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06/07/12 17:21:31
Name 세이시로
Subject <프로리그를 말한다>-(1)들어가는 말

2003년 출범한 프로리그가 어느덧 햇수로 만 4년째. 2006시즌의 중반을 맞고 있습니다. 1999년부터 시작한 스타크래프트 방송과 프로게임계에 있어 프로리그의 등장은 획기적인 변화를 가져왔다고 생각합니다. 이전까지 KIGL, KPGL, KPL, 배틀탑, 한게임 서바이벌 프로리그 등 많은 리그들이 존재했었고, 일부는 온게임넷과 iTV에서 방영을 했었고, 또 다른 일부는 공중파를 타기까지도 했습니다. 하지만 그들 중에 지금까지 살아남은 리그는 없습니다. 모두 2001~2002년을 넘기지 못하고 사라져 버렸지요.

스타크래프트 게임계에 뛰어든 선수들, 그들이 속한 팀, 그리고 기업들도 마찬가지입니다. 많은 선수들이 여러 대회에 참가했고, 또 사라지고 잊혀져갔습니다. 또 많은 팀들이 여러 기업의 지원을 받아 우후죽순처럼 팀이 생겨나던 때도 있었습니다. 하지만 그것은 이른바 '낭만 시대'의 일이었고, 방송 리그가 나날이 인기를 얻어가고 정립되는 한편 또 다른 쪽에서는 더이상 팀으로서, 게이머로서 존속이 어렵다고 느끼는 사람들도 있었습니다. 이 과정 동안 '스타크래프트는 언제까지 갈까?'라는 의문도 지속적으로 제기되었습니다.

2006년입니다. 매년 나오던 스타는 언제 망하나? 라는 질문에 사람들은 1~2년 내로 망한다, 혹은 임요환 은퇴하면 망한다, 등등의 답변을 했지만, 리그는 계속되고 규모는 커져만 가고 있으며 임요환 선수도 여전히 게이머 생활을 하고 있습니다. 이 상황을 가능케 한 원동력은 무엇일까요? 그리고 앞으로도 전망이 어둡지 않아 보이게 하는 힘은 뭘까요?

개인리그는 크게 변한 것이 없습니다. iTV, 겜티비는 문을 닫았고 양대리그 체제가 확고해졌으나 별다른 차이는 없습니다. 2003년 이후 게임판이 달라지게 한 그 뭔가는 바로 프로리그입니다. 물론 프로리그도 처음부터 지금의 지위를 누릴 수 있을 거라고 모두가 생각지는 않았습니다. 팀리그와 경쟁하던 시절이 있었고, 개인리그에 저해가 된다고 여겨지던 시절도 있었습니다. 하지만 지금 프로리그는 양 방송사에서 가장 큰 비중을 들여 방송하는 리그이고, 국내에서 가장 상금이 큰 통년 규모의 대회입니다.

지금까지 프로리그가 걸어온 길을 정리해 보고, 현 시점의 프로리그의 위치와 문제점을 점검해 보며, 앞으로 나아갈 길을 제시해 보는 것이 이 글을 쓰게 된 소박한 목적입니다. 며칠동안 몇 개의 글에 나눠 쓸 것 같고,  본문에서는 경어체를 굳이 사용하지 않을 계획입니다. 올드팬들은 과거를 떠올리는 데 많은 보탬이 되어주시고, 비교적 늦게 보기 시작한 분들은 쭈욱 따라와 주셨으면 좋겠으며, 무엇보다 회원분들의 생산적 논의가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그럼 또 찾아뵙겠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06/07/12 17:26
수정 아이콘
기대됩니다 ^^ 프로리그를 2004년부터 접한 저로써는 2003년때 어떻게 진행이 되었고 그때의 스타판은 제대로 알지를 못합니다. 앞으로 나올 글을 통해서 어느정도 판을 이해할 수 있고 주관적인 견해를 쌓아갈 수 있는 좋은 초석이 되었으면 좋겠네요.
벨로시렙터
06/07/12 17:38
수정 아이콘
이제 06-07시즌 이후엔 CJ라는 큰 기업이 또 스타판에 뛰어들게 되니, 그때되선 어찌될지,, 또 참 궁금한 이야기입니다 ^^
06/07/12 18:31
수정 아이콘
프로리그가 처음 생긴다고 했을 때 얼마나 오래 갈려나 라는 생각을 가졌던 제가 최근들어 부끄러워지고 있습니다. 모든 구단이 스폰을 잡은 이상 이제부터가 진검승부죠~
백두급호랭이
06/07/12 20:22
수정 아이콘
들어가는말 만보고도 기대되는 글이네요. 빨리빨리 보고싶습니다.허허허
마이스타일
06/07/12 21:29
수정 아이콘
오랜만에 기대되는 연재글이네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24331 월드컵과 언론. 그 상관관계와 진실. [22] Arata_Striker5749 06/07/14 5749 0
24330 상성을 무시하는 저그 프로게이머 박명수 선수.... [27] 김주인6191 06/07/13 6191 0
24329 E-Sports가 나에게 주는 의미.. [10] 황제의마린4873 06/07/13 4873 0
24326 그대는 아시나요, 이런 공식들.. [15] Arata_Striker4695 06/07/13 4695 0
24325 기우 [杞憂] [4] Mr.bin4204 06/07/13 4204 0
24324 박노자-마광수 교수의 연구실을 보고... [39] 진리탐구자5669 06/07/13 5669 0
24322 이 장면 기억하시나요? [78] Arata_Striker6638 06/07/13 6638 0
24321 WEG 시드 사태 관련해서 파이터포럼에 기사가 떴습니다. [55] CoolLuck6618 06/07/13 6618 0
24319 세종대왕, 술김에 한글창제? 정신나간 관광가이드 [18] 하늘바다5823 06/07/13 5823 0
24318 WCG에서 WCGZone.com을 통해 월별 정기리그를 열고있습니다 [6] 구우~4082 06/07/13 4082 0
24317 이런 류의 음악은 어떻게 생각하세요? [11] rakorn4223 06/07/13 4223 0
24315 지단이 처음으로 입을 열었네요.. [203] adfadesd6356 06/07/13 6356 0
24311 D-2 준플레이오프 엔트리 예상 [15] 초보랜덤5144 06/07/13 5144 0
24310 [두려운잡담]하찮은 것에 두려움을 느끼다!! [4] [NC]...TesTER4097 06/07/13 4097 0
24308 사단법인 한국e스포츠협회 사원모집공고 [19] 김철5099 06/07/12 5099 0
24307 피지알 회원중 한분이신 난폭토끼님이...(난토님 글 링크) [576] H.B.K22665 06/07/09 22665 0
24306 요즘 아이들은 어떤 영화를 보며 자랄까? [8] 럭키잭4250 06/07/13 4250 0
24304 <프로리그를 말한다>-(2)프로리그의 출범, KTF EVER CUP [15] 세이시로4639 06/07/13 4639 0
24303 치한이 되다!!! [21] 예아나무5233 06/07/13 5233 0
24302 맨날 눈팅만하다가 밑에 다단계글? 보고 글을 남깁니다 [30] 빡빡이5743 06/07/13 5743 0
24301 다단계에 대한 고민..... [47] wkfgkwk4839 06/07/13 4839 0
24300 [잡담] 캐리비안의 해적 : 망자의 함 (스포일러?) [43] My name is J4536 06/07/12 4536 0
24299 비가...오는군요. [8] 길버그4136 06/07/12 4136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