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이전 질문 게시판은 새 글 쓰기를 막았습니다. [질문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09/07/03 21:25
1. 중학교 성적은 고등학교 때 전혀 의미 없습니다. 심지어 중학교 전교 1등이 고등학교 전교 최하위하는 경우도 봤습니다. 말그대로 꼴등이죠. 비평준화라면 충분히 가능한 일입니다. 제가 알기로 1학년 내신 비중이 낮아지거나 없어진다고 들은 것 같은데, 2학년부터 열심히 하시면 충분히 가능합니다. 재수 1년으로 역전하는 사람들도 있는데, 2년이나 남으셨는데 아직 포기하기는 너무! 이릅니다. 저 같은 경우에는 1년만에 인생역전한 케이스입니다.
제가 수학 전문인 관계로 수학에 대해서만 말씀드리면, 성적이 좋지 않으면 정석 보다는 쉬운 문제집인 쎈이나 개념원리로 문제 양을 늘려보세요. 어려운 문제에서 막히는지, 쉬운 문제에서 실수하는지를 파악하고 실수가 많다면 쉬운 문제집으로, 어려운 문제에서 막힌다면 정석으로 시작해서, 특작이나 한수위 아니면 4점 대비 등의 고난도 문제집에 도전하는 것이 좋다고 생각됩니다. 하지만 수학 1,2등급 나오지 않는 이상 어려운 문제집은 함부로 도전할 필요는 없는 것 같습니다. ps1. 비교과활동은 수상, 봉사, 특별활동을 말하는걸로 알고 있습니다. 대외상, 대내상.. (교장선생님이 주신 상, 교육감이나 더 나아가면 장관 or대통령상이 있겠죠) 또 봉사활동 몇시간 채우라는거 있죠? 그것과 또 이것저것 동아리나 학교에서 인정하는 특별한 활동들을 점수로 환산해주는 학교들이 있습니다. ps2. 서울대에서 수시 아닌 이상 내신 비중은 0로 수렴한다고 합니다. 내신이 10%, 20% 들어간다고 말해도 다 비중 낮추는 방법이 있습니다. 그것 때문에 실질 반영률이라는 지표를 통해서, 언론에서 대학들을 신나게 까대는 것이죠. 대학들은 내신을 보기 싫고, 학교나 교육부에서는 내신 반영률을 높이라고 하니 일어나는 현상이죠.
09/07/03 21:26
공부에 대한 조언은 제가 모르겠고.. 아직 1학년인데 공부 의지가 대단하시네요.
열심히 공부하시면 좋은 결과 있을거에요. 힘내세요^^
09/07/03 22:13
마인에달리는질럿님// 경우에 따라 다릅니다. 보통 본격적인 수능 준비는 2학년 2학기 이후에 시작하는 경우가 많은데, 꼭 그 때 시작하는게 아니라 자신이 내신에 비중을 둘 것인지 수능에 올인할 것인지 부터 정해야 합니다. 문과, 이과도 모르고 학교 수준이나 님의 상태를 정확히 모르니깐 제가 가지고 있는 정보가 너무 없어서 좋다 나쁘다를 말씀드릴 수가 없습니다. 혹시 자세한 내용 원하시면 모의고사 성적이나 여러 정보들 적어서 쪽지 주세요.
09/07/03 23:15
저도 고1인데 , 그래도 비평준에서 외고 다음으로 치는 학교 들어가셨으면 모의고사는 언외수는 거의 1등급 2개 , 2등급 1개 이상은 뜨시겠네요. 저 같은 경우는 거의 문제집을 풀지 않는데 도덕까지 문제집을 가지고 계시네요... 학교에서 사라고 한건가요?
음... 일단 그래도 수업시간은 최대한 안졸고, 필기는 다했는데... 라고 하셨는데 수업시간에 안 조는게 문제가 아니라 선생님 말씀을 얼마나 깊이있게 듣고 이해하느냐가 관건인 것 같구요. 필기를 다 해도 그 날 이해복습 안하면 어차피 누구나 다 하는 필기인데 성적에서 밀리는 건 당연한 것 같네요. 이러한 복습이나 수업시간의 고도의 집중까지 하고 계시다면 그냥 지금 이 시기에 공부가 안되시는 것 같네요. 조금씩 기분전환도 하시면서 쉬엄쉬엄 하시는게 훨씬 더 효율이 좋을 것 같습니다. 마음만 너무 앞서다보면 일을 그르치게 되니까요.
09/07/03 23:23
박보영♡님// 아... 아니에요... 본문에서와같이 뒤...라서요... 잘맞으면 2등급이고 아니면 3,4등급입니다...;;; 도덕문제집 같은 경우는... 사회통합 어쩌구 하길래.. 한번정도 풀면 좋지않을까해서요. 사서 풀었습니다..
09/07/03 23:32
마인에달리는질럿님// 그러면 지금부터 학교 수업에서 선생님만 뚫어지게 쳐다보세요. 그리고 그 날 이해복습하세요. ( 암기복습이 아니에요. ) 이것만 해도 성적이 올라가실겁니다.
09/07/04 01:25
고1 내신 안들어가지 않나요, 2011년부터인가 2012년부터인가 정확하진 않은데 (서울대에서요)
지금 내신+수능으로 갈건지, 수능올인할건지, 수시를 중점적으로 준비할건지... 정하는게 급선무구요- 그리고 문/이과도 정해야겠죠? 가고싶은 대학, 과도 정해야할 거구요. 이정도가 일단 확고해야 그다음에 공부가 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