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06/11/10 01:10:42
Name
Subject 팬이야

저는 스타크래프트 팬입니다.

E스포츠 팬이기도 하지만, 엄밀히 말하면 스타크래프트 팬입니다. 다른 종목은 관심은 있
긴 하지만 눈여겨 보지는 않으니까요.

스타를 보고, 좋아한 기간은 2000년도 즈음 부터니까 꽤 오래 됬네요. 하지만 오랜 시간을
봐왔음에도 불구하고 누구 앞에서 E스포츠의 미래를 당당히 논할 수 있을 정도의 매니악
한 팬은 아닙니다.

협회와의 사건들도 최근 들어서 조금씩 들어서 알기 시작했습니다. 프로리그 확대도 기
사가 나간지 몇일 뒤에야 알게되었으니까요.

글쎄요, 최근 며칠 사이의 게시판을 보면서 제 자신이 이 판에 대해 조금은 무관심해 진
건가 하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사실 프로리그 확대 건에 대해서는 확대 되도 그만, 안되도
그만 이라는 생각이었거든요.

어쨌든 티비에서 그들의 경기를 보고, 좋아하는 선수의 승리에 열광하고, 그정도 만으로
충분히 스타크래프트는 재밌다, 이래서 스타가 좋다, 라고 생각해 왔었으니까요.

상당수 E스포츠 팬분들은 항상 많이 불안해 하십니다. 이 판이 앞으로 얼마나 더 갈까.
쉽게 무너지지는 않을까. 팬들이 한순간에 전부 등 돌려 버리지 않을까. 물론 이 판의 특
성일수도 있습니다. 그리고 사실일 수도 있지요. 하지만 경기를 보면서 항상 앞으로 얼마
후면 이런 경기를 볼 수 없을지도 모른다 라는 불안감에 휩싸인다면 경기가 재미있을까요.

항상 곧 망한다 곧 망한다 하면서도 지금까지 버텨온, 아니 제가 보기엔 (누가 보기에도)
확실히 성장한 이 판입니다. 매번 이 판의 위기에 대해서 이야기가 나올때에도 에이 그냥
게임이나 보자면서 넘겼던 제가 이 판의 팬으로서의 자격이 있는지는 모르겠지만, 선수들
이 투혼을 다해 펼치는 매 경기이니 만큼, 즐길때에는 이 판의 미래에 대한 고민은 잠시 접
어두고 선수들의 게임에 열광하고, 진정으로 경기를 즐겼으면 좋겠습니다.

내일이 슈퍼파이트 2회입니다. 조금 이른가 하는 생각은 있지만 그래도 선수들의 몇몇 응
원글이나 경기 예상글들을 기대하고 왔는데 약간은 허탈한 기분이 들어서 이렇게 글을 써
봅니다. 재주가 없어서.. 하고싶은 말을 제대로 했는지는 모르겠네요.

이윤열 박정석.. 이윤열 선수야 결승 갔다고 해도 박정석 선수는 예전의 기량이 아니고..
기대와 실망이 교차하는 슈퍼파이트 2회입니다. 그래도 4대 천왕은 4대 천왕 아닙니까.
한때는 이 판을 주도하고 나섰던, 이 판의 마스코트와도 같던 4대 천왕이 이제는 협회와
프로리그 확대(물론 큰 문제입니다만)에 가려져 나름대로 "안습퍼파이트"가 되가는 것
같은 느낌이 들어 조금은 기운빠지는 일이네요.

저는 스타크래프트 팬입니다.

이판의 안위는 뒤로한채 오늘의 경기만을 즐기려고 하는 참 염치 없는, 그냥 뭐 그저 그
런, 스타크래프트를 많이 좋아하는, 뭐 그런 팬입니다 ..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글루미선데이
06/11/10 04:12
수정 아이콘
저도 매치가 안맞아 궁시렁 궁시렁 말은 많지만
결국 보긴 볼거고 재밌으면 환호하고 있을테죠
음..개인적으로 좀 부진한 박정석 선수가 좋은 모습 보여주면 좋겠네요
06/11/10 11:21
수정 아이콘
현재의 포스만이 중요한 건 아닙니다.

