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선거 기간동안 일시적으로 사용되는 게시판입니다.
Date 2017/04/25 23:58:16
Name 안다나
Link #1 http://news.joins.com/article/4021432
Subject [일반] 2002년 한나라당 이회창후보 동성애는 사적인 문제
["동성애자가 일이나 인간관계에 장애를 주지 않으면 고용 배척 사유가 되지 않는다고 본다." ]

[한나라당 이회창 총재는 인터넷 패러디 신문 '딴지일보' 와의 회견에서 "만일 보좌진에 동성애자가 있다면" 이라는 질문에 "글쎄, 아직은 없는데" 라며 이같이 말했다.]

[李총재는 또 "만약 국방부장관이 동성애자라면" 이라는 물음에도 "내부 상하관계에 큰 문제가 없다면 그것(동성애)은 그 사람의 사적인 문제" 라고 답했다.]


와 동성애 대한 대선후보 들의 과거 입장  보니까 이회창 대선후보에대해 다시 봤네요 신한국당 시절 보다 못한 자유한국당 보면 진짜 수준이 너무 떨어지네요 미국의 지금 공화당 같이 망한 느낌   2002 년 인터뷰 이긴한데 아직 기독교계 가 보수계열을 장악하지 못한것 같은데 어쩌다가 이런일이 되었는지 모르겠습니다.  이명박 박근혜 정부  의 인권수준보면 진짜 개판인것 같네요  20년전보다 못한 우파 들 의 인권수준 ,,,,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트와이스 나연
17/04/25 23:58
수정 아이콘
관련글 댓글화좀 지켜주세요.
이사무
17/04/25 23:59
수정 아이콘
예 제가 관련 이슈에서 종종 언급했던 게 이거 였습니다. 이회창이 저런 부분에선 되게 PC 해서 놀랐었죠;
닭장군
17/04/25 23:59
수정 아이콘
글쎄요. '동성[혼]'에 대해 찬반이냐 질문이 있어야.
뿌넝숴
17/04/25 23:59
수정 아이콘
최근 올라온 7개 글 중 5개가 동성애 관련 글이네요. 본인 목소리 내고 싶으신 건 이해합니다만 댓글화하심이 어떠신지
독수리의습격
17/04/25 23:59
수정 아이콘
아까운 사람이긴 합니다.
소신은 있지만 권력욕과 뼛속 깊은 엘리트주의가 사람을 잡아먹은 사례죠.
17/04/26 00:00
수정 아이콘
이화창은 역대 한나라계열 대선후보중 단연 원탑이라 봅니다
Liberalist
17/04/26 00:00
수정 아이콘
좀 댓글화 규정 지킵시다. 이게 뭐하는 겁니까? 규정 안 지켜요??
17/04/26 00:01
수정 아이콘
대통령 될수도 있었던 사람이죠
운이 없었다고 봅니다
그건 그렇고 관련글 댓글화가 시급합..
17/04/26 00:01
수정 아이콘
동성혼에 대한 질문이 나왔다면 어땠을지 궁금하긴 합니다.
다그런거죠
17/04/26 00:01
수정 아이콘
박근혜가 전면에 등장하고부터 새누리가 망했어요. 박근혜같은 인간 밑으로 줄만 서면 잘되니까 누가 제 정신 가지고 정치를 합니까. 그런면에서 유승민이 진짜 대단한거죠.
박근혜를 그렇게 끼얹고도 저 정도 인간으로 남아있으니까요.
17/04/26 00:03
수정 아이콘
유승민 후보야. 총선 때 박근혜 존영을 지키려는 필사적인 몸부림을 봤을땐 글세요.
인식의노력
17/04/26 00:02
수정 아이콘
동성애에 대한 인식으로 대통령감에 대한 판단이 달라질 정도로 우리 나라가 여유로운 상황입니까.
