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이전 질문 게시판은 새 글 쓰기를 막았습니다. [질문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05/09/19 13:33
PC3200 DDR 512를 사시면 됩니다.. 아니면 256 가격은 5~6만원 사이 이구요.. 256은 2만 5천원 정도..
하드 디스크하나 바꿔줘도 체감 성능 올라갑니다..
05/09/19 13:34
266 MHz 까지 지원이 된다는 얘기는 PC3200을 못 쓰신다는 얘기군요. EzMura님의 메인보드에는 PC2700 램까지만 사용이 가능합니다. 다나와에서 PC2700 512램을 찾아보니 삼성 것이 47,000 이네요. 게일은 68,000원... 덜덜덜...
1) 3200과 2700은 그다지 차이가 없다는 것이 정설입니다. 2700이 램타이밍이 약간씩 빠르거든요(회사마다 조금씩 틀리긴 하지만요) 2) 삼성램은 중상위 정도의 무난한 품질이지만 중고값이 높고, 브랜드 인지도때문에 사람들이 제일 많이 씁니다. 구하기도 쉽고요. 3) 게일램은 방열판이라고, 알루미늄판이 램 위에 붙어있습니다. 램타이밍이 삼성보다 빨라서 조금 나은 품질을 보여주고요. 방열판의 힘으로 오버에 좋습니다만 오버는 남의 얘기로 알고 살아온 저로서는...... 3) 하이닉스 : 성능이 삼성보다 우위라는 사람도 있고, 그게 그거라는 사람도 있고, 사람들이 삼성만 알아서 그렇지 실제로는 이게 좋다는 사람이 많더군요. 동급에서 가격이 약간씩 싸거든요. 지금 쓰시는 램과 혼용하시려면 지금 램의 사양과 정확히 일치하는 제품(용량을 달라도 됩니다)을 쓰시는 것이 당연히 좋습니다. 저는 회사가 달라도 되는 줄 알았는데 회사마다 램타이밍이 틀리단 걸 얼마전에 알았거든요. 삼성같은 경우에는 램에 적힌 일련번호를 홈페이지에서 검색하면 그 램의 스펙이 나오더군요. 전부 교체하신다면 삼성이나 하이닉스를 추천~
05/09/19 13:36
앗 윗글 수정입니다. 지금 다나와에서 검색해보니 266MHz를 지원하는 건 PC2100 이네요. PC2100을 구입하셔야 할 듯 합니다. 죄송... ㅡㅡ;
05/09/19 13:45
3200을 구입하셔도 하위 호환합니다. 단지 속도가 메인보드 지원속도만 나올뿐이고요. 컴터를 새로 산다던가 하는 장래를 위해 3200구입을 구천해드리고 싶네요...어차피 DDR1램은 3200이상 발전되지 않고(400까지도 있긴 있습니다만) DDR2,3로 갈듯한데 나중에 중고로 팔테도 도움이 되겠죠. 어차피 한 천원 차이나 나려나요..
제 추천은 램을 512로 늘리고 지금 하드가 5400RPM이라면 7200RPM지원으로 바꾸시는게 가장 체감효과 상승을 불러올듯 합니다. 다음순서로는 여유가 생긴다면 그래픽카드 정도가 아닐까요~
05/09/19 13:47
메모리야 어차피 메인보드가 듀얼채널 지원을 안하니 상성이든 하이닉스든 아무거나 사시면 됩니다. 단지 중고시장에서는 삼성을 좀 더 쳐주죠. 구입가는 잘해야 1,2천원 차이정도고...게일램 같은건 오버같은걸 하지 않는이상 절대 비추라고 말씀드리겠습니다.
05/09/19 14:04
현재 메모리 소켓이 2개인것 같은데 현재 256하나가 박혀있다면 남은소켓은 1개, 거기에 256을 꽂으면 512 당장은 쓸만해도 장래가 좀 갑갑해지죠. 512를 꽂으면 768, 몬가 대세와는 어울리지 않죵?(상관은 없지만)
추천은 1.현재 256을 팔고 512하나를 구매한다. 남은소켓 하나 ->추후 1기가로 업 용이. 2.256을 팔고 512 2개를 구매해서 단숨에 1기가 업한계까지 업했으므로 이후로 신경 끝~ 게임같은걸 안하신다면 메모리하고 하드만 바꿔줘도 체감이 참 많이 상승되죵~
05/09/19 14:06
KHJ// 저도 그렇게 생각하고 있었습니다. 그런데 무조건 하위호환은 아니라더군요. 가령 저번에 제가 여기 게시판에 올렸던 문제도 결국 상위램을 써서 나던 문제였죠.
그러니까 정확히 말하면 3200/2700/2100같은 숫자(뭔 개념인지 정확히 몰라서요...)은 하위호환, 램타이밍(CL 2.5/3)은 상위호환을 하는게 맞다고 하기는 하는데, 램의 회사마다 안전성이 달라서 특정한 경우에는 문제가 생길수 있다고 합니다. (삼성에서 들은 답변이니 의심은 하지 않아요... ㅡㅡ;) 아무튼 이런 문제는 같은 회사 램을 쓸 때는 잘 나타나지 않는다고 하더군요. 결론은 장담은 금물~
05/09/19 14:18
글쎄요. 부업으로 월평균 2,3대정도 출장 조립을 나가는데..(유지,보수,업그레이드도 포함)
어차피 메모리는 국제 규격을 따라 만드는것이기 때문에 문제가 일어나는 케이스가 비정상인거고..대부분은 별 문제 없던데요. 말씀하신 램타이밍은 오버클럭을 하는경우나 듀얼채널 구성등에만 신경써야 할 부분이고 일반 사용자와는 무관하다고 봐도 된다고 생각하는데요.
05/09/19 14:23
참고로 메모리 속도는 2100은 266, 2700은 333, 3200은 400입니다.
원래는 133,166,200인건데...더블로 튀겨줬다 해서 DDR램인거죵 예전 펜티엄 3세대까지쓰이던 램들은 이규격대로여서 싱글이라케서 SDR인거고욤.
05/09/20 01:00
혹시 글쓰신 분 제 댓글 보실지 모르겠는데요...
메모리 종류 아시려고 할 때 꼭 안뜯어보셔도 됩니다;;; EVEREST라는 유틸 쓰면 컴터 안의 하드웨어적인 정보를 다 가르쳐주더군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