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이전 질문 게시판은 새 글 쓰기를 막았습니다. [질문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Date 2005/02/05 13:44:53
Name 쩡~*
Subject 스갤에서 이글을 봤는데요...
원출처가 pgr이라고 하더군요...

원글을 보고 싶어서 그러는데 전략 게시판에 드론중독증으로 검색해도 안나와서

문의 드립니다..

이하 퍼온글입니다

안녕하세요. gui입니다.

        아직 초보 저그라서 변변한 오리지날 전략같은 것을 만들지 못했지만, 저보다도 못하는 저그 유저분께(특히 저처럼 드론 중독증 걸려서 생각없이 드론만 뽑다가 미네랄 6000 남기고 gg 치시는 분들) 도움도 드리고, 저보다 뛰어난 유저분께는 조언도 좀 듣고자 이런 글을 쓰게 되었습니다.

        이건 전략이라기 보다는 각종 전략을 수행하기 위한 수치화된 데이타들입니다. 제 성격이 원래 감각으로 싸우지 않고 나와 상대 빌드의 이론적인(?) 한계를 알아두고 그것을 이용하여 싸우는 것을 좋아하기 때문에 이런 데이타를 뽑게 되었습니다. 이 글에 대한 반응이 괜찮다면, 향후 프로토스전에 대해서도 같은 자료를 올려 보도록 하겠습니다.

1. 각종 작전 수행에 필요한 드론 수

        저그의 기본은 당연히 드론입니다. 5드론 러시를 위해서는 최소한 본진에 4마리의 드론이 있어야 지속적인 저글링을 생산할 수 있고, 4해처리 히드라 러시를 위해서는 30마리의 드론이 있어야 하죠. 반면에 부자저그 흉내낸다고 테란 상대로 성큰 6개 깔고 드론 35마리 뽑으면 시즈조이기에 그냥 xx당하기 일쑤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저그는 자신이 만들어내려는 체제를 염두에 두고 그에 필요한 적정 드론수만 뽑은 후에는 전투 유닛을 지속적으로 생산해서 첫 전투를 치르는 것이 가장 타이밍상 빠르고 강력합니다.

        아래에 대 테란전에서 저그가 사용하게 되는 일반적인 전략에 필요한 드론 수를 정리해보았습니다.

* 2해처리 온니 뮤탈
        <2가스 * 3마리 + 양쪽에 미네랄 14마리 = 20마리>

        2해처리에서 계속 뮤탈만 뽑아내기 위한 최소한의 드론 수입니다. 가스의 채취 속도는 미네랄보다 빠르기 때문에, 3마리가 얻어오는 가스가 7마리가 얻어오는 미네랄에 상당합니다. 또한 뮤탈을 뽑기위한 오버로드를 감안하면, 저 숫자가 최소의 숫자가 됩니다. 그렇다면 드론이 21마리라면 어떻게 될까요? 조금씩 미네랄이 쌓여서 뮤탈로 싸우는 도중에 미네랄이 300 원이 모입니다. 그것으로 제2멀티를 하거나 본진 3햇을 건설할 수 있게 됩니다. 하지만, 여기서 중요한 것은, 드론이 21마리가 아니라 210마리라고 해도 2해처리에서 온니 뮤탈을 뽑고나면 라바가 남아있지 않다는 것입니다. 즉, 2해처리고 뮤탈 빌드를 탈거라면 드론이 최대 22~23마리정도면 충분하지 그 이상의 드론을 뽑는 행위는 괜히 돈만 쌓이면서 병력싸움에서는 밀리는 결과를 낳게 된다는 뜻입니다. 실제로 드론에 욕심을 내다보면 스파이어 완성 시점에 돈 180, 가스 760 같은 상황이 자주 발생하고, 이건 전형적인 부자이나 전투에 지는 상황이죠. (제가 자주 그렇게 합니다. ㅠ.ㅠ)

팁 : 레어업 후 스파이어를 짓고 나서 미네랄과 가스가 비슷하게 남아있다면 제2가스를 건설합니다. 가스가 많고 미네랄이 부족하다면, 위 상황이 될 때까지 가스는 건설하지 않습니다. 그래야 스파이어 완성 시점에 미네랄과 가스가 비슷하게 확보됩니다. 이유는 지속적인 드론 생산과 성큰 건설로 미네랄이 많이 소비되기 때문입니다.

