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05/10/14 18:49:11
Name minyuhee
Subject 나는 바라노라. 민주주의가 아닌 국가를.
민주주의에 있어 중요한 것은 무엇보다도 자유라고 생각합니다.
아무리 증오스러운 의견을 내세우는 자라고 할지라도, 그 자가 의견을
내세울 자유를 잃어버리게 된다면 목숨을 걸고 맞서싸우는 것이 민주주의의
정신, 민주주의에 있어선 의견보다는 자유 자체가 중요할 테니까요.
거기에 감정을 배제해야 하는 법이란 것이 결합되어 각 원인과 경우를
무시하고 결과에 따른 집행이 필요합니다.
예를 들면 폭력시위에 맞서는 전경이 한 난동자에 의해 목숨의 위기를
겪더라도, 그 난동자가 상처를 입게 된다면 전경은 위기를 무릅쓰고
그 난동자를 도와야 하겠지요. 그것이 민주사회의 정신이라고 봅니다.

몇몇사건의 예를 들다면 동급생을 죽게 만든 중학생은
미성년자의 폭행치사죄가 부가되어 그에 적당한 형량을 받습니다.
여중생을 성폭행한 미성년자는 합의를 통해 벗어날 수 있습니다.
교육자의 입장에서 대한민국의 체제에 반대하는 이론을 공포하고
교육하더라도 언론의 자유를 보장해야 합니다.
법과 자유가 사례에 우선하지 않는다면 무엇이 법이고, 무엇이 민주주의입니까.

그렇기에 나는 바랍니다. 민주주의가 아닌 국가를.
인간사회의 불평등함과 각종 사례의 다름을 억지로 짜맞추려 하는 법과
자유가 아니라, 사회의 불평등함을 받아들이고 그 불평등함을 통해
각 구성원의 의욕을 촉진시키고 긍정적인 방향으로 이끄는 사회를.
그걸 위해서는 한 가지만 있으면 된다고 생각합니다.
'지도층의 선의'.  
돈과 권력이 아니라 도덕과 명예가 지도층의 기준이 되는 사회를.

물론 지도총의 선의를 믿기보다는 여러가지 부작용이 있더라도
자유민주주의가 훨씬 믿을만하다는 것을 사람들은 인지했기에
명목상으로도 민주주의가 세계를 통일했는지도 모르죠.

짧게 요약해서.
민주주의와 법치인 이 사회에서 아무리 감정적으로 용납할 수 없는
사례라고 해도 법을 따라야 합니다.
쉽게 말해 동급생을 살해한 중학생은 미성년자의
폭행치사로 소년원 갔다오면 끝입니다.  
여러 네티즌들이 바라는 중형은 민주주의가 아닌 국가에서나
가능하다는 이야기죠. 그렇기에 저는 민주주의가 아니라
지도층의 선의가 사회를 지도하는 것을 바랍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아이나
05/10/14 18:54
수정 아이콘
머리가 짧아서 그런지는 몰라도 도저히 어떤글인지 모르겠습니다. 농담이나 비꼬는게 아니라 진지하게 말씀드립니다. 진짜 모르겠네요.
minyuhee
05/10/14 18:59
수정 아이콘
요약글을 붙였습니다. 도움이 되셨는가 모르겠습니다.
05/10/14 19:01
수정 아이콘
서양에서 소위 말하는 '비례적 평등'이 글쓴분이 말하는 성격에 가장 근접했다고 보여지네요. 그러나 지도층의 선의를 바란다는 것은 인간의 '정치성'에 대한 사려가 부족해 보인다고 생각합니다. 어떻게 되건 간에, 지도층은 그 성격에 따라 각기 다른 이해관계를 띄게 되고, 따라서 리버럴하기 보다는 대체로 보수 반동적 성향을 띄게 된다는건 누구라도 생각할 수 있는 문제같은데요.
아테나의 세인
05/10/14 19:02
수정 아이콘
흠.. 글이 좀 너무 폭넓은 스탠스를 가지고 주제를 다루려 하다 보니 읽기에 불편한 구석이 있다고 생각됩니다만.. 말하고자 하시는 건 최군 사건 이야기 같은데요, 반어법을 쓰셔서 이야기하시려고 하셨는지..
minyuhee
05/10/14 19:03
수정 아이콘
바로 그렇기 때문에 인간사회는 법과 자유의 민주주의를
채택했다고, 저도 생각하고 있습니다.
발렌타인
05/10/14 19:03
수정 아이콘
전제주의를 꿈구시는가 보군요
기다리다
05/10/14 19:04
수정 아이콘
최근의 강교수사건에 빗대서 말씀하신거같네요..저도 동감합니다
minyuhee
05/10/14 19:05
수정 아이콘
최군사건은 쉽게 설명하기 위한 하나의 예입니다.
시민의 감정은 훨씬 강력한 처벌을 원하지만,
법에 따라 정해진 처벌을 할 수밖에 없는 경우는 매우 많을 것입니다.
IntiFadA
05/10/14 19:05
수정 아이콘
음.....

