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이전 질문 게시판은 새 글 쓰기를 막았습니다. [질문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2/04/19 17:03
1. 빠가 까를 만듭니다.
2. 모바일 OS 군으로는 크게 iOS / 안드로이드 기반이 있습니다. iOS기반은 아이폰/아이패드/아이팟 터치가 있으며 안드로이드 기반은 아이폰을 제외한 각종 스마트폰과 갤탭류의 태블릿 기기, 몇몇 MP3와 PMP 등이 있고요, 기타 위의 OS가 아닌 다른 OS를 쓰는 스마트폰과 태블릿이 존재합니다. (윈모, 심비안, 블베 쓰시는 분들껜 죄송...) 슬레이트 PC는 완전한 PC, 즉 컴퓨터에요. 모바일 OS를 쓰지 않습니다. 다만 슬레이트 PC는 몇몇 문제가 제기되어 있어 아직 쓰기에는 시기상조인 거 같습니다. 3. 감독은 레디 액션!, 즉 연출과 편집권을 가지고 있는 사람이고 제작은 영화 제작 전반을 담당하는 사람입니다. (비용 등등). 대강 억지 비유를 하자면 구단주-감독의 차이이려나요. 제리브룩하이머를 검색해보시면 제작이 하는 일을 좀 자세하게 아실 수 있을거 같긴 합니다.
12/04/19 17:06
1. 우선 빠가 까를 만든다는 말로 대표되는(?) 극성팬의 존재가 있겠고, 잡스의 성격 자체가 호불호가 갈릴 수밖에 없었습니다. 내편만큼 적을 많이 만드는 스타일이었기도 하고..
비싸다는 건 꼭 맞는 말은 아닌 게, 애플에서 만든 휴대용 기기의 가격은 다른 회사 제품에 비해 반드시 비싸지는 않습니다. 맥북에어는 가성비 갑이라는 말도 종종 나오고, 아이패드는 타사의 태블릿 기기에 비해 가성비가 좋니다(킨들 파이어는 잘 모르겠습니다). 주변기기는 좀 유명합니다만.. A/S 문제는 정식 스토어가 없는 한국에서 특히 두드러지는 문제고, 리퍼 정책의 호불호가 갈립니다. 하드웨어(소프트웨어)가 폐쇄적인 것은 맞는 듯한데, 클리앙에서 보면 개발자들은 안드로이드용 앱보다 iOS용 앱 개발을 더 선호하시는 듯하더군요. 판매도 그렇고 개발도 그렇고요. 2. 요즘 대세라면 갤노트 같습니다. 그리고 아이패드는 전화가 안 되므로 전화 대용으로는 불가능합니다. 3.제작하면 돈을 더 버는... 솔직히 잘 모릅니다. (__)
12/04/19 17:13
다른건 모르겠고 프로그램 제작자들이 애플을 싫어하다뇨 앱 제작자들은 오히려 좋아합니다. 앱스토어에 올라간 유료 앱은 무조건 7:3으로 투명하게 수익이 분배되기 때문에...(개발자 7)
12/04/19 17:34
1번은... 저는 삼성빠 애플빠 구글빠 MS빠라는 독특한 포지션을 취하고 있는데(그래서 햄볶아요. 하앍하앍 제 세상입니다. 크크) 옛날에 애플 제품 쓸 때 한 가지 불편했던 점은 우리가 익숙한 A/S 개념을 기대할 수 없다는 것이었습니다. 예를 들어, 삼성 제품은 고장이 나면 그것을 가지고 A/S센터에 가면 '그 제품'을 고쳐서 나올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액정이 깨지면 액정만 갈아 끼운 '그 제품'을 받아서 다시 쓸 수 있습니다. 하지만 애플 제품은 (특히 소형기기) 액정이 깨져도 아예 제품 전체를 바꿔야 합니다. 귀찮죠. 넣어 놓은 데이터 다시 빼야 되고, 새로 받은 제품에 다시 데이터 넣고 설정도 해야 되고... '그냥 액정만 바꿔 주면 되는데, 왜 새걸로 바꿔야 되는데!!!'라는 불만이 있을 수 있습니다. 특히, 보증기간 안에 교체를 하면 공짜로 새 제품을 받게 되는 것이니 더 좋다고 생각할 수 있으나 보증기간 지난 후에 교체를 하면 돈이 상당히 나오니까요.
이건 그 동네랑 우리 동네의 성행차이 때문에 발생하는 문제이기도 한데, 아무튼 한국 사람들이 애플 제품의 A/S에 불만을 가지게 되는 것은 자연스러운 것 같습니다. 3번은 기획사로 비유했을 때 '기획사 사장'과 '음반 프로듀서'의 관개 정도로 비유할 수 있지 않을까 합니다. [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