* 2해처리 저글링 러커
        <2가스 * 3마리 + 양쪽에 미네랄 16마리 = 22마리>

        위와 같은 상황입니다만, 러커는 뮤탈보다 비쌉니다. 따라서 2가스로 2해처리에서 온니 러커를 생산할 수는 없습니다. 가스가 모자라기 때문이죠. 따라서 히드라를 뽑지 못하는 라바에서는 저글링을 생산할 수밖에 없습니다. 러커를 만들기 위해 라바를 아낀다? 그래봤자 자원이 없기 때문에 러커는 나오지 않습니다. 러커를 만들기 위해 히드라를 일단 뽑아둔다? 없는 가스에 괜히 히드라 5마리를 뽑아두면 그것은 결국 러커가 하나 없다는 것과 같은 상황입니다. 4러커 + 노발업히드라 5마리보다 발업저글링 10마리 + 러커 5마리가 더 유용한 것은 말씀드릴 필요도 없겠지요. 따라서 주어진 라바는 러커 + 저글링을 만들기 위해 사용합니다. 이 경우 저글링이 워낙에 싸기 때문에, 2해처리 저글링 러커는 2해처리 온니 뮤탈과 거의 같은 드론수로 생산이 가능합니다.

* 3해처리 뮤탈 저글링
        <2가스 * 3마리 + 양쪽에 미네랄 18마리 = 24마리>

        뮤탈 저글링은 기본적으로 3해처리에서 생산하는 것이 맞습니다. 왜냐하면, 2가스로 해처리 2개에서 온니 뮤탈을 노는 라바 없이 생산이 가능하므로, 추가 저글링을 그 해처리에서 뽑을 여유는 없기 때문입니다. 만약 그렇게 한다면 6뮤탈뽑을 라바로 5뮤탈 + 2저글링이 되겠죠 ㅠ.ㅠ. 그러므로 뮤탈 저글링으로 초반 화력전을 생각한다면, 애초에 약간 부자빌드를 타서 아무리 늦어도 레어 1/3 건설 쯤에는 3번째 해처리가 시작되어야 합니다. 그러고 나면 뒤는 간단합니다. 1개의 해처리에서 저글링을 끊임없이 생산하기 위해서는 4마리의 드론이 필요하니까, 2해처리 뮤탈에 필요한 20마리와 더해서 24마리의 드론이 필요합니다.

2. 성큰 및 저글링 발업 타이밍

        성큰 도배했더니 시즈조이기더라.. 2바락인줄 알고 3성큰 6저글링 만들었더니 3바락 불꽃이더라.. 해서 힘도 못써보고 지는 경기가 많습니다. 이런 저주받을 일들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테란의 진출 타이밍을 외워놓는 것이 좋습니다. 그렇다고 4분 25초에 나오면 12마린 4메딕이다.. 이렇게 할 필요는 없고, 자신의 빌드 타임에 비추어 상대의 마린 진출 타이밍을 판단하는 거죠. 간단한 예로, 12드론에 앞마당 뛰면서 드론 정찰 갔더니 내 스포닝 박기 전인데 바락이 완성되어 있더라.. 이건 8바락입니다. 벙커 짓게 놔두고 최후 순간에 앞마당 취소하는 것이 좋습니다. 드론 컨트롤에 자신이 있다면 드론으로도 막겠지만요. 마찬가지 방법을 테란의 전형적인 러시에 맞춰 생각하자는 것이 제 글의 취지입니다.

