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이전 질문 게시판은 새 글 쓰기를 막았습니다. [질문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Date 2005/01/26 22:13:09
Name Bless
Subject 대 저그전 메카닉에 대 해서 고수님들 답변부탁요

안녕하세요 일단 본론으로 저의 형은 요즘들어 대 저그전으로는 메카닉이

제일 좋다는 말을 하고있는데요,

전 그 정반대입니다. 메카닉은 바이오닉처럼 계속 쓸수도 없고 위험성도 강하다고

생각합니다. 근데 반박을 못하겠더군요.

혹시 고수님들이 대저그전 메카닉의 취약점을 말해주신다면 감사하겠습니다.

물론 맵은 로템이구요

많은 도움 바랍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지수냥~♬
05/01/26 22:18
수정 아이콘
1.기동성의 부재
2.가스부족으로 인한 베슬생산 불가
3.소모전 들어갔을때 마.메처럼 치료하기가 쉽지 않음
4.상대가 막멀티일때 견제수단이 벌쳐로 정해져 있음

이정도 ㅇㅅㅇ?
맞고치는아콘
05/01/26 22:30
수정 아이콘
로템기준으로
메카닉테란이 초반에 저그한테 어느정도의 타격을 주지 못하면 힘듭니다. 제 친구 녀석도 테란이 메카닉으로 가면 99% 이상 질수가 없다고, 쌩큐라고 외칩니다. 기동성도 떨어지고, 은근히 화력이 제값을 못하죠. 그리고 가스의 압박이 엄청 심합니다. 앞마당을 먹고 나서 본진 자원이 떨어질때쯤 또 다른 가스멀티를 먹어야 하는데, 메카닉 유닛의 느린 기동성으로는 타 스타팅에 멀티 먹기가 너무 힘듭니다. 시간이 가면 갈수록 힘들어지죠.그리고 그 수많은 유닛들을 다 수리하는거 자체도 불가능하고요.
05/01/26 22:40
수정 아이콘
메카닉 조합 즉 골리앗+탱크 조합은 대 저그전 화력이 생각 이상으로 세다고 생각합니다. 탱크가 8대가 넘어가는 순간부터 히드라가 배수이상으로 많지 않은 이상 저그가 이기기 힘들죠 테란이 진영만 제대로 즉 골리앗이 앞에서 치고 빠지고 탱크가 뒤에서 지원사격해주는.. 이런식으로 싸우면 테란이 굉장히 막강한 화력을 자랑합니다. 그리고 메카닉 유닛은 그렇게 느린 기동성을 가지고 있지 않습니다. 어차피 마린메딕은 스팀팩을 먹고달려야 빠른것이고 스팀팩을 안쓰면 스피드가 메카닉유닛과 비슷하죠 그리고 타 스타팅에 멀티를 먹기 위해선 요즘 이윤열 선수가 쓰는 중앙을 넓게 장악하는 식으로 하면 멀티가 가능합니다. 그렇게 하면 저그가 폭탄드랍을 하는 경로도 단조로워지므로 일석이조라고 할수 있죠. 그리고 베슬은 별 필요가 없다고 봅니다. 물론 있으면 좋지만 스캔2개로도 잘만 아끼면 전투시에 충분히 다 쓸수 있습니다.
05/01/26 22:42
수정 아이콘
물론 저그가 물량이 매우 뛰어나다거나 견제에 매우 능해서 테란에 제 힘을 못쓰게 한다면 상황은 달라질 수있겠죠. 이건 비슷한 실력을 가진 테란저그 유저라는 전제를 깔고 생각한 것 입니다.
안티테란
05/01/26 22:50
수정 아이콘
그런데 메카닉 테란상대로는 그냥 온니 히드라만 뽑아도 쉽게 제압이 가능합니다. 저글링은 골리앗 때문에 도움이 전혀 안되구요. 러커도 거의 무용지물이죠. 그냥 온니 히드라로 뽑 병력 생산 해주면 자원량에서나 뽑는 타이밍에서나 히드라의 수가 2배 이상으로 압도하게 됩니다. 중앙 운동장에서 잘 싸먹어만 주면 어렵지 않죠. 디파일러로 히드라 위에 다크스웜 뿌려주면 상대의 화력을 크게 감소시켜 줄 수 있구요.
안티테란
05/01/26 22:55
수정 아이콘
그리고 기동성은 로템에서는 꽤나 중요한 요소로 작용합니다. 저그와의 전투에서는 한 타이밍에 밀지 못하면 결국 타 스타팅을 먹어야 하게 마련인데 여기서 멀티와 본진 두곳을 방어하기가 무척 어렵죠. 꼭 드랍이 아니더라도 상관없습니다. 테란이 저그나 프로토스에 비해 멀티 먹기 어려운 이유 중 가장 중요한 이유입니다. 폭탄 드랍을 하는 경로가 단조로울 수는 있지만 단조롭다 하더라도 방어하러 가기가 까다롭죠. (드랍쉽이나 발키리의 보조가 이럴 때 쯤 필요하게 되는 데.... 발키리 다수가 생산된 경우 섬멀티가 크게 안정화 됩니다. 양섬 먹으면 얼마든지 저그와 물량전이 가능하죠)
또한 소수일때의 효용성에서도 문제가 발생합니다. 바이오닉 유닛의 경우 콘트롤에 따라, 벙커나 베슬의 도움에 따라 정말 엄청난 효과를 발휘하며 드랍 방어도 추가병력만으로 쉽게 가능한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메카닉 유닛은 생산 속도도 느릴 뿐더러 골리앗이나 탱크 소수는 바이오닉 소수만큼의 효과를 볼 수가 없습니다.
Return Of The Panic
05/01/26 23:00
수정 아이콘
1. 골리앗으로 갔을 경우 저글링 뮤탈 때문에 진출하기 힘들 가능성