17/04/26 00:04
수정 아이콘
어떤 분들에게는 주체적인 삶을 살아가는데 있어서 가장 중요한 사항일 수 있으니까요. 사람마다 입장이 다른거니 그렇죠
인식의노력
17/04/26 00:06
수정 아이콘
입장이 다르기에 중요성도 다르죠.
그걸 중요시 여기는 사람들은 그렇게 판단하시면 되는 것이지만 그들은 전체에서 큰 비중이 아니니까요.
17/04/26 00:05
수정 아이콘
몇몇 분들에게는 중요한 사항일수야 있지요.
이사무
17/04/26 00:05
수정 아이콘
그건 개인마다 우선순위인 가치관이 달라서죠.
누군가에겐 가장 절실하고 1순위인 문제고요.
말씀하신 논리면, " 경제만 살리면 돼지" 라고 말하던 과거 대선의 모 후보의 논리와 뭐가 다른지 모르겠네요
인식의노력
17/04/26 00:07
수정 아이콘
아무리 동성애 문제를 중요시 생각하는 사람도 경제문제와 동성애 문제를 동일한 체급에 놓고 생각하진 않을겁니다. 자신의 이해에 따라 동성애문제를 가지고 결정을 내릴 순 있겠지만요.
이사무
17/04/26 00:09
수정 아이콘
그건 경우가 다르죠. 예를들어 링컨이 노예 해방을 외칠 때, 경제적으로 자기 이득면에서 손해를 보면서도 지지한 사람도 있었을 겁니다.
신분제나 여성인권도 마찬가지죠.
누군가에겐 경제문제가 최우선이겠지만, 누군가에겐 인권문제가 최우선일 수도 있어요.
또한 말씀처럼 성소수자들이라면 그건 최우선 이겠죠.
인식의노력
17/04/26 00:12
수정 아이콘
이해를 못하신거 같네요.
지지를 어떻게 하는건 개인 자유지만 경제문제와 동성애 문제의 체급을 따짐에 있어서 동성애 문제가 국가에서 더 광범위한 사람들에게 영향을 주는 것이라고 생각할 사람은 잘 없을 겁니다.

신분제나 성별문제에서 자신의 이해와 반대되는 입장을 견지함으로써 더 큰 이익을 취해가는 약은 사람들이 있지만, 그들을 비난할 수는 없고 그들에게 놀아나지 말자는 얘깁니다. 그들도 그들의 이익을 쫓을 뿐이니.
이사무
17/04/26 00:15
수정 아이콘
애초에 인식의 노력님은 경제적 이익 > 자신 or 타인의 인권 으로 전제하고 말씀하시는 것이니 저와 평행선을 달리는 겁니다.
말씀처럼 누군가는 이익을 쫓겠죠. 그러나 본인의 가치관이나 삶을 보장받기 위해 기대했던 유권자들을 인식의 노력님의
판단으로 일반화 시키지 마셨으면 좋겠네요
인식의노력
17/04/26 00:17
수정 아이콘
저는 계속해서 적용범위와 중요도를 구분해서 말씀드리는데 그에 대한 판단 없이 단일차원으로 부등호를 매기시니 제 얘기를 이해못하셨다고 볼 수밖에 없습니다.
17/04/26 00:05
수정 아이콘
저도 뭐 님의 말씀에는 크게 벗어나지 않는 생각이긴 합니다만. 누군가에겐 그게 전부일수도 있는 상황이거든요.
주저씨
17/04/26 00:06
수정 아이콘
야 내가 큰그림 그리는데 니넨 그것도 못보네
어휴 정알못들
이거랑 뭐가 다릅니까
어차피 문재인 찍을거지만 제발 이런 발언 좀 안봤으면 싶네요
개개인의 성숙도 가치관이 다르고 그 선택으로 실패를 보면서 성장하는 걸텐데
어딜가나 나는 옳아 너는 미성숙해 몰라서그래 하는 것밖에 안보이네요
파이몬
17/04/26 00:07
수정 아이콘
저도 판단이 달라지진 않습니다만 동성애 관련 분들에겐 현실이잖습니까.
