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Date 2008/02/21 22:52:56
Name The xian
Subject [팬픽] 한 전사와 한 기록관의 끝나지 않는 이야기
바닷가에서 세 개의 머리를 가진 거대한 용과, 한 사나이가 싸우고 있었다. 바닷가의 마을은 거의 잿더미가 되었고 살아 남은 주민들 몇몇은 바닷가의 높은 절벽 위에서 그 용이 빨리 물러가기만을 바라며 그 모습을 지켜보고 있었다. 용과 그 사나이 사이에는 수백 명의 사람들 - 정확하게 말하자면 사람이었던 것들 - 이 있었다. 몇백명, 아니, 몇천명일 수도 있는 그 시신들, 하나같이 모습이 온전하지 못했고 팔다리가 없는 시체는 그나마 온전한 축에 속할 정도였다. 천참만륙이라는 표현은 이런 때에 쓰는 것이리라.

유일하게 살아 남은 사나이 역시 온전한 상태가 아니었다. 용의 피를 많이 뒤집어쓴 듯 온 몸이 붉은 색이었지만, 아마 태풍 같은 입김에 휩쓸려 여기저기 생채기가 났고, 파괴의 신이 내렸다고 해도 믿을 만한 엄청난 번개에 맞아 팔다리가 참혹하게 일그러졌다. 이런 상황이니 입고 있는 무기와 방어구가 온전할 리가 없다. 투구는 깨져서 흔적도 없이 날아간 지 오래고, 오른손에 든 칼도 여기저기 날이 빠지고 칼 끝은 이미 부러져 있었다. 방패는 이미 형체를 알아볼 수 없을 정도로 뭉개져 버렸다.

순간, 한 마디 외마디 비명과 함께 그는 용의 오른쪽 머리에 정통으로 가격당해, 바다로 내던져졌다. 용은 마지막으로 살아남은 그 사나이마저 흔적 없이 죽여버리겠다는 듯, 자기의 입김을 일으켜 물보라로 푸른 빛의 폭풍을 만들어냈다. 죽었어도 이상하지 않을 정도의 중상을 입고 푸른 바다에 내던져진 그에게, 그야말로 푸른 빛의 폭풍이 들이닥친다. 바다도 푸른 색, 폭풍도 푸른 색, 모든 것이 푸른 빛이었다. 그가 이제 곧 그 바다에 삼켜져 흔적도 없이 소멸되리라는 것은 누구든 예상할 수 있는 것이었다.

'아아...'

울음과 비탄이 섞인 주민들의 소리가 울려퍼진다. 희망이 사라지는 소리다. 불타 버린 밭은 다시 일구면 되고, 무너진 집은 다시 세우면 된다. 하지만 희망이 없어져버리면, 인간이 무너진다. 희망이 사라지고 패닉상태에 달했던 주민들은 인내심의 한계가 넘어가자 극한에 달한 행동을 보이기 시작한다. 어떤 이는 정신이 이미 떠난 듯 그 자리에 그대로 실신하거나, 촛점 없는 눈동자를 이리저리 굴리며 들꽃을 손에 들고 실없는 웃음을 짓는다. 어떤 이는 손가락을 들어 조롱하기 시작한다. 바락바락 악을 쓰면서 욕하는 이들도 있다.

'그러게 왜 저 용과 싸우겠다고 나서서 지X이야!! 지가 영웅이고 용사면 다야?'
'용이 노했으니 이제 우리들까지 잡아먹을 거야.!! 도망가자!!'

심지어는 자기 부인과 자식들을 용에게 바치는 공물인 양 바닷가로 떠밀려는 사람이 있는가 하면, 엄청난 무력감에 빠져 탄식하는 이들도 있었다. 대성통곡조차 하지 못할 만큼, 눈물만 주르륵 흘리는 이들도 있다.

'저 사나이는 다를 줄 알았는데... 어쩔 수 없나 보구만...'

