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07/05/12 23:03:35
Name Zenith802
Subject 감독이 필요한 이유
스갤질을 하다 우연히 본 댓글에 대해 생각해봤습니다

그 댓글의 내용은
"감독이 해야할께 선수육성밖에 더있나?" 라는 댓글이였죠

생각해보니 더있는거 같습니다...

일단 중요도 순으로 따지면

1. 선수들 사기관리
선수들의 사기관리는 코치같이 게임 내적인 부분과는 다른거죠
주장과 감독이 맡은 가장 큰 부분이 이거라 생각합니다.
프로게이머가 종이 한장차의 실력인 지금 선수들의 사기충만한 상태는 승리로 이어지죠.
대표적인 예로 경기 시작전 작은 독려의 한마디가 선수들을 분발하게 만드는 촉매가 될수도있고, 선수들의 사기를 떨어뜨리는 부작용으로 작용할수도 있는거죠.

2. 엔트리 구성
프로리그의 비중이 커져가는 지금
프로리그에서 감독이 경기 내적으로 유일하게 신경써야할 부분인거 같습니다.
사실 엔트리는 거의 운과 비슷하기에 가위바위보 싸움과 같죠
(뭐 심리전 싸움이라고 하면 할말은 없지만)
그리고 실제로 보면 엔트리를 짜는데 감독들의 특징이 은근히 들어납니다.
(중복출전을 허락않는 주훈감독, 배짱있는 하태기감독, 전략적인 엔트리의 이재균 감독등..)

3. 스폰관리 능력
최근들어서는 모든 팀들이 스폰들을 구해 스폰 구하는 능력은 크게 필요는 없지만
감독은 팀을 대표하는 사람으로써 스폰에게 필요한것을 요구해야되고
그것이 원활할수록 능력있는 감독이라는건 두말할 필요도 없습니다.
이미 스폰이 있는 팀이라도 자신이 쌓아놓은 성적에 걸맞는 대우를 선수들에게 해주기 위해선 스폰서에게 확실히 언급하는 능력을 보여야 됩니다.
(이에 대해 MBC게임 하태기감독의 박성준 선수 일은 심히 유감입니다, 그리고 이 능력으로는 이지호 감독이 본좌시죠)

4. 스케쥴 관리
팀이 스폰서에 속한이상 이벤트는 피할수없는 일입니다.
게다가 블리자드콘이나 WXX같은 이벤트 경기들은 바쁜선수들의 성적에 악역향을 줄수도 있습니다.
이런 바쁜 선수들에게 적절한 스케쥴을 나눠줘서 스타급선수들에겐 명성에 걸맞는 상금으로 돈을 지급해줄수있고, 신인선수들에겐 사람들에게 알릴수 있는  기회가 되겠죠
그리고 전지훈련같은것으로 적절히 휴식을 줄수도있고, 연습시간마저 조절해서 컨디션을 조절할수도있죠(CJ같은경우 새벽에서 아침으로 연습시간을 바꿔 한때 단체 슬럼프를 겪었었다고 합니다)

5. 부족한 부분의 육성 or 이적
사실 육성쪽은 감독보단 코치들의 일이라고 생각합니다.
감독들이 어떻게 게임을 할건지는 알아도 더욱 깊은건 코치가 알죠
그리고 이적같은것도 대부분 코치들이 감독에게 상의하는 수준이지
감독이 단독으로 저선수가 마음에 들다고 해서 대려오지는 않을거 같습니다.
최근들어 코치진도 늘어가고(은퇴한 선수들이 많아짐에 따라) 이쪽 부분은 감독의 역량이 많이 줄어들거 같습니다.

6. 포장능력
성적을 잘내는 선수들은 포장또한 잘해주어야 합니다.
홈페이지를 꾸미더라도 메인사진을 누구로하느냐(CJ같은경우 현재 뜨는 마재윤선수를 크게 걸것인가, 꾸준히 팀을 위해 헌신했던 서지훈선수를 크게 걸것인가 같이...)
스폰에서 요구하는 이벤트를 뛸때 누구를 대리고 갈것인가(이건 스케쥴까지 생각해서)
크게될 신인을 방송국에 미리 말해서 설레발 쳐주는거나(최근 이영호, 허영무선수 같이)
사실 이쪽은 크게 요구되는건 아니고 방송쪽에서 대부분 포장을 잘해주느냐 마느냐에 따라 다른듯...