인식의노력
17/04/26 00:08
수정 아이콘
그 사람들 생각해줄 정도로 여유롭냐고요.
제 댓글은 동성애자를 향한게 아니라, 동성애 옹호를 통해 자신의 정치적 지위를 다지려는 자를 향한 겁니다.
17/04/26 00:09
수정 아이콘
이런게 전체주의죠. 누군가에겐 대통령의 동성애에 대한 인식이 가장 절박할 수도 있습니다. 그런건 그냥 그런가보다 하고 넘어가시면 될일입니다.
닭장군
17/04/26 00:11
수정 아이콘
중요할 수 있습니다.
Chandler
17/04/26 00:14
수정 아이콘
게이여야만 게이권리에 대해 적극적으로 생각해야하나요? 사람마다 우선순위는 다른거고 저는 해당이슈는 각 사회마다의 인권수준을 보는 바로미터중 하나로 보기때문에 인권이라는것은 타협의 대상이 아니므로 매우매우 민감한 입장입니다. 당장 굶고있는데 인권이 뭐가 중요해라고 독재를 정당화하던 전체주의 논리랑 뭐가 다릅니까
인식의노력
17/04/26 00:19
수정 아이콘
다 같이 굶고 있는데 인권을 이용해서 자신의 정치적 지위를 다지는 사람들이야 말로 제일 무책임하고 못 믿을 사람들이죠.
Chandler
17/04/26 00:22
수정 아이콘
경제문제가 중요하다 생각할 수 있죠.

그런데 그게 더 중요하니 다른이야기를 하는걸 부정 금지화 하는건 전체주의적 발상이에요. 민주주의적 사회에서 할만한 사고가 아닙니다.
아저게안죽네
17/04/26 02:25
수정 아이콘
아뇨. 제일 무책임하고 못 믿을 건 인권은 무시하면서 경제도 말로만 살린다고 하는 사람들이죠.
지금까진 주욱 구 새누리 계열이 그래왔고요.
최초의인간
17/04/26 00:25
수정 아이콘
네. 제가 아는 대한민국은 정치적으로도 경제적으로도 그런 나라입니다. 저는 그런 나라에 살기에, 인식의노력님께서 대통령감을 정하는 데에 동성애에 대한 인식 문제를 전혀 고려하지 않으신다 해도 인식의노력님의 입장과 견해를 존중하겠습니다. 다만 인식의노력님께서 다른 분들의 입장과 견해를 존중하려 하지 않으신다면 그러한 태도는 존중해 드리기 어렵겠습니다.
저글링앞다리
17/04/26 00:55
수정 아이콘
누군가에게는 존재 자체가 부정당하는 일일 수 있습니다.
판단 주체가 누구냐에 따라 달라지는거죠. 원래 남이 암 걸린 것 보다, 내가 고뿔 걸린 게 더 심란한 법입니다.
각자 판단하고 각자 결정하면 될 일입니다.
소독용 에탄올
17/04/26 01:06
수정 아이콘
소수자와 인권에 대해서 그렇지 못하기 때문에 한국사회가 여유로운 상황이 아니지 않던가 합니다.
경제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노동자에게 희생을 강요하던 프레임의 연장선상에 놓이는 견해라서요...
특이점주의자
17/04/26 00:03
수정 아이콘
동성혼이 아니라 동성애에 대한 이야기니, 답보라고 보이네요.
저기서 동성혼 합법화 하겠다 라고 했으면 확실히 퇴보긴할텐데...
17/04/26 00:03
수정 아이콘
이회창 얘기하는 글에 왜 관련글댓글화 얘기가 나오나요..
스타듀밸리
17/04/26 00:04
수정 아이콘
이회창 얘기가 아니라 동성애 찬반 얘기니까요
누네띠네
17/04/26 00:04
수정 아이콘
아래에 같은 내용 글이 있으니까요.