그 몇몇의 사람들 사이에 한 나이 지긋한 이가 있었다. 왼손에 든 양피지는 그가 기록관임을 말해 주고 있었다. 그는 일생 동안 그 전사의 모험을 기록하며 살아 왔기에, 그는 그 전사가 죽지 않기를 진심으로 바라고 있었고, 지금 순간에도 이미 정신이 산란해질 대로 산란해진 다른 이들과 달리 양피지에 펜으로 계속 무엇을 적고 있었다. 그러나 양피지에 더 이상 무엇을 적을 수가 없어 보였다. 용의 키만큼이나 큰 폭풍이 바다에 쓰러져 신음하는 그에게 짓쳐들어오고 있기 때문이었다. 그는 양피지를 덮고 입술을 지그시 깨물었다. 이미 나이 들어 주름진 두 눈에는 안타까움이 짙게 배어 있었다.

사실, 이 잔인한 싸움을 지켜보아야 하는 것, 그것은 기록관으로서 감당해야 할 의무이기도 했다. 이 나라에는 이름 있는 많은 전사들이 있었기에, 그 사나이 말고도 많은 이름 있는 전사들의 이야기를 다룬 기록관이 많이 있었지만 그 이야기들은 대개 영웅들의 죽음이나, 안타까운 이유로 모험의 끝을 이루지 못하는 결말로 끝나곤 했었다. 그래서인지는 몰라도 오랜 세월 동안 기록관으로 살아온 이들은 자신의 의무가 끝난 후 공허감에 자살을 기도하거나, 아예 도성을 떠나 야인으로 살아가는 경우가 허다한 것이 현실이었다.

하지만 기록을 마쳐야 하는 것도 그의 숙명이었다. 그는 몇 번이고 고개를 떨구려 하는 자신의 시선을 겨우 싸움터로 고정시켰다. 이제 막 일어난 전사의 머리 위로 엄청난 높이의 푸른 폭풍이 들이닥쳤고, 그 전사는 단말마의 비명을 지르며 삼켜졌다. 그 전사의 모습이 푸른 폭풍 속으로 사라지는 것을 본 뒤, 그는 양피지의 맨 아랫단을 펼쳐서 '영웅은 푸른 폭풍을 견디지 못하고 결국 생을 마감하였고, 기나긴 위업도 여기에서 끝나고 말았다'라고 적었다. 아쉬움을 감출 수가 없는지 마지막 단을 맺으려 할 즈음 그의 주름진 눈에서 눈물이 한 방울 흘러내린다.

'나의 일생을 건 의무도... 여기에서 끝나는구나. 마지막 이야기는 다른 영웅이나 용사들처럼 어둡게 끝나지 않기를 바랬는데...'

양피지를 덮은 그는 몸을 돌려 절벽을 내려섰고, 용을 피해 근처에 매어 둔 말 곁으로 가고 있었다. 그 전사가 살아 있을 때에는 기록하는 것이 임무였다면, 그 전사가 생을 마감했을 때에는 그 기록을 무사히 다른 이들에게 전파하는 것이 목표였기 때문이다. 그런데 황급히 말 곁으로 내려가려던 그에게 한 아이의 날카로운 목소리가 들린다.

"용사님이... 용사님이 폭풍을 이겨냈어요!!"

이럴 수가. 그 푸른 폭풍 속에서......?? 그러나 용사가 푸른 폭풍에 잠겨서 다시 보이지 않은 것은, 그의 눈이 아니었던가. 그래서 그는 '아이가 헛것을 본 거겠지'하고 가던 길을 가려 했다. 그러나 그 아이의 목소리가 한 번 더 울려퍼진다.

"용사님이 살아계셔요!!"

살아있다니, 이럴 수가!! 기록관은 가던 길을 멈추고 다시 절벽 위로 올라섰다. 살아있다면, 정말로 살아있다면 기록관의 의무는 끝난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그리고 그는 아이의 말이 맞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는 살아있었다.

