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06/12/19 09:47:25
Name Coolsoto
Subject 이해해야할 협회..

시끌시끌합니다.

케스파1위에서부터 올해의게이머상, 프로게이머상떄문에요.

처음보면 좀 어이없기도 했지만..

오죽 협회도 이스포츠에 몸담은지 한달지난것도 아니고

팬들의 반응이 예상됨에도 일을 진행시키는건

이 판이 수그러들지 말고 더 커지길 바라는 것이 아닐까..하는 생각도 듭니다.

케스파1위는 뭐 온겜산정기준으로 살며시 넘겨줍니다.

진정한 1위는 누구인가는 모든 사람들이 다 알고 있기때문에..

그러나 게이머상은 왜 이윤열선수인가..

임요환선수가 입대한 상황에서 활동이 가능하기는 하나 한정적이고

포스트 임요환을 하나 만들어야할 상황에서

최초의 골든마우스, 두터운팬층, 인지도 면에서

그리고 혹시 매각될지도 모르는 팬택팀에 입장에서도

올해의 게이머상을 받은 선수가 있다면 다음의 매각에서도 인수팀에

조그마한 이점이라도 될수 있을까.. 하는 생각이 조금 엿보입니다.

올해의 프로게임단도 그런 맥락에서 엿보입니다.

창단과 동시에 돌풍을 일으키고 기존 3강에서 팀을 더 넓히고

저변을 확대하려는 의도라고 생각하고 싶습니다.

르까프는 이번에 전국대회 규모의 아마추어대회까지 여는등

이스포츠활성화에 앞장서고 있죠.

그리고 준우승의 오영종선수 프로리그의 확실한 카드 이제동선수의 발굴

프로리그에서의 상위권 등등을 고려한것으로 보입니다..

위의 설명이 맞아도 여타 다른팀과 다른선수들의 활동도

못지않거나 능가하는팀도 있습니다.

그러나 조금 넓게 그리고 멀리 보면 이해해야할 부분도 있습니다.

물론 위의 설명이 맞다고 확신할수도 없고 개인적인 사견일 뿐이지만

위기론이 확산되는 이스포츠판에서는 가능할지도 모른다는 생각도 듭니다.

열정이 있는 이스포츠..

  계속 이어나가야할 이 판...

이번의 팬텍매각에서 보듯이 언제 없어질지도 모르는 것도

역시 이 판인것 같습니다..

물론 한쪽으로만 보면 이렇습니다만..

또 다른한쪽으로보면 다른해석도 가능하죠...다각적으로 보는 시각이

필요한 때입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찡하니
06/12/19 09:50
수정 아이콘
음모론 중에 하나지.. 그게 사실은 아니잖아요..
이런 떡밥이라도 던지지 않으면 심심해 죽을것 같은 스타팬들한테 자기 희생을 한 거라는데 한표 던지겠습니다.
higher templar
06/12/19 09:51
수정 아이콘
포스트 임요환은 팬들이 만드는게 아니고 협회가 만드는 것일까요?
06/12/19 10:13
수정 아이콘
KeSPA 랭킹 1위 산정이야 협회가 한 거니까 깝시다. 사정없이 까여도 쌉니다. 그건 맞아요.

하지만, 이번 "e-sports 진흥상"은 문광부와 스포츠조선 전자신문이 주최한 상이고, 제목에서도 보이듯이 e-sports 진흥에 가장 공로가 크다고 판단되는 대상에게 주어진 상입니다. (그렇다고 마재윤 선수가 e-sports 진흥에 공로가 적었다는 말은 아닙니다.)

이런 점은 이번 게임대상에서 '그라나도 에스파다'가 대상을 받은거랑 일맥상통합니다. 사실 흥행면이나 매출면이나 사용자 면에서라면 스포나 서든, R2 온라인이나 로한이 받았어야 맞습니다. 아니면 부동의 1위인 리니지나 와우가 대상을 받아야 마땅하죠. 하지만 올 한해 우리나라 게임 진흥에 가장 공로가 큰 게임이 그라나도 에스파다였다고 '기자단이' 판단했기 때문에 그렇게 시상한 것이라고 봅니다. (인기상은 서든어택이 받았죠) 즉, 순수한 성적이 이번 시상의 기준이 아니었다는 말이죠. 사실 학교에서 주는 '모범상'도 성적순으로 주는건 아니니까요(거의 성적순으로 주긴 하지만 말이죠)
06/12/19 10:20
수정 아이콘
글쎄요, 포스트 임요환을 만든다는 점이나 팬택 매각 부분은 전혀 공감이 안됩니다..

최고의 프로게이머 상은 말 그대로 최고의 프로게이머에게 주는 상이지 이 판을 넓히기 위해 사용된다면, 혹은 한 팀을 구제하기 위해 사용된다면 그건 아니라고 봅니다.

최고의 프로게이머는 성적으로(혹은 실력으로) 자신을 증명한다는 말은 옛말이 된건가요.

