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 Date | 
 
2005/06/01 01:29:33  | 
 
 | Name | 
 KuTaR조군 | 
 
 | Subject | 
 10부작 칼럼 - e스포츠가 스포츠로 거듭나기 위하여(1)  | 
 
 | 
 
     
   드디어 10부작 칼럼 그 첫번째 시간입니다. 서문에서 보시면 아시듯이, 1편에서 3편까지 
 
는 e스포츠의 역사에 대해서 짤막하게 짚고 넘어가려고 합니다. 그리고, e스포츠의 역사 
 
중에서, 우승자나 준우승자에 대한 비중은 약간 약해집니다. 그럼, 시작하겠습니다. 
 
-------------------------------------------------------------------------------- 
1. e스포츠는 어떻게 발전하였는가. (1) 투니버스 - 온게임넷 
 
 e스포츠라고 하는 것의 역사는 따지고 보면 상당히 오래되었다. 최초의 e스포츠는 1950 
 
년대 미국의 한 대학에서 시작되었다. 종목은 '스페이스 오딧세이'라는 우주선 게임. 개중 
 
에는 무슨 대학에서 게임기 하나 갖다놓고 둘이서 경쟁하면서 한 것이 e스포츠라고 하는 
 
사람도 있을지 모르지만, 분명 e스포츠의 시작은 이 한 게임에서 시작되었다. 
 
 그 후, 1970년대 제대로 된 첫번째 비디오게임인 'pong'이 나오고, 그 후 여러가지 게임 
 
들이 나오면서 e스포츠가 점차적으로 발전하기 시작했다. 필자가 쓰고자 하는것은 이런 
 
오래된 역사가 아니라, 스타크래프트라는 게임이 나오고 난, 1998년 이후의 일부터 쓰려 
 
고 한다. 일단, 스타크래프트리그의 역사를 둘로 나누면, 투니버스 - 온게임넷, 겜비씨 - 
 
엠비씨게임으로 나뉜다. 이 중에서 이 글에서는 전자에 대해 쓰려고 한다. 
 
 
 제 1기 - 저그의 전성기, 그러나 우승은... 
 
 처음 스타크래프트가 나오고 나서 가장 유리한 종족으로 평가받던 종족은 저그였다. 빠 
 
른 생산력과 별도의 생산건물을 짓지 않아도 되는 편안함. 유닛들의 가격이 전체적으로 싸 
 
며, 멀티 방어가 상대적으로 용이하다는 이유로, 저그는 급속도로 상승세를 타기 시작한 
 
다. 물론, 브루드워가 나오면서 잠깐 프로토스에게 기우는가 했으나, 2대 패치중의 하나인 
 
1.04패치가 되면서 다시 주도권은 저그에게 넘어오게 된다. 그 가장 큰 이유는 25원짜리 
 
저글링이었다. 저글링은 가격대 성능비에서 굉장히 우수한 능력을 보이면서, 저그를 최강 
 
의 종족으로 올려놓는데 1등공신의 역할을 하게 된다. 
 
 이것은 스타크래프트 리그에서도 그대로 적용이 된다. 흔히, 방송에서 따지는 최초의 프 
 
로게임 리그인 Progamer Korea Open 99'(PKO99). 이 리그 결승에서는 저그 중심의 랜 
 
덤유저인 최진우와 저그유저인 국기봉이 겨루게 된다. 결과는 최진우의 승리. 이때부터 
 
저그는, 무려 7시즌 연속으로(올스타전 2회 제외) 결승에 오르게 되는 기염을 토한다. 하 
 
지만, 7시즌이나 결승에 오르는 동안 우승은 한번도 하지 못하게 된다. 일단, 2000년에 있 
 
었던 2리그에서는 랜덤유저인 기욤과, 프로토스 유저인 김동수가 우승을 차지하게 된다. 
 
 
 제 2기 - 임요환을 필두로 한 테란유저의 득세 
 
 1.07시절까지 가장 안 좋은 종족으로 인정되던 종족은 테란이었다. 가격대 성능비 대폭 
 
파괴. 비록 거의 대부분의 유닛이 레인지 유닛이지만, 상대적으로 낮은 체력. 럴커나 템플 
 
러에게 잠깐만 한눈을 팔면 모든 병력을 잃을 수 있다는 점. 다른 종족에 비하여 좋지 않은 
 
공중유닛 등. 이런 여러가지 불리한 요소들로 인하여 테란은 일명 '쓰레기 종족'으로 취급 
 
받게 된다. 하지만, 그 중에서도 승리를 드높인 3명의 테란이 있었으니, 이기석. 김대건. 
 