이미 그의 몸에서 흘러내리는 붉은 액체는 그가 뒤집어 쓴 용의 피인지, 아니면 그 전사의 피인지 분간이 되지 않을 정도였지만, 어쨌든 그는 살아 있었다. 기록관은 황급히 양피지를 펼쳐 마지막 줄 위에 한 줄을 그어 지워 버리고는, 다시 그 용과 전사의 싸움을 지켜보았다. 용은 바짝 약이 올랐는지 바닷물을 자신의 입김으로 폭풍처럼 만들어 다시 푸른 폭풍을 일으켜 전사를 덮쳤지만, 이젠 그 전사도 하도 얻어맞다보니 이 정도는 일도 아니라는 듯이 번번히 그 폭풍을 이겨내면서 서서히 용과의 거리를 좁혀 가고 있었다.

용도 기진맥진한 듯, 용이 일으키는 푸른 폭풍도 횟수가 거듭될수록 약해졌고, 용과 전사의 거리는 점점 가까워졌다. 그리고 용의 왼쪽 머리가 전사를 노리고 짓쳐드는 순간, 전사는 그 왼쪽 머리의 돌진을 피해내더니 바람같이 뛰어 올라 칼을 휘둘러 용의 오른쪽 머리를 잘라내고 말았다. 용의 검붉은 피가 솟구치고, 이 세상 것이 아닌 양 엄청난 괴성이 들렸다.


"꾸웨에에에엑~~~~~"


주민들도, 기록관도, 아이들도 놀랄 정도의 엄청나게 큰 용의 소리가 울려퍼지며 용의 오른쪽 머리가 두 동강으로 잘려 떨어져 내린 다음 순간, 아직 남아 있던 용의 가운데 머리가 일순간 빈 틈을 보였던 전사의 가슴팍을 강하게 쳐냈고, 전사는 크게 튕겨져 바닷가 절벽에 몸을 부딪친 뒤 움직이지 않았다. 용은 전사가 더 이상 움직이지 않는 것을 확인하고는, 이 정도는 일도 아니라는 듯이 오른쪽 머리를 재생시키킨 뒤 잘린 머리를 남겨 두고 바다 저편으로 날아갔다.



한 달 후.

전사는 여전히 병석에 누워 있었다. 온 몸에 성한 곳이 하나도 없었기 때문에 적어도 몇 달은 더 누워 있어야 한다는 의사의 말이 있었지만, 다른 이에 비해 초인적인 회복력을 가졌기 때문에 그는 한 달 남짓 되자마자 다시 모험을 떠날 채비를 하라고 지시한 상태였다. 물론, 다음 모험을 떠나기까지 얼마 정도가 필요할지는 오직 그 전사만이 알고 있었다.

전사는 기록관을 불러들였다.

"그래, 지난 모험의 끝은 무엇이라고 적었는가? 보여주게."
"......"
"괜찮네. 내가 보고 싶어 그러는 것이니 보여주게."

기록관이 어렵게 내민 양피지를 전사는 죽 읽어 내려갔다. 양피지의 끝에는 이렇게 적혀 있었다.

'영웅은 푸른 폭풍을 이겨내고 용의 머리 하나를 잘라냈지만, 결국 용의 공격에 정신을 잃어 패했고 목숨만은 간신히 건졌다'

그리고 그 밑에는 온전히 지우지 못한 또 다른 한 줄이 아래와 같이 적혀 있었다.

'영웅은 푸른 폭풍을 견디지 못하고 결국 생을 마감하였고, 기나긴 위업도 여기에서 끝나고 말았다'


전사는 양피지를 덮은 다음, 잠시 생각에 잠겼다가 기록관을 바라보며 말했다.

"명문이군. 그런데, 내가 죽을 줄로 알았는가?"
"그렇습니다. 그 푸른 폭풍에 흔적도 없이 사라질 것이라고 생각했었습니다. 용서하여 주십시오."

전사는 잠시 침묵한 뒤, 말을 이었다.

"용서받아야 할 사람은 그대가 아닐세. 한때나마, 잠시나마 무력한 모습을 보여줬던 나이지."
"아닙니다. 어찌......"
"목숨이 살았든, 죽었든... 진 것은 진 것이야. 나를 영웅이라 여기고 바라보는 그대와 같은 이에게 내가 무력한 모습을, 지는 모습을 보여준 것, 그로 인해 그대와 같은 이들이 느꼈을 아쉬움은 무엇으로도 치유되지 않겠지."
"아닙니다. 용사여. 저는... 저는 당신께서 살아서, 다시 일어서서, 모험을 하시겠다는 것만으로도 족합니다. 그리고 모험을 마치는 날까지 건강하고 밝게 살아가신다면 더 바랄 것이 없겠습니다."
"그렇게 생각해 준다니 고맙군."