2. 저그가 메카닉 상대로는 가스 멀티말고 미네랄 멀티만 먹어도 힘이 세질 수 있다는 점 ( 히드라, 저글링 )

3. 뮤탈이 껄끄러워 제압할 정도의 발키리가 생산됐을 때 나오는 히드라한테는 발키리가 말짱 헛게 된다는 점.

4. 결정적으로, 후반에 가서 디파일러 + 러커 조합에게 도저히 이길 수가 없습니다. -.-;; 베슬이 없기 때문이죠... 디파일러 + 저글링 같은 건 탱크 스플래쉬로 어떻게 해보겠는데 이미 버로우 한 러커 한텐 먹히지도 않고.. 때문에 그 전에 끝내야죠.. 물론 탱크가 엄청 많거나 벌쳐 마인을 활용할 수 있거나 하면 이길 수 있기는 하지만, 그건 저그가 이미 자원싸움에서 진 경우이므로 논외로 하겠습니다.

물론 테란이 초반에 벌쳐로 피해를 많이 줬다거나, 앞마당 멀티를 안정적으로 먹어서 2 가스를 무난히 돌릴 수 있다면 메카닉도 충분히 강력 할 수 있습니다.
Return Of The Panic
05/01/26 23:03
수정 아이콘
메카닉 상대로 저그가 무조건 히드라 무조건 뮤탈 저글링 이런 발상은 좋지 않다고 생각됩니다. 상대 테란이 빤히 예상할 경우 충분히 그에 맞는 병력으로 서포트를 해줄 수가 있거든요... 테란이 메카닉 간다고 무조건 골리앗만 주구장창 뽑는것도 아니고 말이죠...
05/01/26 23:28
수정 아이콘
옳으신 말씀들이십니다. 역시나 결론은 잘하는사람이 이기는 겁니다 ㅡㅡ;
We are X
05/01/26 23:37
수정 아이콘
Return Of The Panic// 그런데 저그 상대로 막상 메카닉 해보면 뽑아줄게 별로 없죠. 레이스도 어느정도에선 한계가 드러나고, 벌쳐는 초반에만 빼고 할일이 없죠[게릴라는 성큰에 막히니.].
안용진
05/01/27 00:36
수정 아이콘
흠 위에분들이 너무 잘 열거해주셔서 ^^ 메카닉을 모를경우 저그분들께서 당황하셔서 오히려 잘 풀수있습니다 . 하지만 알경우 일반 바이오닉보다 훨씬더 상대하기 쉽다는거죠 .
05/01/27 02:12
수정 아이콘
다들 잘 써주셨네요^^;

