 17:55
수정 아이콘
예전에 유닛 이동 속도 실험을 한 적이 있는데, 결과의 반 이상을 까먹었습니다. -_- 양해해주시길...
스팀 마린 이동속도는 발업 질럿 속도와 동일합니다.
이 속도는 발업 히드라와 드랍쉽 군의 속도보다 조금 빠르며, 빠른 공중 유닛 군의 속도보다 조금 느립니다.
아마 스팀 파뱃도 스팀 마린 속도가 나올 듯 싶네요;;
Gplex_BluSkai
07/06/04 18:15
수정 아이콘
드랍쉽은 달리면 달릴수록 가속이 붙는 구조로 되어 있더군요. 그래서 처음에는 무지하게 느리다가 어느정도 속력이 붙으면 좀 빠르던데요...
№.①정민、
07/06/04 18:18
수정 아이콘
바이오닉은 다 같고, 탱크랑 골리앗 같을줄알앗는데 골럇이 생각보다 빠르넴
남들과다른나
07/06/04 18:18
수정 아이콘
예전에 실험했는데 기억을 더듬어 보면
1. 속업 벌쳐는 테란만이 아니라 스타크레프트 전 유닛 중 가장 빠릅니다.
2. 배틀과 가디언 속도가 같습니다.
3. 수송 유닛 중 속업셔틀, 드랍쉽, 속업 오버로드 순으로 빠릅니다.
4. 스팀 마린, 발업 질럿, 러커가 속도 같습니다.
5. 캐리어와 속업 오버로드 속도 같습니다.
대충 이정도만 쓸게요.
07/06/04 18:32
수정 아이콘
마린과 파뱃은 스팀팩 먹고 이동하면 메딕을 떼어놓고 가죠. 쳇...
07/06/04 18:43
수정 아이콘
남들과다른나님// 생각외로 럴커의 속도가 빠르네요... 질럿이 더 빠를줄 알았는데 말이죠... 그렇다면 럴커가 도망갈때는 질럿으로 길막기도 힘들게 되는군요... 그냥 조금 빠르다고만 생각했는데...
터치터치
07/06/04 18:51
수정 아이콘
오호... 흥미로워요.. 시간되시면 각 유닛 크기 비교를 위해 12시부터 6시까지 일렬로 세워서 몇기가 들어가는지 좀-_-;;;;;;; 죄송......
하루나리
07/06/04 19:02
수정 아이콘
캐리어 인터셉터가 무지 빨라요!!
인터셉터 꺼내놓고 본체 리콜하면 속도를 느낄 수 있어요
아쉬운국자
07/06/04 19:16
수정 아이콘
터치터치님 // 시간 나면 올려보겠습니다만, 최소 한 달은 기다리셔야 할 겁니다 -_- (그동안 너무 놀아서...OTL)
07/06/04 19:19
수정 아이콘
하루나리님// 조종을 못하죠[...;] 조종만 하면 최강=_=;
HirosueMooN
07/06/04 19:33
수정 아이콘
남들과다른나님/// 발업 질럿이 더 빠르지 않나요??? 보통 스팀먹고 마린이 러커 쫓아가면 쏘는데요...
속도가 같으면 못쏘지 않나요??
브루들링 속도도 재봤으면 좋겠네요..
하만™
07/06/04 19:56
수정 아이콘
뭐 웃긴글이라면...
속업안한 오버로드는 건물보다 느립니다...
남들과다른나
07/06/04 20:32
수정 아이콘
발업 질럿과 러커 속도 같다고 확실히 기억합니다.
인페스티드 테란도 발업질럿과 속도 같았었다고 기억하구요.
07/06/04 20:50
수정 아이콘
재밌습니다.

하만// 테란 건물 이동속도 말인 거 같군요. ^^
07/06/04 21:06
수정 아이콘
인터셉터가 아마 최고로 빠를겁니다. 얼려놓고 되돌아 올 때 속도 보면 장난 아니죠^^
wAvElarva
07/06/05 01:05
수정 아이콘
부르드링 날라갈때도 빠르죠?^^
창이♡
07/06/06 21:36
수정 아이콘
속업벌쳐보다 더 빠른게 스캐럽 발사 속도죠 끌끌
07/06/07 06:52
수정 아이콘
속도가 위에서 아래로 내려오는게 미묘하게 빠르다는건 처음알았네요
사정거리도 아래에서 위로 쏠때보다 위에서 아래로 쏠때 조금더 길지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31026 안석열 선수가 은퇴를 했습니다. [20] [NC]...TesTER8565 07/06/12 8565 0
31025 과거에 그러했고, 현재도 그렇고, 미래에도 그러할 단 두 사람. 그리고 영원불멸을 깨부수려는 어린 혁명가의 전진은 신 시대의 바람인가, 한때의 광풍인가. [9] legend6072 07/06/12 6072 0
31023 지오메트리가 큰 문제인 이유입니다. [31] Leeka5570 07/06/12 5570 0
31021 ESWC 2007 한국 대표 선발전 - 워크래프트 III 8강 방송 안내 [20] Gplex_kimbilly4317 07/06/12 4317 0
31020 김택용, 강요된 평화가 부른 혁명의 철검 [51] Judas Pain9070 07/06/12 9070 0
31019 공식 테테전 맵 지오메트리 뭔가 대안 없나요? [18] SkPJi4537 07/06/12 4537 0
31018 e-sports 전문 프로그래머의 필요성 [14] 지바고_100su5237 07/06/12 5237 0
31017 [부고] 공군 ACE 프로게이머 이재훈 부친상 [126] 불곰6990 07/06/12 6990 0
31016 선수들이 조금만 더 경기를 즐겼으면, 그런 분위기가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33] 아브락사스6342 07/06/11 6342 0
31015 캐리어-스카웃-탱크 [17] legend7025 07/06/11 7025 0
31014 삼성전자. 광안리 직행할 자격이 확실히 있군요.. [19] Leeka6229 07/06/11 6229 0
31013 와.... 이성은.... [60] TopaZ8136 07/06/11 8136 0
31012 [sylent의 B급칼럼] 김택용, 거침없이. [44] sylent8640 07/06/11 8640 0
31011 新 라이벌의 탄생 [18] 더미짱6406 07/06/11 6406 0
31010 보아? 서지훈? [20] winnerCJ8414 07/06/11 8414 0
31009 온게임넷 중계와 김준영선수에 대한 간단한 이야기 [21] Boxer_win8095 07/06/10 8095 0
31008 개념탑재한 플레이의 선수와 개념을 모두 선수에게로 줘 버린 '일부'팬들 [63] KilleR7918 07/06/10 7918 0
31007 임요환의 아스트랄함 [21] 몽키.D.루피8012 07/06/10 8012 0
31005 와일드카드전 대진표가 나왔네요. [56] SKY927431 07/06/10 7431 0
31003 양박저그의 결합효과 확실히 나타나는듯 [31] 처음느낌7285 07/06/10 7285 0
31002 APM 손빠르기에 대하여... [29] 본호라이즌7618 07/06/10 7618 0
31001 오늘 경기중 가장 감동적이었던 장면. [9] 협회바보 FELIX7881 07/06/10 7881 0
31000 All for one, One for All - 두 ACE의 이야기 [7] The xian5701 07/06/10 5701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