전사는 일어나 앉은 다음, 기록관의 주름진 손을 꼭 잡았다.

"내 약속하겠네. 내가 최후의 순간을 맞이하더라도...... 다른 이름 있는 이들처럼 허무하게, 슬프게 죽지는 않을 것이네. 약속하지."

기록관의 두 눈에 눈물이 맺히고 있었다. 자신이 섬기는 주군과 같은 이에게 이런 말을 듣는 것이 얼마나 영광된 일이던가.

"......"
"그러니, 내가 검과 방패를 내려놓는 날까지 나의 길을 계속 지켜봐 주고, 많은 이들에게 알려 주게나. 그렇게 해 준다면 나는 내가 마음먹은 날까지 아무런 의심 없이 나의 길을 갈 수 있을 것이네."
"......"
"그렇게 해 줄 수 있겠나?"


두 눈에 눈물이 글썽한 기록관이 떨리는 목소리로. 그러나 강하게 대답한다.

"물론입니다."


패기 있는 천재적인 젊은 전사에서, 어느덧 세월이 지나 삶의 여유가 느껴지는 풍모를 갖춘 영웅과.
그 패기에 반해 양피지를 손에 쥔 청년에서, 어느덧 세월이 지나 살아갈 날보다 살아온 날이 많은 나이가 된 기록관.

그 영웅이 걸어가는 끝나지 않는 이야기를 위해 기록관은 양피지와 펜을 새로이 준비하고,
자신을 영웅으로 대하는 이들과 그 자신의 영광을 위해 전사는 다시 검과 방패를 가다듬는다.


- The xian -
* 메딕아빠님에 의해서 게시물 복사되었습니다 (2008-02-27 21:31)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mandarin
08/02/21 23:21
수정 아이콘
이기건 지건 오늘 보여준 열정과 근성이라면 팬들은 절대 떠나지 않아요.
너무나 멋진 선수라는 생각이 듭니다.

그리고 너무나 멋진 글이네요! 추게로!
DarkSide
08/02/21 23:26
수정 아이콘
글 정말 잘 쓰셨습니다.

프로게이머 이윤열과 박성균을 전사와 기록관으로
비유하여 표현한 부분 역시 정말 흥미롭게 읽었습니다.

이윤열. 박성균.
저 두 선수가 테란이라는 것이 아쉬울 정도로 오늘 경기는 훌륭했습니다.
단지 저 두 선수가 토스 유저가 아니라서 저의 진심이 담긴 찬사를 보낼 수 없음에 아쉬울 뿐.

비록 제가 응원하는 팀은 아니고 응원하는 선수도 아니지만,
앞으로도 저 두 선수들과 위메이드 폭스 게임단의 건투를 빕니다.
The_CyberSrar
08/02/21 23:37
수정 아이콘
기록관은 필자 자신이라고 봐야죠....
08/02/21 23:42
수정 아이콘
사실, 프로 스포츠의 서포터즈에 대해 이해를 잘 못했더랬습니다.
아리따운 아가씨들이.. 농구공 한번 안튀겨보고 축구공 한번 안차볼 것 같은..
패배에 흘리는 눈물, 선수의 부상과 함께하는 안타까움.
오버하는듯한 환호도..

이제는 제가 그러는 모습을 발견할 때가 많아서 놀라곤 합니다.
업무 시간중 문자중계를 보며 속을 외치는 환호, 안타까움..
주말에 리그 결승이라도 있을라치면.. 집에서 큰소리로 환호와 안타까움도 표현하고..

대개 그 환호와 안타까움은 '임'을 비롯한 올드들에게 쏠리지만,
정말 멋진 경기.. 그보다 최선 다하는 것 이상의 것을 보여준,
올드를 넘어서는 선수들에게도 마찬가지로 환호하게되더라구요.
결국 감동을 주는 선수에게 팬심은 가게 마련 아닌가 싶네요.