과거로부터 이어지는 명품도 멋진 겁니다. 이윤열 vs 박정석 슈퍼파이트는 스타크래프트의 명품전입니다. 그렇기에...관계자나 선수, 팬들이 더 많은 관심으로 두 선수의 슈퍼파이트에 호응해 주기를 바랍니다.
팬이야
06/11/10 13:04
수정 아이콘
헐;;;
제가 덧글 잘못 써서 '팬이야같은 비매너는 안드로매다로..'이런 글인줄 알고 깜짝 놀라 들어왔더니..

박정석 화이팅!!
코끼리들
06/11/10 14:42
수정 아이콘
팬으로서, 제가 좋아하는 두 선수의 매치를 화려한 슈퍼파이트에서 볼 수 있다는 것은 큰 즐거움입니다. 매치업에 실망한 사람들에게 놀라울 정도로 재밌는 경기 기대할게요. 두 선수 모두 화이팅입니다 >.<
+) 이윤열 선수 조금 더 화이팅~ >0<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27095 눈팅만 하다가 처음으로 글써봅니다.. [1] DJNIKE4100 06/11/15 4100 0
27093 그래서 너희들은 지금 무슨 생각 하고 있느냐. [21] 그러려니3826 06/11/15 3826 0
27092 SK T1의 의중을 의심할 수 밖에 없는 이유 [76] 연아짱5420 06/11/15 5420 0
27090 t1이 아닌 SK telecom의 선택(?) [28] 뷁원4692 06/11/15 4692 0
27088 오늘 조형근 선수를 보고, 임요환 선수에 대한 기대감이 더 높아졌습니다. [18] 다주거써4764 06/11/15 4764 0
27087 SKT1 선수들.. 그래도 화이팅 입니다.. [11] 삭제됨4069 06/11/15 4069 0
27086 [잡담] 관련 팩트 + 입장 + 잡소리 [27] ijett4720 06/11/15 4720 0
27085 이번 SK의 선택과 집중. 그리고 다른 팀들도 같은 방향을 간다면.. [16] 내스탈대로4047 06/11/15 4047 0
27083 SK Telecom T1의 선택, 협회 그리고 서바이버예선............... [3] 닉넴바꿨다ㅋ4031 06/11/15 4031 0
27082 SK T1의 개인리그 선택결정에 박수를 보냅니다. [38] 김호철4758 06/11/15 4758 0
27081 개인리그 통합은 어떻습니까. [21] 도마뱀4103 06/11/15 4103 0
27080 SK의 입장 [12] 그래서그대는4059 06/11/14 4059 0
27079 SKT1의 이번 사건의 문제점들. [77] 나의입장4128 06/11/14 4128 0
27077 [K, m, c의 험악한 대화] 험악한 뒷담화 2 [3] Ntka4822 06/11/14 4822 0
27076 아니 땐 굴뚝에 연기 나랴(?) [41] The xian4071 06/11/14 4071 0
27075 sk의 입장표명이 나왔군요 [383] 夢想家8792 06/11/14 8792 0
27073 서바이버리그 결과를 정리해 보았습니다. [16] Sohyeon4340 06/11/14 4340 0
27072 미스테리한 그녀는 스타크 고수 <서른다섯번째 이야기> [15] 창이♡4284 06/11/14 4284 0
27071 MBC게임 서바이버 예선 최종결과입니다. [19] 부들부들5199 06/11/14 5199 0
27070 내일 하는 듀얼예선....... [31] SKY924254 06/11/14 4254 0
27069 논란의 중심에 선수는 없다. [8] 어린완자 ♪3893 06/11/14 3893 0
27068 여러분, 걱정하지 마십시오. 2007시즌은 4월에 시작합니다. [26] 제로벨은내ideal4760 06/11/14 4760 0
27067 개인리그 통합관점에서 본 이번 사건. [41] KuTaR조군3959 06/11/14 3959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