사진은 상쾌한 주말을 위해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서지훈'카리스
07/05/12 23:26
수정 아이콘
감독이 아니라 매니저군요.
엔트리 제출외에 감독이 할 일이라고는 보이지 않네요.. 매니저나 마케팅 담당자, 단장이 할일이죠.
어떤 스포츠에서든 감독은 게임에 브레인의 한 역할을 해야 되는데..
스타의 감독님들은 선수들보다 이해도가 낮으니 이름만 감독인 경우가 많아 보이네요.
07/05/12 23:34
수정 아이콘
그렇죠 편의상 감독이라고 부르는 것이죠
하지만 그렇다고 해서 감독의 필요성이나 노력이 폄하될 필요는 없습니다
07/05/12 23:41
수정 아이콘
글하고는 크게 연관있지는 않지만 가끔가다가 스타크래프트라는판에 첫발을 디뎠다는 자체만으로 호위호식 하는 사람들이 있는 것 같습니다. (그네들 표현처럼 쥐뿔도 없으면서 기득권을 행사하는 무리들. . .)
07/05/13 00:41
수정 아이콘
요즘 타프로스포츠 계에서도 이 글에서 언급하는 매니저의 역할까지 수행하는 감독이 많습니다. 최소한 팀의 수뇌부와 이런 일까지 같이 상의하고 결정하는 감독들이 많아지고 있다고 봐야죠. 큰 팀으로 가면 갈수록 이런 역할을 수행하는 감독들이 많아지고 있고요.
오가사카
07/05/13 00:53
수정 아이콘
사진... 이런것도 올라오는군요
초롱이
07/05/13 03:16
수정 아이콘
드러납니다. 가 맞다고 생각합니다.
레지엔
07/05/13 04:29
수정 아이콘
감독이라는 건 경기장 안에서도 전략적인 권한을 행사할 수 있어야 하는데(예컨대 '교체'같은 건 굉장히 전략적인 카드죠) 지금의 스타크래프트 감독들에게는 그런 권한이 없죠. 그런 점에서 보면 매니저나 육성 전문가 쪽에 가까운 것 같네요.
07/05/13 08:17
수정 아이콘
감독에 대해선 정나미가 다 떨어져서 말이죠..
GrandBleU
07/05/13 08:58
수정 아이콘
감독에 대해서 정나미가 다 떨어져서 말이죠.. (2)
맘에 안들면 무조건 보이콧 때리는 것도 일에 포함이 되어야죠.
스케쥴 관리한다면서 보이콧 때리고 같은일 또 반복하게 만들고 선수들 사기를 떨어뜨리고 능력을 가진 사람들이 감독이라면 말 다했네요.
팬들에게 진정한 사죄를 하기 전까지는 그 시선이 변하진 않을 것입니다
이강호
07/05/13 13:41
수정 아이콘
솔직히 감독들 모하는지 모르겠어요
심심하면 보이콧 때리고
그내들 머리쓰기 싫으니 팬들이 원하는 동종족 연속 출지 조항도 폐지하고 쩝..뭡니까도대체
갱스터
07/05/13 15:10
수정 아이콘
프로에서3,4번 같은 경우는 원래 감독소관이 아닌데..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30782 WGTour 하는 방법. [10] sungsik-4292 07/05/21 4292 0
30780 블리자드 2007 WWI - Day 1 현장 후기 [5] kimbilly5282 07/05/21 5282 0
30778 블리자드 2007 WWI 스타 4강 및 결승전 경기동영상 [42] 평균APM5148477 07/05/20 8477 0
30777 KeSPA MVP 이대로 좋은가? [40] skynoa5209 07/05/20 5209 0
30776 스타2 동영상을 보면서 가정한 전술의 변화 [28] JokeR_7545 07/05/20 7545 0
30773 스타크래프트 2 유닛에 대한 설명과 예상, 두 번째 [17] ls7225 07/05/20 7225 0
30771 스타 2의 공개 시연을 보며 저만 C&C의 느낌을 받은 겁니까? [33] Kai ed A.9701 07/05/20 9701 0
30769 스타 2는 전혀 다른 게임이 되어 버렸나 ! [38] 토스희망봉사8740 07/05/20 8740 0
30768 블리자드 스타크래프트2 개발자와의 인터뷰 [7] 냥냥이5812 07/05/20 5812 0
30767 WWI 4강 멤버들 상대전적 정리. [22] Leeka8741 07/05/19 8741 0
30766 스타2 인트로영상 한글판과 영어판 둘다 보았습니다. [19] workbee7484 07/05/19 7484 0
30765 오늘 블리자드WWI 스타 8강 경기동영상 (전경기 업데이트완료) [14] Mimir7158 07/05/19 7158 0
30763 스타크래프트 2 유닛에 대한 설명과 예상 [43] ls9322 07/05/19 9322 0
30757 아....... 아쉽네요....... [17] SKY925673 07/05/19 5673 0
30752 스타 2가 발표되었답니다!!!!!!!!!!!! [43] 신밧드8976 07/05/19 8976 0
30750 이영호 선수에 대한 분석글(스갤펌) [18] Artstorm6965 07/05/19 6965 0
30749 기분좋은 변화. MSL [9] hyoni4033 07/05/19 4033 0
30748 이영호 VS 이재호. 준비된 로얄로더의 힘. [12] Leeka5196 07/05/19 5196 0
30747 마재윤의 테란 과연 결과는? [45] 처음느낌7838 07/05/19 7838 0
30746 MSL 흥행가도 그 끝은 어디인가!!!... [50] forgotteness9011 07/05/19 9011 0
30745 박태민 분노하라.. 그리고 승리하라.. [69] lightkwang7100 07/05/19 7100 0
30744 스타리그 16강 2주차 경기, 짤막한 관전평 [9] ls4961 07/05/18 4961 0
30742 MSL에서의 마에스트로 ~테란을 초이스하다...! [149] 304449996 07/05/18 9996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