* 2해처리 vs 2바락
        <레어 건설 4/5 정도 타이밍 혹은 레어 완성 직후 크립 건설.> (당연히! 크립만 지으면 됩니다. 성큰은 마린 출발 보고 찍어도 늦지 않습니다. )

        2해처리 빠른 레어일 경우, 테란의 일반 마메 러시 타이밍은 우리 레어 건설이 끝난 후입니다. 따라서 드론 정찰로 2바락을 확인했을 경우에는 괜히 성큰 여러개 미리 박지 말고, 1개만 박아둡니다. 이후 저정도 타이밍에 크립을 건설한다면 전형적인 2바락 마메 러시 도착 타이밍에는 성큰을 가지고 있게 됩니다. 그 전에 오는 치즈러시는 확인 시점에 저글링을 좀 생산해서 1성큰 + 저글링으로 막으면 됩니다. (사실 이런건 환영입니다) 그런데.. 저 시점에 러시가 나오지 않는다면? 그럼 2바락 이후 멀티이거나 3바락, 혹은 2바락을 위장한 3센티 드랍이겠죠. 이런 것들은 오버로드와 저글링으로 적절히 판단하여 대처하면 됩니다. 일반적으로 3바락은 2해처리 저글링 러커로 무난히 막는는 빌드이니 걱정할 필요 없구요, 문제가 되는건 2바락 후 멀티인데.. 이건 테란 앞마당 언덕 오버로드로 미리미리 판단해서 삼지안 드랍이나 첫 4러커로 강력한 푸시를 해줘야 겠죠.

* 3해처리 vs 2바락
        <레어 건설 1/2 정도 타이밍 혹은 2/3 정도 타이밍>

        3해처리는 부자인 반면 레어 타이밍이 약간 늦죠. 따라서 레어 완성 후 성큰을 지으면 늦습니다. 따라서 성큰 건설 타이밍을 약간 앞당겨(테란 입장에서는 같은거죠) 짓습니다.

* 2해처리 vs 1바락
        <레어 건설 직후 발업>

        1바락이라면 크게 시즈조이기, 업마린, 2스타레이스, 언덕탱크, 마메드랍이 있겠네요. 1바락 시즈조이기는 처음 나오는 8마린을 마메로 착각하지만 않으면 절대 당하지 않는 작전이구요, 업마린은 전략이라기 보다는 플레이 스타일이니 다루기 힘드네요. 나머지 3개의 전략은 드론으로 1바락 확인 할 경우, 오버로드 하나 살신성인해서 판단해야 합니다. 2스타 레이스는 히드라 2마리나 스포어 콜로니 건설로 막고요(레이스 도착 후 지으면 상당한 피해를 막을 수 없습니다. 오버 정찰 필수.) 언덕탱크는 2해처리 뮤탈이었다면 환영이겠지만 2해처리 저글링 러커는 확인 시점에서 바로 드랍 업그레이드하고 성큰 + 언덕아래 러커로 시간끌던지, 아예 그 멀티 포기하고 스타팅 먹어야 합니다. 제가 개인적으로 연구한 작전은 마메드랍입니다만, 빠른 1바락 마메드랍은 뮤탈 뜨기 전에 떨어집니다. 이것을 무난히 막기 위해서는 뮤탈보다는 발업 저글링이 좋습니다. 레어 건설 직후에 스파이어 + 발업찍고 적당히 저글링 10마리 정도 만들어두면 드랍십 도착하기 전에 발업 저글링 확보할 수있구요, 드랍십 쫓아다니면 마린 못내립니다. 이걸로 충분한거죠. 금방 뮤탈이 뜰거고, 병력없는 테란은 이후 저그의 개멀티를 저지하지 못합니다.

* 3해처리 vs 1바락
        <레어 건설 2/3 정도 타이밍 발업>

        이건 위와 같은 컨셉이구요.

3. 드론 및 히드라 빼돌리기

* 레어 건설 1/3 정도에 히드라 덴 건설 후 완성되면 바로 히드라 2마리 생산

        대체로 히드라 덴은 레어 건설 1/2 시점에 만듭니다만, 전 조금 빨리 짓는 편입니다. 그 이유는 테란의 조이기에 대응하기 위해서구요, 위에 적은대로 히드라덴 완성 직후 바로 히드라 2마리를 찍어서 본진 바깥으로 빼놓으면 적어도 본전, 조이기가 들어오면 빈집털이용으로 아주 유용합니다.

4. 제2 멀티 건설 후 적정 드론 수

        * 본진에 추가 드론 생산하여 미네랄 채취하며 멀티에는 가스에 3마리 + 미네랄에 3마리 정도만.

