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07/03/06 02:19:32
Name 거위의꿈
Subject 안녕하세요 필리핀에 살고 있답니다 ^^
안녕하세요

몇년만에 글을 작성해보는건지 ^^;;

저는 지금 필리핀 세부에 살고 있습니다.

물론 조만간에 한국에 들어가서 복학해야 하겠구요...

삼천포로 샜네요;;;흠흠.

오늘 정말 제일도 아니지만 서도

제일같이 뿌듯한 일을 겪었네요.

제 친구와 형님은 이곳 필리핀 세부섬에서 피시방을 운영하고 계십니다.

그래서 저는 오늘도 여지없이 놀러갔더랬죠

한창 카운터 스트라이크를 하다가 집에 가봐야하는 바람에

문득 가게를 나오려는 순간

제 나이 또래의 필리핀 남자들 8명정도가 컴퓨터 1대에 모여있는겁니다.

그것도 환호성을 동반한...

무언가 해서 저도 봤지요

워크래프트 3 리플레이를 보고 있더군요...

뭐길래 환호를 하며 놀라나...해서

저랑 제 친구는 물어봤죠

"무슨 리플레이인가요??"

저는 그들이 말하는걸 듣고 제 귀를 의심하지 않을수가 없었네요

"SpritMoon 의 리플레이를 보고 있다고..."

오리지날 시절에만 플레이해보았던  워3

프로즌 스론 시절에는 잠시 보기만했던....

이후에는 카오스만 해댔던 저였기에...

스피릿문...스피릿문.... 누구였더라...

알고보니 장재호 선수더군요

그 리플레이 보면서 그 많은 환호성과 감탄사..

참 놀라지 않을 수 없네요

그러면서 지금 한국 프로게이머가

GG-Game 인가요

그런 접속 프로그램에 접속해 있다고 하더군요 그래서 봤더니..

루시퍼라는 아이디더군요...

노재욱 선수 맞지요??(여러분께 묻는 겁니다 ^^;;)

장재호선수, 노재욱 선수 플레이하면 옵저버들이 그렇게 많다더군요

옵저버를 못해도 리플레이를 구하려고 안달이 난다고 합니다.

이제사 DSL이 대중에 보급되는 나라에서조차 말이지요.



한국에서는 아직까지 여전히 스타리그라는 우물속에 있는게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정도 였습니다 (나쁜뜻은 아닙니다^^;;)

스타리그에 OSL MSL 에 빠져있던동안...

물론 저도 이번 결승전 모두 위디스크에서 다운받아 보았습니다만...

이렇게 저희만의 리그에 있는동안

다른나라 에서는 서로를 공유하고 느껴가고 있구나..라구요

전 그 점이 정말 아쉽습니다.

우리나라 스타리그에 있는 그 재치있는 선수들중에 4분의 1  아니 5분의 1이라도

워3로, 카스로, 또는 여러 게임들로 좀더 퍼져나갔으면 어땠을까 하구요

(물론 우리나라의 워3, 카스의 실력을 폄하하는 것은 아닙니다.
단순히 저변의 문제입니다.)

제2의 스피릿문, 제2의 루시퍼가 한국 E-spotrs 를 알리것이고

임요환선수, 마재윤선수, 홍진호선수 같은 명선수들을 만들어내지 않았을까 하구요

이정도 게임방송의 인프라가 해외에도 있는지는 모르겠습니다.

하지만 우리나라와 같은 아직까지는 열악하지만

양방송사에 힘으로

뛰어난 게이머의 힘으로

대중들의 관심속에서

충분히 세계속에서 E-sports의 메카로 나아갈 수 있지 않았을까하는

성급한 생각을 해보는 하루였습니다.

두서없는 글이지만 나름대로 열심히 썼답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이승용
07/03/06 03:21
수정 아이콘
저도 코스타리카라는 곳에 살고 있습니다.

사실 제 꿈중에 하나가.. 나중에 스페인어로 한국의 e-sports를 외국으로 수출하고, 외국에서도 리그를 만드는게 꿈인데요..
여기도 2년전에 DSL이 보급되기 시작했죠..