키리하
17/04/26 00:05
수정 아이콘
관련글 댓글화인게 3114번글에 이미 이회창 이야기가 있어요.
17/04/26 00:07
수정 아이콘
이회창 관련글은 못봤습니다 있었네요
키리하
17/04/26 00:10
수정 아이콘
네, 하도 글이 많이 올라오고하니 못보실 수도 있죠.
안녕히 주무세요.
트와이스 나연
17/04/26 00:05
수정 아이콘
동성애에 관한 글이잖아요 이거도 결국 그럼 관련글 댓글화에 지켜야되는거죠
17/04/26 00:08
수정 아이콘
동성애라도 다른관점의 글이라 상관없다 생각했습니다 그런데 이회창후보관련글은 따로있었네요
어디로가야하오
17/04/26 00:04
수정 아이콘
당시에 총풍도 하고 차떼기도 했던걸로 기억하는데 이게 이렇게 포장이 되네요.
이사무
17/04/26 00:06
수정 아이콘
반대로 얘기하면, 총풍도 하고 차떼기도 했던 보수당의 대표인물 마저도 저런 발언을 했다는 거에 대한 얘긴 거죠.
어디로가야하오
17/04/26 00:10
수정 아이콘
단순히 동성애에 대한 인식이 좋다는 이유로 훌륭한 후보였단 식으로 표현되는게 아이러니해서 그런건데요.
뭐 그 문제가 세상에서 제일 중요하신 분들은 그렇게 생각할수도 있겠습니다.
Sid Meier
17/04/26 00:13
수정 아이콘
저런 평가는 사실 경쟁상대가 이명박 박근혜 홍준표라서 나오는 거 아닐까 싶습니다 -_-;;;;
서동북남
17/04/26 00:05
수정 아이콘
어우 동성애 얘기 나오니까 규정 무시하고 난리법석을 피우는게 꼭 말 안통하는 페미들 보는 기분이네요.
주저씨
17/04/26 00:12
수정 아이콘
관련글 댓글화 신고하고 기다리시면 될걸
댓글에 난리법석을 피우는게 꼭 말 안통하는 분들보는 기분이네오
17/04/26 00:07
수정 아이콘
어쩌면 이회창이기에 김대중 노무현이 가능했는지도 모르겠네요..
그쪽은 박근혜 홍준표같은것들이 수준에 딱 맞는듯..
사조비
17/04/26 00:07
수정 아이콘
늘 생각했지만 한나라당에서 어차피 대통령이 나올 거였다면 그나마 이회창이 나았어요.
정작 저쪽에서 제일 나은 사람은 한 번도 대통령을 못해보고 저쪽에서 나오는 대통령이라고는 MB에 503호...
뜨와에므와
17/04/26 00:11
수정 아이콘
이회창이 됐으면 MB랑 박근혜도 또 됐죠.

애초에 MB 피선거권 박탈 당한거 김대중이랑 딜해서 사면시켜준게 이회창인데
사조비
17/04/26 00:13
수정 아이콘
노무현 김대중을 대신해서 당선된다고 생각하면 그렇긴 하네요.
저는 어차피 한나라당이 무조건 이길 선거였던 2007년때 차라리 이회창이 한나라당에서 나왔다면...이라는 생각이었습니다.
17/04/26 00:10
수정 아이콘
똑같은 질문을 문에게 하면 똑같은 대답을 할겁니다.
동성애와 동성혼은 아직까진 다른 문제라서요.
17/04/26 00:10
수정 아이콘
인간 본질에 대한 물음에 가까운 동성"애"에 대한 질문이 아니고 국가제도와 관련된 동성"혼"에 대한 질문이니 대중들의 눈높이에 안맞출수가 없는겁니다.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당장 내일 국가에서 동성혼을 허용한다고 하더라도 기독교측에서 말하는것처럼 에이즈가 창궐하고 동성커플로 인한 윤리파괴,
사회대혼란은 일어나지 않을거라 확신하지만 많은 퀴어 축제등에 대한 대중들으 인식을 봤을때 사회적 갈등이 일어날것이라는건 확신할 수있습니다.
