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07/06/01 07:58:50
Name perplex
Subject Elo 레이팅 이야기가 나와서....
  안녕하세요, PGR에 2번째 쓰는 글입니다.

밑에 elo 레이팅에 대한 이야기가 나와서 체스를 두는 사람으로 한 마디 하고 싶었습니다.
elo 레이팅의 폐해가 조금 있거든요.
가장 최근의 선수들 능력이 잘 반영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습니다.
그리고 참가자가 많아질수록 레이팅 인플레이션이 생긴다는 단점도 있습니다.
이거 때문에 체스에서 그랜드마스터 타이틀(Grandmaster,GM)이 시간이 지날 수록 격하된다고 보는 분도 있고요.
실제로 처음 elo를 도입할 때는 2500+이면 GM으로 잡았을 때 세계에서 약 10-20명 정도만 GM이었고, '월드챔피언을 위협할 수 있는' 수준이었죠.
현재는 GM이 500명을 넘어서 elo 2700+만 엘리트 그랜드마스터(FIDE의 공식호칭 아님)라고 칭하기도 했지만,
이것도 5년 전만 해도 약 10명만 2700을 넘던게 최근에는 더 많은 사람들이 2700을 넘더라고요.

그래서 체스에서는 "퍼포먼스 레이팅"이라는 것도 도입했는데,
이건 현재 한 선수가 얼마나 잘 두나를 즉각적으로 보여주는 좋은 효과가 있더라고요.

한 대회에서의 레이팅만 따지는 거라서... 또 그 선수의 elo랑 비교해보면 상승세인지 하락세인지도 알 수 있고요.

좋은 정보가 되었으면 합니다.
사실 퍼포먼스 레이팅 도입하자고 PGR에 이야기 하고 싶었는데,

한 발 늦었네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07/06/01 08:51
수정 아이콘
그럼 Elo를 적용할때 기간을 두고 따지는것도 괜찮을거 같네요~
ClassicMild
07/06/01 09:21
수정 아이콘
좋은 정보 감사드립니다^^
ELO레이팅의 가장 큰 단점은 말씀대로 레이팅 인플레이션 현상이겠지요. 올 4월 FIDE가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무려(!) 77140명이 Rated player 더군요. 반면 스타의 경우 289명(은퇴포함)입니다. 그만큼 최상위 집단만을 대상으로 집계가 되는 만큼 체스처럼의 인플레이션이 발생하지는 않을 것으로 보여집니다. 매년 선수들의 숫자(총원-은퇴+신인)도 2005년 이후로는 거의 일정하게 유지되고 있구요. 실제로 8년동안 1400+ 를 해본 선수가 3명뿐이니 적어도 스타크래프트의 ELO는 인플레이션을 걱정하지 않아도 될 것 같습니다. 또 인플레이션이 생기는 이유 중에 선수들이 하이랭커들만 상대하려는 게 또 큰데, 스타 프로게임계에서는 그게 불가능하다는 점도 있구요.

그리고.. "퍼포먼스 레이팅"이라.. 멋진데요? 이거 또 연구해봐야 되는 것 아닌지 모르겠습니다^^; 꼭 찾아봐야겠네요~ perplex님 말씀대로 두 개의 레이팅을 비교하는 새로운 방식도 대단할거 같습니다!
07/06/01 10:25
수정 아이콘
오 ;; 역시 pgr 은 멋져요 이런 좋은 정보가 +_+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30994 마재윤의 5단계에 걸친 함정들. [16] Leeka7499 07/06/10 7499 0
30992 저의 스타인생(?)과 서지훈 선수... [13] winnerCJ4277 07/06/10 4277 0
30991 오늘, 묻혀버린 마재윤의 실수들... [98] epic11223 07/06/09 11223 0
30989 테란과 멀티가 같지만 괜찮아~~ 마재윤이니깐~~ [18] 김광훈6647 07/06/09 6647 0
30988 두 머씨 형제 이후 요즘 테란들에 대해서... [26] 퍼펙트테란5747 07/06/09 5747 0
30987 아직까지도 믿기 힘든 경기결과 10선 -1편- [41] 리콜한방7945 07/06/09 7945 0
30986 [관전평] Daum 스타리그 16강 5주차 경기 [8] ls6381 07/06/09 6381 0
30985 [곰TV 2 소설] 괴로운 선택 #5 - 어나더 에필로그 2, 3, 후기 [4] 점쟁이4209 07/06/09 4209 0
30983 온게임넷 8강 진출자 정리입니다. [14] Leeka6688 07/06/09 6688 0
30982 게임하기 싫니??? [12] forgotteness7862 07/06/09 7862 0
30980 진영수선수와 김택용선수가 게임계에 길이남을 라이벌 관계가 됬으면 좋겠습니다. [21] 벨리어스7136 07/06/08 7136 0
30979 [잡담] 와우~ 박성준. [39] homy6848 07/06/08 6848 0
30978 김택용 vs 진영수. (하늘의 왕자의 출격!!!) [43] SKY928905 07/06/08 8905 0
30977 @@ 보다 다양한 데이터들을 보고 싶다 ...! [11] 메딕아빠4247 07/06/08 4247 0
30976 [곰TV 2 소설] 괴로운 선택 #4 - 에필로그 1, 3, 2 [4] 점쟁이4694 07/06/08 4694 0
30975 세팅맵을 만드는건 어떨까요? [4] GreeNSmufF5540 07/06/08 5540 0
30974 첫 MSL 오프를 다녀왔습니다. [13] Timeless4644 07/06/08 4644 0
30973 아쉽다 미남 [19] 삭제됨6249 07/06/07 6249 0
30972 투신 vs 몽상가 그들은 본능에 충실했다. [스포일러 포함] [12] Tsunami5901 07/06/07 5901 0
30969 Pgr21 후로리그 결승전이 열립니다 ^^ [14] 이프4306 07/06/07 4306 0
30968 6/6 프로리그 이윤열 vs 박태민 [22] 정광진7145 07/06/07 7145 0
30967 그나저나 슈퍼파이트 어디로 갔나요? [10] cald6853 07/06/07 6853 0
30966 협회에게 원하는것. [11] XiooV.S24649 07/06/07 4649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