차라리 포스트 임요환 상을 만들면 모를까, 포스트 임요환을 만들기 위해 혹은 팬택팀의 매각을 돕기 위해 상을 이윤열 선수에게 주는 것은 더더욱 안될 거라고 봅니다.
06/12/19 10:37
수정 아이콘
판을 커지게하는데 왜 수상을 조작해야하는건지 그거자체가 말이 안되죠.
이윤열선수가 이제 갓 전성기를 맞는 선수입니까?2006년 올해의 선수상따위 없어도 누구도 대적할수없는 커리어의 선수이잖습니까.
모또모또
06/12/19 10:41
수정 아이콘
이윤열 선수가 이 상을 받았다는 건 강민선수, 한동욱 선수, 오영종선수 이정도급의 선수들도 충분히 받을만한 상이였다는 거군요 도대체 무슨생각으로 2006년 활약 임팩트 다섯손가락안에 겨우 턱걸이한 선수에게 상을 준건지;;;
모또모또
06/12/19 10:47
수정 아이콘
ㅈㅅ 조용호 선수도 이윤열선수보다 좀 낫군요;;
Coolsoto
06/12/19 10:57
수정 아이콘
당연히 팬들이 선수를 만드는건 맞습니다만 기업입장에서는..
You.Sin.Young.
06/12/19 22:55
수정 아이콘
극단적인 표현으로 기업은 팬들이 만들어 놓은 선수를 사용하며 그 사용료를 지불하고 있는 것에 지나지 않습니다. 그런데 기업이 스타를 만들어서 팬들에게 강요해야 하는 상황을 역설하시는 것인지..

언제 기업이 활성화시켜놓은 판에 팬들이 뛰어들었습니까? 우리나라 프로스포츠는 전마빡이가 그렇게 만들었지만 이 판은 그 반대였습니다.

협회 역시 팬들에 의해 만들어진 것입니다. 그런데 왜 팬들의 심리에 어긋나는 방향으로 가는 것입니까. 그건 제사 자체보다 그 위에 올려놓은 돈에 관심이 많아서인가요?

글쓴이의 입장을 이해하고 싶으나 주객전도의 상황이라서.. 동감하기조차 속이 쓰립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28250 스타랑 워3를 좋아하는 사람이 생각해본 프로리그 이벤트전 [12] 하심군4096 06/12/25 4096 0
28249 올해 봤던 괜찮은 영화들(스포일은 없어요) [33] 외계인탐구자5293 06/12/25 5293 0
28247 정말로 이 정부는 이대로 한미 FTA협상을 밀고 나갈까요? [20] 김익호4047 06/12/25 4047 0
28244 hwantastic in 광주. [15] 애정 중독자.4018 06/12/25 4018 0
28243 김동수 선수의 프로게이머 복귀, 과연 성공할 수 있을까요?? [72] 김광훈9763 06/12/25 9763 0
28242 솔로로써 익숙해진다는건 이런걸까요? [14] 뉴폰5444 06/12/24 5444 0
28238 동네미용실에서 머리를 자른게 화근이었습니다 ㅇㅇ; [26] 폴암바바7752 06/12/24 7752 0
28237 2년뒤 공군팀이 프로리그에 출전한다면? [37] 마르키아르5383 06/12/24 5383 0
28233 [영화 Review] Romantic Hoilday (Spoiler-free version) [9] LSY4545 06/12/24 4545 0
28232 정말 공군측이나 엠비시 게임측이나 제게 참 가혹하네요.... [30] 김주인9935 06/12/24 9935 0
28231 [잡글] 분홍자전거는 어디로 갔을까? [2] 코리아범4039 06/12/24 4039 0
28230 이유있는 마법, 김택용의 질롯(들) [22] 호수청년6983 06/12/24 6983 0
28228 사랑이야기 - 누가 가장 바보에요? [5] 삭제됨4401 06/12/23 4401 0
28227 농구에 관심있으신 분, 대학 NO.1 포인트가드 김태술 선수의 이야기입니다. [20] Forever_Sooyoung5815 06/12/23 5815 0
28225 [L.O.T.의 쉬어가기] 박서 아닌 임요환!! [27] Love.of.Tears.8474 06/12/23 8474 0
28224 다섯번째 하늘(SKY)의 제왕은? [24] 백야4596 06/12/23 4596 0
28223 박지윤 VS 박지성의 대격돌 [40] 처음느낌6687 06/12/23 6687 0
28222 르까프 OZ VS MBCgame Hero 플레이오프! [230] SKY925546 06/12/23 5546 0
28220 [만화 '식객'이야기] 소고기 전쟁 - 대분할 정형 [11] The xian6704 06/12/23 6704 0
28219 2006 프로리그 후기리그 플레이오프 5경기 이제동 vs 이재호 [22] 그래서그대는4458 06/12/23 4458 0
28218 "무엇이든지 남에게 대접을 받고자 하는대로 너희도 남에게 대접하라" [7] 비롱투유4813 06/12/23 4813 0
28217 르까프 VS MBCgame Hero 플레이오프 엔트리! [595] SKY928359 06/12/23 8359 0
28216 아마추어 중계진 모집 [4] 우승기4519 06/12/23 4519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