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05/07/07 16:35:24
Name 파라토스★
Subject ●스타에 있어서 `운영'이란...●<아랫글 보총>
도배할 생각은 아니구;
원래 필받을때 다 쓰는 타입이라.. ㅡ_ㅡ

스타의 실력을 가늠하는데는 보통
'물량''컨트롤''운영' 이 세가지를 주로 논하곤 합니다.

컨트롤의 시초가 임요환이라 하면
물량이란 단어가 본격화 된건 박정석에 의해서지요.
운영은 박태민이후 많이 나온거 같습니다.

위를 보면 아시겠지만
시대가 흘러감에 따라 컨트롤->물량->운영  으로 발전해 왔다는 걸 알수 있지요.
이는 운영이 컨트롤 보다 중요하다는 것이 아니고
컨트롤 이후 물량까지 갖추고 이젠 운영까지 갖추어야 한다고 하겠지요.
그러나 이 '운영'이란것이 참 애매합니다...

'운영'은 실력도 중요하지만 선수의 그날 컨디션에 의해서도
많이 좌우됩니다. 또한 심리상태의 영향도 많이 받습니다.
컨트롤과 물량이 반복적인 연습으로
거의 무의식적으로 물량을 찍고 컨트롤을 한다고 하면,..
운영은 순간적인 판단을 중요시 하기 때문이죠..
경험이나 개인적 성격도 큰 영향을 미칩니다.

또한 운영은 그 측정이 애매하지요..
물량이나 컨트롤 처럼 눈에 쉽게 보이는 것이 아니고
경기가 흘러가는 것을 쭉 지켜봐야 하기 때문입니다.
어느 순간 갑자기 경기를 보았을때
모아놓은 물량을 보고 놀라거나 컨트롤에 감탄할 수는 있어도
운영은 보이지 않습니다. 알수도 없죠..(한순간 보았다면 말이죠..)

보통 프로토스는,
얼마나 많은 물량을 뽑고 이후 운영을 잘하는가 에 따라 많이 좌우되었지만
최근엔 여기에 컨트롤도 가미되고 있습니다.
보통 물량과 컨트롤은 상극의 관계를 가지지만
선수들의 엄청난 연습량으로 이를 극복해나가고 있지요.

개인적으로 스타의 승패는
물량 30% + 컨트롤 30% + 운영 30% + 맵 5% + 운 5%
이렇게 보고 있습니다.

테란이 처음 임요환의 컨트롤로 주인공이 되었고
저그가 양박의 컨트롤과 운영으로 메인이 되었습니다.
과연 프로토스는 무엇으로 가을을 장식할 것인지...
지켜봅시다... ^^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Golbaeng-E
05/07/07 16:41
수정 아이콘
운영이라면 역시 적절한 운영의 김대기가 원조~
먹고살기힘들
05/07/07 16:47
수정 아이콘
운영은 절대적이라기 보단 상대적이라고 생각합니다.
테크트리의 흐름, 체제변환, 확장타이밍 등등...
이와 같은 것들이 상대방 선수의 타이밍러쉬 때문에 한순간에 흐트러질 수도 있기 때문이지요.
수행완전정복
05/07/07 16:55
수정 아이콘
운영으로 이기면 상대는 정말 허탈하죠