협회가 개념만 조금 잡혔더라도T_T
NeverMind
07/03/06 10:30
수정 아이콘
전 한국에서 살지만 얼마전에 와티비라는 스트리밍 프로그램으로 조대희선수와 그루비의 경기를 보다가 irc채팅체널에 잘못 접속해서 우루과이 체널에 접속해서 그사람들과 서로 짧은 영어로 함께 경기를 봤던 기억이 있네요... 지구 반대편의 사람들과 같은걸 보고 즐긴다는게 정말 멋진 경험이였습니다.그것도 우리나라 선수의 경기를 보면서 말이죠...
NeverMind
07/03/06 10:42
수정 아이콘
아 그리고 루시퍼라는 아이디는 노재욱 선수가 맞습니다
KuTaR조군
07/03/06 13:51
수정 아이콘
물론 스타리그도 아직 외국에서 인기가 많답니다. 많은 매니아가 있구요. 하지만 세계적인 흐름은 역시 워크래프트3가 아닌가 싶습니다.(세계적으로 유명한 대회들도 스타크종목이 있는 것은 WCG가 유일하지 않나요?) 그런 면에서 전체적인 워3선수들의 수준이 높은 우리나라에서 워3리그가 달랑 하나라는 것이 안타깝기만 합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29957 협회가 한 목소리를 내고 있는 그 배경과 이유 [14] Nerion5916 07/03/08 5916 0
29955 협회 방송사 IEG 게임단 여러분, 팬들을 위해서 글 좀 써주세요. [13] 스갤칼럼가4581 07/03/08 4581 0
29952 협회분들...광고보이콧 할려면 제대로 한번 해주세요 [21] 뜨와에므와5660 07/03/08 5660 0
29951 변형태선수의 온게임넷 테테전 연승행진 어디까지 이어질지 [13] 처음느낌4707 07/03/08 4707 0
29950 누구를 향한 팬심인가 .. [22] 4045 07/03/08 4045 0
29949 나를 울리는 박태민 [39] 더미짱5395 07/03/08 5395 0
29948 스포츠와 방송(1) [13] 타츠야4908 07/03/08 4908 0
29946 그놈이 태어나 지금까지 커오는 사이에... [3] StaR-SeeKeR4283 07/03/08 4283 0
29945 이스포츠를 망하게하는건 망했다고예언하는 우리가아닐까요? [48] dkTkfkqldy5160 07/03/08 5160 0
29944 그런데 협회고 방송사고 스타크래프트리그의 문제는 [5] zillra4027 07/03/08 4027 0
29943 정말 고맙네요 협회... [3] Again4312 07/03/08 4312 0
29942 개인리그 총정리판. [16] rakorn4854 07/03/08 4854 0
29941 쉬어 가는 글 – PGR, 피지알러들에 대한 믿음2, 그리고… [14] probe5021 07/03/08 5021 0
29885 [PT4] 3차 예선 결과와 1차 본선 공지 [3] 캐럿.3799 07/03/07 3799 0
29940 꿈같은 시나리오지만... [2] 또치3969 07/03/08 3969 0
29939 소설한편 써보겠습니다 이스포츠판 앞으로의진행 [1] 카오루5939 07/03/08 5939 0
29938 협회와 방송사 파워게임의 승자가 눈에 보인다. [49] 다크포스5920 07/03/08 5920 0
29937 두 방송사의 운명이 스타판의 운명과 함께 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14] 다주거써4610 07/03/08 4610 0
29936 옛날 이야기. [9] 노리군3881 07/03/08 3881 0
29935 Back To The Team League, Really? [4] Born_to_run4044 07/03/08 4044 0
29934 esFORCE의 칼럼 '기득권'에 대한 반론 [8] The xian4793 07/03/08 4793 0
29933 협회가 개인리그를 과연 유지할까? [2] 도마뱀4332 07/03/08 4332 0
29931 협회를 지지합니다. [38] DeaDBirD5170 07/03/08 5170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