        제2멀티가 건설되면 다수의 드론을 그쪽으로 보내는 유저분들이 많던데.. 제 생각에는 좋지 않습니다. 드론이 사방에 모두 북적대면 기분이야 좋겠지만, 테란의 다방면 드랍십 공격을 막기가 정말 힘들기 때문입니다. 제 생각에는 본진과 앞마당에만 드론을 대량생산해서 30마리정도 뽑고, 이후 추가 멀티에는 드론 6마리정도만 뽑아서 가스와 소수 미네랄만 채취하는 것이 테란의 드랍십 공격에 대한 피해를 최소화하는 방법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추가 멀티를 먹었다면, 그 멀티에서 얻는 자원으로 또 하나의 해처리를 돌릴 수 있을 때가 많습니다. 그러므로 노는 라바가 없는데 돈이 쌓인다면, 무리해서 또 멀티를 먹지 말고(어차피 돈은 남죠) 본진에 추가의 해처리를 건설해서 유닛 공장으로 활용하는 것이 무난합니다.


5. 마치며.

        나름대로 열심히 작성해보았습니다만 만족스럽지는 못하군요. 어제 밤에 작성해 놓은 것을 지금 올리는 건데.. 글이 허접해서 포기하려다가 그래도 아까워서 올립니다. 저처럼 드론 중독증에 걸려서 쌓인 미네랄 6000 원 써보지도 못하고 gg 치는 분들께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출처는 스갤입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05/02/05 23:34
수정 아이콘
답변 감사드립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6747 삼국지 10 말입니다........ [9] 잃어버린기억2510 05/02/06 2510
6746 MSL 승자조 어드벤테이지는 무엇인가요? [3] 김C1824 05/02/06 1824
6745 그림파일 사이즈 조절하는 방법?? [2] NeverStop1496 05/02/06 1496
6744 스타크. 아이디 리셋? [2] 나비효과1765 05/02/06 1765
6743 저그 드랍의도 예측 드랍막는 팁좀... [21] 난나무가될꺼3144 05/02/06 3144
6741 프로게이머 유니폼에 관하여... [7] 김준용2431 05/02/06 2431
6740 [프테전]테란의 2팩 벌처 탱크 마린 러쉬를 막는 방법은? [3] 영웅의재림1899 05/02/06 1899
6738 설 연휴기간 WEG W3 중계방송시간은 어떻게 됩니까? [2] hoho9na1896 05/02/06 1896
6731 KTF멀티메일에 관해 질문드립니다. [5] 컨트롤황제2127 05/02/05 2127
6730 내일 MSL 결승전에 관한 질문인데요... [1] grand20011831 05/02/05 1831
6728 음협 저작권법에 대한 질문입니다 [3] ekzmthdnf1528 05/02/05 1528
6727 진학이냐 취업이냐 [4] 테란의횡제1438 05/02/05 1438
6726 스타하면서 윈엠프가 안되는 현상에 대해... [3] 양정민1597 05/02/05 1597
6725 옛날에 온겜에서 테테전할때무승부 된거요... [5] 깜밥두개2156 05/02/05 2156
6724 (도와주세요)배틀넷이 갑자기 안됩니다... [4] Graceful_Iris1894 05/02/05 1894
6723 이런 종류의 만화는 또 어떤것이 있을까요 [9] wannajam1454 05/02/05 1454
6722 스갤에서 이글을 봤는데요... [2] 쩡~*1559 05/02/05 1559
6721 컴퓨터 두대로 인터넷이 됩니다 범죄입니까? [15] jl24791775 05/02/05 1775
6720 프로리그 그랜드 파이날 말인데요.. [2] 안나1717 05/02/05 1717
6719 스타 할때 3명이상이서 하면 렉이 생깁니다. [1] 클레오빡돌아2119 05/02/05 2119
6718 대학교 복수전공에 대해서 [2] Bless1719 05/02/05 1719
6717 [스타]us east서버에서 고수들 자주가는 채널 또는 길드채널좀 갈쳐주심 감사요 [2] 이은호2226 05/02/05 2226
6716 재수하는데여...;; [3] 부루1532 05/02/05 1532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