임요환. 이기석은 테란 중심의 랜덤유저였다는 이유로 빠지기도 하지만, 어쨌든 이 셋은 
 
테란이라는 종족도 할만 하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특히 김대건은 김창선, 김동준이 기초를 
 
닦아 놓은 '메카닉'(팩토리 유닛을 중심으로 운영을 하는것.)을 대 플토전 전략으로 사용 
 
하는데 기여하였고, 임요환은 '마이크로 컨트롤'이라는 분야를 창시하며, 마지막 1.07 온 
 
게임넷 스타리그인 한빛배에서 우승을 차지하게 된다. 그리고, 거행된 2대패치중 하나인 
 
1.08패치. 골리앗 사정거리 증가, 느린 드랍십의 속도 향상. 스포닝풀의 가격 인상 등, 전 
 
체적으로 테란에게 좋은 면의 패치가 된다. 이것은 스타리그에서도 그대로 반영되어, 200 
 
1년의 나머지 두 대회에서 테란은 4강에 두명씩 올려보내게 되고, 2001년 한빛배부터 7시 
 
즌 연속 결승에 진출하게 된다. 특히, 온게임넷에서는 덜하지만 2002년에는 '이윤열'이라 
 
는 무서운 돌풍의 신예가 등장하여 이른바 테란을 '사기의 종족'이라고 이름붙이게 한다. 
 
 
 제 3기 - 프로토스의 부흥, 저그의 재림. 하지만, 주도권은 다시 테란에게... 
 
 하지만, 7시즌 연속 결승에 진출했던 테란이 4강에서조차 한명도 못 올라가는 이변이 생 
 
기고 만다. 이유는 프로토스의 부흥. 가을의 전설이라고 하여, 가을대회에서는 항상 우승 
 
해왔던 프로토스가, 2003 마이큐브배에서는 4강에 3명이나 올려보내면서, 최초의 동일종 
 
족 결승전을 만들어 내게 된다. 이 시즌뿐만 아니라, 그 다음시즌에서도 프토 2명의 결승 
 
이 치뤄지게 된다.(이때 4강이상 오른 프로토스들을 모아서, 4대토스라고 지칭한다.) 이  
 
분위기는 일단, 다음시즌인 2004 질레트 스타리그에 프토 5명을 올려보내며 이어지는 듯 
 
하였으나, 준우승을 한 박정석 선수를 제외하고는 모두 부진한 성적을 거두게 된다. 그 이 
 
후로 프로토스의 분위기는 약간 침체된다. 
 
 프로토스의 침체기 원인에는 단연 '머큐리'에 의한 저그의 부흥을 들 수가 있다. 2004년 
 
질레트 스타리그에서 최초로 저그 우승을 달성하고 난 뒤, 저그들은 이른바 '변태준'을  
 
필두로 하여 스타리그에서 승승장구 하게 된다. 그리고, 마침내 아이옵스 스타리그에서는 
 
테란을 밀어내고 최다종족의 자리에 오르게 된다. 
 
 그러나, 그런 저그판 중에서도 굳건한 자리를 지킨 테란들이 있다. 소위 '머씨형제'라 불 
 
리는 이윤열 - 최연성. 이 들은 각각 2004 EVER와 아이옵스 스타리그를 우승하면서, 저 
 
그 돌풍을 줄이게 된다.(실제로 현 리그인 2005 EVER에서도 이미 4강에 두명을 올려놓 
 
게 된다.) 
 
-------------------------------------------------------------------------------- 
 
 이렇게 간단하게 온게임넷 쪽 역사를 훑어봤습니다. 아직은 칼럼이라는 성격의 글은 아닌 
 
듯 싶습니다. 뭐, 주제가 주제다 보니 제 주관적인 생각을 넣을 틈이 없었죠. 많은 비판과 
 
태클 부탁드리면서, 저는 2편에서 뵙도록 하겠습니다. 
 
	
     
     
  |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