한가지 빠진거 같은데, 엘리전에서도 불리하죠. 가스를 원체 많이먹다보니 베슬을 생산하기 어렵고 실제로 베슬을 생산해도 실질적으로 디텍팅정도의 효과밖에 보지 못하기 때문에 엘리전 들어갔다가 컴셋 다날아가면 러커때문에 지는경우도 많죠. 최근의 방송경기에서도 많이 나타난 부분이고 한때 메카닉으로 저그를 상대해본 제 경험으로도 그렇네요...
김승남
05/01/27 02:58
수정 아이콘
초반 벌쳐로 많은 피해를 주지 못하면 불리해지기 쉽습니다
일단 기본적으로 뮤탈에 타이밍을 빼앗길 가능성이 많습니다.
골리앗으로 저그의 뮤탈 저글링을 상대하기가 만만치 않은데.. 뮤탈의 본진 게릴라까지 생각해서 유닛을 조금 남겨두다가는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게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어느정도 방어를 해놓고 나가면 뮤탈저글링에 잡혀먹는 경우도 많구요. 그렇게 한 두 타이밍을 빼앗기거나 유닛을 잡아먹히면 그 다음에는 저그도 할거 다 할 수 있는 체제가 되어버립니다.

메카닉유닛은 기본적으로 마메보다 속도는 빠릅니다.
그러나 소수로 나누어 게릴라를 해주기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벌쳐제외) 골리앗이나 탱크는 절대로 병력을 나누었다가 각개격파를 당하게 되면 안됩니다. 그러나 마메는 드랍쉽을 활용할수도 있고 어느정도 성과만 있다면 죽어도 되는 유닛입니다. 이런점에서 메카닉 유닛은 속도는 더 빠르지만 기동성을 이용하기에 적합하지 않은 유닛입니다.
달빛의꿈
05/01/27 09:25
수정 아이콘
저글링+뮤탈 이 최고 아닌가요
05/01/27 09:46
수정 아이콘
테란이 투가스를 안정적으로 돌리면 그건 엄청나게 강력합니다.
위엣분들은 지나치게 초중반과 후반에 국한된 설명을 해주시는 듯 합니다. 메카닉이 가장 강력한 때는 중반입니다. 제 스타일로는 벌쳐로 게릴라를 하면서 앞마당을 일찍 가져갑니다. 투가스가 제대로 돌아가면 5팩토리를 무리없이 돌릴수 있습니다. 그렇게 골리앗 약 1부대조금넘고
탱크가 약 5대정도 되었을때 러시타이밍이 나옵니다.(벌쳐로 어느정도 견제가 성공했을때) 그걸로 밀어도 되고요 저그가 물량이 예상외로 많다 싶으면 지키면서 미네랄멀티에 멀티를 먹으면서 다시 모아 싸움이 가능합니다. 분명히 골리앗이 앞서 탱크가 뒤에서 지원포격해주는 형태의
싸움은 엄청난 화력을 자랑합니다. 온리 히드라로는 거의 세배정도의 물량을 자랑하지 않는 한 힘듭니다. 메카닉테란의 최강타이밍은 바로 중반입니다. 후반가면 디파일러 나오면 힘듭니다. 물론 바이오닉도 상대하기 쉬운건 아니지만 베슬이 없거나 적은 메카닉테란으로는 힘들죠/ 초반
에 골리앗 많이 모으면서 플레이하는 테란은 저그가 히드라를 다수 모으거나 뮤탈저글링을 다수 조합해서 치는 플레이에 약합니다. 포인트는 투가스를 확보하는 것입니다. 온겜넷 엄재경 해설위원이 항상 말하듯이 본진메카닉은 저그한테 밥입니다
05/01/27 09:49
수정 아이콘
어떻게 해서든 투가스를 확보하는게 중요한 메카닉 테란이죠. 그래서 벌쳐게릴라를 잘해주어야 하는 겁니다. 벌쳐는 여차하면 성큰 통과해서 본진 언덕 올라가는 수가 있고요 저그고수분들은 드론이나 저글링으로 언덕을 막는수가 있는데요 벌쳐가 다수면 4기이하의 유닛으로 막은 입구는 강제어택해주면 뚫립니다. 그리고 결국 안뚫린다 싶으면 앞마당 드론을 강제어택하는것도 아주 좋습니다. 보통 메카닉 상대로는 저그가 성큰을 2개이상 잘 깔지 않습니다. 그리고 또 레이스한기를 뽑아서 오버로드와 드론을 몇기잡아주면 금상첨화죠. 이러면서 앞마당을 가져가면 거의 필승분위기로 가는겁니다.
05/01/27 09:51
수정 아이콘