정치학을 전공한 사람으로서 사견을 말씀드리자면,
민주주의의 핵심은 '자유' 보다는 '평등'입니다.
1인 1표제라는 정치적 평등이야말로 민주주의를 상징하는 것이죠.
글쓰신분은 '자유주의'와 '민주주의'의 개념 혼동이 좀 있는 듯합니다.
화염투척사
05/10/14 19:06
수정 아이콘
배심원 제도는 어떨까요?
아마추어인생
05/10/14 19:08
수정 아이콘
시민의 감정은 훨씬 강력한 처벌을 원하지만,
법에 따라 정해진 처벌을 할 수밖에 없는 경우는 매우 많을 것입니다.

이 이야기가 왜 민주주의 문제성을 들어내는 지 모르겠습니다.
성문법을 채택하고 있는 우리나라 법정에 불만이 있으시다는 건가요?
minyuhee
05/10/14 19:11
수정 아이콘
사례를 구별하지 않고 정해져있는 법에 따라서 판가름할수밖에 없는
민주시민과 시민의 감정에 충실하여 중형을 내리는 지도자를 받드는
신민. 저는 단지 후자를 좋아할 뿐입니다.
물론 제 조국은 그렇지 않으니까, 조국의 방침에는 충실히
따를 예정입니다. 다시 말하지만 단순히 좋아한다는 것 뿐이지요.
오케이컴퓨터
05/10/14 19:30
수정 아이콘
자본주의를 욕하는건 그렇다쳐도 민주주의를 욕하니 난감하네요.
어느 주의에서 살고싶은데요? 일제 때 군국주의? 독일,이탈리아의 파시즘? 소비에트의 공산주의? 북한의 주체사상???
이데올로기 시대는 이미 끝났는데 멍청한 사람들이 요새 너무 많아서 짜증나네요
minyuhee
05/10/14 19:37
수정 아이콘
그렇다면 지금 이러한 민주주의가 최선이라고 생각하십니까?
민주주의는 몇백년도 되지 않았을 겁니다.
저는 민주주의 시민입니다. 부모가 마음에 안 든다고 바꿀 수 없듯이
민주주의 조국이 마음에 안 든다고 따르지 않을 마음은 없습니다.
그러나 민주주의에 따르는 여러 악행에 분노할 수 있습니다.
그것이 아무런 대책도 없는 푸념일지라도.
Deskrasia
05/10/14 19:42
수정 아이콘
자.. 일단 진정하시고.

