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 선거 기간동안 일시적으로 사용되는 게시판입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 25/04/04 23:33
불과 3년 전 한국의 민주주의 체제와 국가시스템이 공고해서 누가 대통령이 되든 민주주의 안 망한다는 글이 pgr에 많았던 것이 떠오르네요.
그 사이에 세계가 변한 것이 아니라 많은 사람들이 순진했던 것이겠지요.
+ 25/04/05 06:16
탑승자의 감각과 별개로 차가 굴러가기만 하면 차가 망한 건 아니지만 그렇게 타는 분은 드물죠. 그나마 카센터(셀프?)를 꼬박꼬박 가는 걸 믿었다 하겠고 좀전에도 한번 체크했는데.. 터진.. 이번엔 좀 느릿하나마 보험사가 와서 견인 해줬습니다만, 계속 타도 될까 싶어졌네요
+ 25/04/05 09:45
시사인의 최근 기사(https://www.sisain.co.kr/news/articleView.html?idxno=55062)도 그렇고 이 글에서도 그렇고 빨간당이 소수파라는 분석과 전제를 제시하는데 상당히 회의적 입니다.
다음 질문에 대한 답을 찾아볼까요? 부동산/동산 자산 보유 상위 10% 인구 중 빨간당 지지자 비율은? 상위 10% 법인 실질 소유자/운영자 중 빨간당 지지자 비율은? 공권력(병력 경력) 지휘권자 중 빨간당 지지자 비율은? 국가/지방 예산 및 인사권자, 영향력 행사권자 중 빨간당 지지자 비율은? + 수천개 공단/공사/공직유관단체 임명직 중 빨간당 지지자 비율은? 라이센스 전문직 종사자(의사 변호사 등) 중 빨간당 지지자 비율은? 메이저 언론사 데스크급 인력 중 빨간당 지지자 비율은? 제가 전수 조사를 해본건 아닙니다만 직관적으로 생각해봐도 답이 나옵니다. 우리나라는 아직 빨간당파(저는 [기회주의 복고세력]이라고 부릅니다만)가 득표율에선 뒤지기 시작했으나 여전히 사회경제 시스템 전반적을 지배하고 있는 다수파라고 봅니다. 다수파라기보단 주류파라고 해야 할까요. 그리고 그 다수(주류)파는 복지확대 분배강화 노동시간단축 외교다변화 국방력강화에 전혀 동의하지 않고 극소수 클래스의 안위와 이익증대에 불철주야 노력 중 입니다. 공화국이 유지 되려면 이들의 쇄신이니 혁명이니를 바랄게 아니라 주류세력의 명백한 교체가 필수적 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