리플레이를 보면서도 '딱히 실수도, 빌드도 꼬이지 않았는데 너무 자연스럽게 졌다..'라고 생각하는데 정말 제일 싫은 패배


차라리 센터에서 졌으면 '아.. 다음에 컨트롤 열심히 하자'라고 생각이라도 하죠..
05/07/07 17:16
수정 아이콘
'물량', '컨트롤', '운영'에 '타이밍'을 더하고 싶습니다.
운영이 시작될때쯤, 물량이 폭발하기직전쯤의 핀포인트 칼타이밍 러쉬!! -_-;;
맵핵이 필요없습니다
김홍석
05/07/07 18:17
수정 아이콘
오로지 운영밖에 모르던 외국인 테란유저들이 떠오릅니다. 무조건 멀티후 Scv로 수비, 두군데가 까이면 세군데 멀티, 결국은 초반부터 업그레이드를 해서 갖춰진후 중원장악 시나리오.. 우리나라 프로게이머들도 한껏 당황했던 플레이였죠. 오로지 운영으로 승부보는 식이었습니다. 컨트롤같은거 우습게 생각하고 심지어 부대지정도 거의 하지 않고 생산에 집중하는 그들이었습니다. 선택과 집중을 강조하는 우리게이머들과 달리, 여러곳을 동시에 관리하며, 조합과 다각적인 운영을 통해 부족한 전술적운용을 '시간'이 흐르면서 극복하는 방식이죠.
그러나 우리나라 게이머들이 이들의 방식을 극복하면서, 보다 단단해졌고, 오히려 이런 그들의 방식의 장점을 흡수하면서 진짜 '물량'과 '운영'의 시대가 막이 오르는 바탕을 이루었다고 생각합니다. 바로 '최연성'선수의 등장이죠. 모든걸 계획해서 짜낸듯 운영하는 임요환 선수와 모든 상황을 순간적 대응능력으로 풀어가는 천재 이윤열 선수와 달리 큰틀에서 판을짜고 자원의 효율성보다는 시간의 효율성을 높이는, 즉 정해진 자원을 더 효과적으로 소비하는 플레이보다는 정해진 시간안에 더 많은 자원과 잠재자원인 '맵'과 '주요길목'을 장악하는 방식이죠. 이는 언젠가 우리나라 게이머들이 퓨전해야할 과제라고 보아왔습니다. 사실 최연성 선수와 박태민 선수의 경기를 보면, 기존의 완성형 선수들이라 불렸던, 손빠르고 정확한 서지훈, 박정석, 조용호 등의 선수들과는 많이 다르죠. 손보다 눈이 빠르고 타이밍보다는 계산이 정확한 선수들입니다. ^^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4439 "덜덜덜"이라는 표현에 대해서 [49] 수미산5522 05/07/08 5522 0
14438 스타 삼국지 <27> - 아아.. 경락이여. 경락이여.. [17] SEIJI7172 05/07/08 7172 0
14437 [프로야구] 엘지 트윈스, 2002년의 신화가 시작되는가? [16] 그냥:-)4321 05/07/08 4321 0
14434 듀얼토너먼트 오프라인예선현황(완료) [76] 마정8129 05/07/08 8129 0
14433 리오스 방출... [39] n.Die_Italy6400 05/07/08 6400 0
14431 듀얼 1라운드 예선 중간정리-(업데이트 중단.) [37] My name is J6438 05/07/08 6438 0
14430 재미있는 세사람....강민, 박용욱, 박정석 [37] 어...9122 05/07/08 9122 0
14428 어제 경기로 비추어 본 프로토스 패러다임의 변화. [25] Gidday5288 05/07/08 5288 0
14427 프로리그에서 선수들의 기여도에 대해서. [22] F만피하자4849 05/07/08 4849 0
14426 런던 테러, 무서워지는 세상. [27] 도시의미학4779 05/07/08 4779 0
14425 영웅토스 박정석 [9] SoulMate4331 05/07/08 4331 0
14423 어제 경기가 3:2 승부였다면 스타리그 사상 역대 최고의 명승부였겠죠? [26] 정테란5549 05/07/08 5549 0
14422 최연성 선수이기 때문에... [5] 파크파크4095 05/07/08 4095 0
14421 2경기 최연성 선수의 플레이에 대해서... [5] 므흣한오후4685 05/07/08 4685 0
14420 박정석, 오늘의 3:0 승리는 바로 루나에서의 1경기 때문이다. [18] 웅컁컁♡5519 05/07/08 5519 0
14418 머씨형제,양박저그..근데 플토는?? [46] 김호철6070 05/07/08 6070 0
14417 정글에서.. [8] Fireguy4561 05/07/08 4561 0
14416 삐딱한 눈을 가진 사람의 경기평..(박정석 vs 최연성) [35] 김대선5744 05/07/08 5744 0
14415 최연성과 박정석, 강민과 이윤열 [19] 마동왕5573 05/07/08 5573 0
14414 태극듀오~★ [9] Love♥Toss4796 05/07/08 4796 0
14413 그의 부활을 꿈꾸며,, [8] 초짜4656 05/07/08 4656 0
14412 오늘 개봉한 우주전쟁을 보았습니다.^^ [27] Narcis5785 05/07/07 5785 0
14411 박정석..제눈을 의심했습니다..그리고 우승의 가능성은.. [40] 김호철7745 05/07/07 7745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