앞마당이 돌아가기 시작하면 드론과 오버로드 피해를 입은 저그로서는 이기기 힘든 상황에 들어가는 것이죠. 테란은 그럼 맘편하게 물량 모아서 러시타이밍을 만들거나 또는 멀티를 하나 더 가져가는 방식의 플레이도 가능합니다.
05/01/27 09:54
수정 아이콘
또 전술적 플레이의 팁을 하나 드리자면 시즈탱크는 뒤에서 시즈모드 해놓고 골리앗은 앞서면 히드라들이 주루룩 공격하러 앞으로나섭니다(물론 저그분들이 아; 이거 함정이다 해서 컨트롤해주는 경우도 있죠) 그럼 골리앗은 툭치고 뒤로 쭉 빠지면 탱크가 포격을 펑펑 해줍니다. 그럼 그때 골리앗을 다시 어택땅을 해주는겁니다. 정말 히드라가 녹는다라는 느낌을 받을수 있습니다.
05/01/27 18:56
수정 아이콘
Bless님//도대체 무슨 말씀 하시는건지 앞뒤 말이 전혀 안맞네요. 글 쓰신 내용은 메카닉의 취약점을 알려달라고 하셨으면 댓글은 왠 자신이 메카닉을 사용할 때 tip을 논하고 계시네요 --;;
05/01/27 20:50
수정 아이콘
아 죄송합니다-_- 글은 제가 올렸고 리플은 저의 형이 올렸습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6608 이 음악의 제목을 아시는분 답변부탁해요 [2] sherry1951 05/01/28 1951
6604 공공의적2.. 말아톤.. [5] keke1618 05/01/28 1618
6603 핸드폰 단말기에 대한 비교 질문입니다... [7] DisCuss1536 05/01/28 1536
6602 테란vs저그 힘싸움할때요 [6] 기는탱크위에1676 05/01/28 1676
6601 안녕하세요.^^;;지금 진행되고 있는 프로리그에 대해 궁금한점이 있어서 질문을 올립니다.^^ [3] 너구리⌒⌒..1765 05/01/28 1765
6599 요번에 제주관광대 카지노과를 가게됐습니다.. [1] BluenOte1804 05/01/28 1804
6598 mp3플레이어를 구입하려 합니다... [5] 휘발유1870 05/01/28 1870
6597 요즘 잘나가는 그래픽카드로 모가있죠? [10] 묵향지기1924 05/01/27 1924
6596 프프전 입구 막을때.. [5] 영웅의재림1880 05/01/27 1880
6594 스타하고 나서 한글이 안써질때 [2] 지바고1572 05/01/27 1572
6593 애리조나 맵에 대하여... [4] 김준용2118 05/01/27 2118
6592 펭귄과 BWchart 에 관해 질문 드립니다. [3] 컨트롤황제1552 05/01/27 1552
6591 제발부탁드립니다 ㅠㅠ (네오겜아이 & pgtour ) [1] 밥달라고꿀꿀1810 05/01/27 1810
6590 플겜어 연봉 순위는 어케 되여? [7] 윤영식1861 05/01/27 1861
6589 프로게이머들 출연료가 얼마나 되나요?? [7] Spend2311 05/01/27 2311
6588 글 쓸때 사진올리는 방법좀.. [1] 박서야힘내라1541 05/01/27 1541
6587 저 아이옵스 스타리그에서 쓰이는 음악에 대한 질문인데요.. [7] 스타급센스1999 05/01/26 1999
6586 DVD Combo를 구입했는데.... [3] 나비효과1766 05/01/26 1766
6585 대 저그전 메카닉에 대 해서 고수님들 답변부탁요 [20] Bless1795 05/01/26 1795
6584 컴퓨터로 영화 보시는 분들 질문이요... [2] grand20011954 05/01/26 1954
6583 여행을 가는데.. [3] 마동왕1530 05/01/26 1530
6582 워크래프트 프로게이머 쇼타임선수에대해서. [3] 김준혁2459 05/01/26 2459
6581 이영화가 어떤영화인지 제목좀 알려주세요 [2] ダディドゥデ2153 05/01/26 2153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