이런 차별요소로 볼수있는 일들에 대해 불만인분들도 있겠지만 최대한 사회비용을 줄이는 차원에서 천천히 한발씩 나가는 것이 더 나을것이라는게 제 생각입니다.
17/04/26 00:14
수정 아이콘
그 시절에 무려 보수당의 대표주자격인 인물에게서 나온 대답이라고는 상상하기 힘들만큼 진보적이네요.
의외군요.
sege2014
17/04/26 02:19
수정 아이콘
동성애를 굳이 합법화 할이유는 없다고 봅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3134 [일반] JTBC 토론회 발언들 "팩트체크" 요약 [44] 파란무테10260 17/04/26 10260
3133 [일반] 문재인 후보 최대 난관은 선관위 2차 토론회인 것 같습니다. [33] Neanderthal6332 17/04/26 6332
3132 [일반] 문재인 후보 지지자로서 아쉽네요 [75] Jun9119265 17/04/26 9265
3131 [일반] 문재인 쏘렌토 드립 AS 국민의당 논평 + 박지원 트윗 [18] z232517928 17/04/26 7928
3130 [일반] 대체 누가 안철수 후보에게 학제개편을 건의했을까요? [67] EndLEss_MAy8060 17/04/26 8060
3129 [일반] 허핑턴포스트 : 아싸 특종이다 [104] galaxy10871 17/04/26 10871
3128 [일반] 홍준표 진짜 대단하네요. [128] 피나12081 17/04/26 12081
3127 [일반] 완벽한 사람은 없습니다. [39] 하루波瑠5231 17/04/26 5231
3126 [일반] 오늘도 약점을 극복 못한 안철수 [10] giants4859 17/04/26 4859
3125 [일반] 각 후보들에 대한 매우 주관적인 한줄평 [13] 물만난고기4557 17/04/26 4557
3124 [일반] 이번 토론 표심에 큰 영향이 있을까요? [21] Neanderthal3885 17/04/26 3885
3123 [일반] [대선 4차 TV토론] 전문기자 평가 "유승민 A 안철수 B+ 심상정 B 문재인·홍준표 C" [55] 아라가키유이6619 17/04/26 6619
3122 [일반] 명확히 해명되지 못한 안철수의 "15개월" [7] 아라가키4050 17/04/26 4050
3121 [일반] 참으로 재미 없는 대선토론회? [19] 아싸리리이3129 17/04/26 3129
3119 [일반] 2002년 한나라당 이회창후보 동성애는 사적인 문제 [57] 안다나 5119 17/04/25 5119
3115 [일반] 문후보는 폭탄 투하를 정말 잘하는군요(후보 단일화 관련) [66] 틀림과 다름8449 17/04/25 8449
3114 [일반] 20년 전 대선의 동성애에 관한 인터뷰 [70] 루트에리노4812 17/04/25 4812
3113 [일반] 문재인 후보의 동성애에 대한 인식은 유감입니다 [165] Chandler7373 17/04/25 7373
3112 [일반] 문재인 후보는 좀 쉬어야겠네요.+안철수 후보 최고의 토론 [43] 아라가키유이8630 17/04/25 8630
3111 [일반] 아직 토론 끝나지 않았지만 나름 총평 - 토론 끝나고 수정 [29] aurelius4510 17/04/25 4510
3110 [일반] 신연희 20억대 횡령·배임 혐의 수사 [3] 주자유3116 17/04/25 3116
3109 [일반] 유승민씨는 대체 왜저럽니까? [22] 아점화한틱7313 17/04/25 7313
3108 [일반] MBN 여론조사 문 40.3 안 29.6 홍 9.7 심 4.7 유 3.4 [17] 길갈4948 17/04/25 4948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