어떤 집단이나 국가의 처벌, 혹은 규제에는 성문화된 규칙이나 기준이 필요합니다.
한비자나 마키아벨리가 말했듯이 인간은 절대로 이기적인, 자기 자신의 사욕을 위해 움직이게 되어있다고 보거든요.
설령 그렇지 않은 사람이 있다고 하더라도 그 사람이 그렇지 않다는것을 증명할수도 없지 않습니까?
'사람이란 이기적이고, 사욕에 따라 움직이기 때문에' 성문화된 '법'이라는것이 있는겁니다.
저도 그 최군사건인가요? 처벌이 너무 약하다고 봅니다. 주위에 그런녀석들이 없기에 편하게 학교다니기는 하지만, 제 아들, 딸이 그런일을 당한다고 생각하니까 참 소름이 끼치더라구요.
그렇지만 어떻게 합니까? 인간을 위해 존재하는 법에는 그정도의 처벌만이 제시되어 있는것을요. 이것은 체제가 문제가 아니라, 법을 시대에 맞게 고쳐야 되는것이 낫지 않겠는가 하는 생각이 드네요.

쓰다보니까 횡설수설.. 어쨌든 그렇습니다. -_-;
Hyp3r1on
05/10/14 19:44
수정 아이콘
그럼 무엇이 최선이란 말입니까... 단순히 자기가 원하지 않은 방향으로 법이 집행됐다고 해서 민주주의란 틀 자체가 잘못됐다는 건 지나친 비약이 아닌가 싶네요.
minyuhee
05/10/14 19:46
수정 아이콘
물론 민주주의 조국의 시민으로서 민주주의를 따를 것입니다.
단지 그렇지 않았으면 좋겠다.....그것 뿐입니다.
아마추어인생
05/10/14 19:55
수정 아이콘
민주주의랑 상관이 없는 글 같은데.. 이념논쟁을 하시고 계시네요.

영국이나 미국처럼 배심원 제도와 불문법 위주로 판결을 내리는 나라도 있고..
우리나라 같이 판례보다는 성문화된 법을 중심으로 법대로 판결하는 나라도 있는 거고..
여러 방식들이 있겠지만 글쓴 분 말씀대로 여론에 따라 판결이 왔다갔다 하는 막나가는 나라가 있는지 예를 못들겠네요.

암튼 왜 민주주의가 아닌 국가를 바라는지 영 모르겠단 말입니다.
뭐뭐 별 이유를 달아서라도 민주주의가 싫다면 지금이 냉전시대도 아니고 좋을데로 선택하시면 되는 겁니다.
좀 귀찮겠지만요...
minyuhee
05/10/14 19:58
수정 아이콘
중국에서 사형이 빈번하다고 세계각국에서 말이 많습니다.
그런데 그 중국에서 자기 반의 여학생들을 성폭행한 교사가
처형됬습니다. 그 소식에 기분이 좋아진 것이 부끄러운 일이라고
생각하지 않습니다.
아마추어인생
05/10/14 20:05
수정 아이콘
그게 그럼 중국이 공산주의 국가기 때문에 가능한 일이라고 생각하시는 겁니까?
그건 중국이 성폭행에 대한 법률이 강한 것 뿐입니다.
공산주의라고 판결을 재판관이 안하고 법에 따라 안한다고 생각하시는지?
하늘하늘
05/10/14 20:21
수정 아이콘
민주주의가 뭔지에 대해서 공부 좀 하시길 바랍니다.
민주주의란 제도를 말합니다.
세상 그 어떤 제도도 개인의 도덕성을 담보해내는 건 없습니다.

누구나 힘이 있으면 쓰고 싶은 욕구가 생기는것입니다.
그러기에 과정을 투명하게 하고 견제기구를 만들고
최대한 권력을 나누고
의결을 토론을 통해 하도록 하는것입니다.
스끼다시
05/10/14 21:10
수정 아이콘
라인하르트의 현명의 독재를 선택할 것인가?
트류니히트의 어리석은 민주주의를 선택할 것인가?
누군가 이렇게 묻는다면 아마 열에 아홉은 전자를 선택할 것 같기도 합니다....
얀은 후자를 선택했지만, 저는 아직도 고민중이죠....
민주주의가 좋다고들 하시지만, 한번쯤 고민해 볼 필요는 있는 문제입니다....
(혹시나 해서 말씀드리는 건데, 어느쪽이 좋다고는 말하지 않았습니다)
전영소년
05/10/14 22:03
수정 아이콘
이상의 민주주의는 역시나 어려운 일인듯 합니다.
하지만 민(民)이 주(主)가 되는 사회이기에 구성원간의 자유로운 논의와 토론으로 끊임없이 발전하고, 성장할 수 있다는 가능성이 인간을 끌었다고 봅니다. 소수의 결정으로 움직이는 사회나 카리스마의 정치로는 한계가 있음을 역사속에서 볼 수가 있죠.
그래서 민주주의는 현재보다는 미래를 바라봐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어떤 정치제도보다 유연할 수 있고 소수의 피해를 줄이며 공익을 위할 수 있는 가능성의 제도니까요.
화염투척사
05/10/14 23:05
수정 아이콘
법 문제는 민주주의와는 상관이 없는 문제라고 생각되는군요.

민주주의가 있기 전엔 성문법이 없었을까요?

중국을 최초로 통일한 나라는 강력한 법을 가진 진시황의 진나라였죠.
구글신
05/10/15 01:31
수정 아이콘
절대 권력은 절대로 부패합니다. 민주노총 이름 걸고 비정규직 장사 하는거 보면 기가 막히죠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7344 아싸~플토2명 올라왔군요~ [9] 한줌의재3504 05/10/15 3504 0
17343 [강추]스타크래프트 50대사건 네이버에서 펌~ [21] 톰과란제리7427 05/10/15 7427 0
17342 무제 [1] 일병3850 05/10/15 3850 0
17341 아~잊혀져 가는 바람이여... [10] mylove50023574 05/10/15 3574 0
17340 징크스 아닌 징크스 [19] 백야3829 05/10/15 3829 0
17338 가을과 태풍과 낭만의... 프로토스. [7] 8분의 추억4138 05/10/15 4138 0
17337 [잡담] 멋진 E-sports 망상을 해봅니다... [12] 워크초짜5466 05/10/15 5466 0
17336 논쟁을 일으키는 글을 잠시 쉬어주셨으면... [23] 김정화3387 05/10/14 3387 0
17335 우리는 왜 스스로를 비하하는가.. [21] 로미..3379 05/10/14 3379 0
17333 스타팬들의 냄비근성... [143] 못된녀석...5251 05/10/14 5251 0
17332 815맵에서 프토로스 대테란전에 키워드 "고테크유닛의 활용" [66] 체념토스3906 05/10/14 3906 0
17330 맵순서를 보고 예상해볼 이번 SO1 OSL 4강 예상 (2. 최연성 VS 오영종) [26] 초보랜덤4449 05/10/14 4449 0
17329 결과는 나왔다. 두 테란의 운명은? [28] The_Mineral3935 05/10/14 3935 0
17328 테란의 아비터 공략법 [79] skzl5280 05/10/14 5280 0
17327 맵순서를 보고 예상해볼 이번 SO1 OSL 4강 예상 (1. 임요환 VS 박지호) [35] 초보랜덤4121 05/10/14 4121 0
17326 제 자신의 냄비 근성. 진심으로 반성합니다. 죄송합니다. [69] 그때부터4575 05/10/14 4575 0
17325 so1스타리그 4강 예측해봅시다. [35] 애송이3826 05/10/14 3826 0
17324 815... 아직도 멀었습니다. 815에 대한 평가는 유보되어야 합니다. [245] Nerion5193 05/10/14 5193 0
17323 극적인 반전드라마..... SKT T1 TERRAN VS NEW PROTOSS [36] 초보랜덤4675 05/10/14 4675 0
17322 적절한 센스의 온게임넷. A+ [26] 종합백과4746 05/10/14 4746 0
17321 이젠 프로토스 상대로도 베슬을 뽑아야 하나? [31] 초보랜덤3864 05/10/14 3864 0
17320 무한게이트의 힘! 박지호vs이병민 [29] jyl9kr3699 05/10/14 3699 0
17317 나는 바라노라. 민주주의가 아닌 국가를. [25] minyuhee4018 05/10/14 4018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