오늘 이윤열-박성균 경기를 보지는 못했지만,
또다시 팬들의 기억에 굵은 추억이 될..
아쉬움도, 환호도 많았던 경기가 펼쳐진듯하네요.
'닥본사' 못한 아쉬움도 있고..
이윤열 선수의 최후의 항전, 결국 팀 후배에게 길을 내어주는..
아쉽기도 하고 뿌듯하기도 할 승부의 결말을 못본 아쉬움도 있네요.

결과적으로 실질적인 결승전..
본좌라 불리어도 모자라지 않을 선수들의 경기가..
다행히 다전제로 벌어지게 되었네요.

이런 즐거움이 앞으로도 오래가길 기다리는 마음과 함께..
설레임으로.. 기다려봅니다..
이제동 화이팅!
박성균 화이팅!

그리고.. 오늘 잘싸우준.. 이윤열 선수에게도 경의를 표합니다..
DarkSide
08/02/21 23:44
수정 아이콘
The_CyberSrar //
아, 그런 건가요;; 제가 착각했나 보군요.
그럼 박성균 선수는 이윤열 선수의 뒤를 이을 차기 영웅인건가요;; 하하;;
The_CyberSrar
08/02/21 23:48
수정 아이콘
DarkSide님// 약간 정리하자면 이윤열은 용사, 박성균은 용 ,기록관은 the xian님(필자) 라고 보는게 내용상 맞는 것 같습니다.
DarkSide
08/02/21 23:49
수정 아이콘
The_CyberSrar // 아하, 그렇군요. 정확한 설명 감사합니다.
08/02/22 09:09
수정 아이콘
추게로!!
08/02/22 12:19
수정 아이콘
ㅜㅠ
Withinae
08/02/27 21:54
수정 아이콘
참 시안님은 그냥 글도 논리적으로 잘 쓰시더니 팬픽도 참 잘쓰세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773 1년 전 오늘, 고작 스물 한살의 남자 이야기. [31] 포스13087 08/02/24 13087
772 불의 심장 로맹가리와 얼음의 심장 에밀 아자르. [24] The MAsque8626 08/02/28 8626
771 본좌는 자연스러운것. [37] 라울리스타12844 08/02/23 12844
770 동상이몽 [7] 점쟁이7556 08/02/22 7556
769 [팬픽] 한 전사와 한 기록관의 끝나지 않는 이야기 [10] The xian7967 08/02/21 7967
768 소닉 스타강좌 - 컴퓨터의 분노 [76] 소닉19756 08/02/20 19756
767 인터넷으로 영어공부 하려고 합니다. [16] 불꽃열9982 08/02/26 9982
766 삼황오제사천왕 설정집 1 [13] 설탕가루인형9625 08/02/19 9625
764 응원글)잊혀진 한그루의 나무가 될지라도... [7] happyend7783 08/02/19 7783
763 그가 그랬으면 하는 이야기. [23] Ace of Base12441 08/02/19 12441
762 본좌 마재윤, 그게뭔데? -updated. [36] Aqua13351 08/02/18 13351
761 08'02'16 오영종 vs 송병구 in 카트리나 리뷰 [12] Judas Pain10536 08/02/17 10536
760 시간의 벽 앞에 서 있는 서지훈 [63] Judas Pain15594 08/02/16 15594
759 "왜 당신은 나만 만나면 강해지는거야" [30] 몽땅패하는랜15404 08/02/14 15404
758 삼황 오제 사천왕 -第一章- [12] 설탕가루인형9787 08/02/15 9787
757 삼황 오제 사천왕 -序章- [35] 설탕가루인형10656 08/02/13 10656
756 한계를 극복하는 자들에게서 나는 일탈을 꿈꾼다. [4] legend9755 08/02/14 9755
755 내 영혼을 떨리게 하는 선수에게. [32] The xian10511 08/02/13 10511
754 about "이영호 vs 이제동" [23] sylent11193 08/02/13 11193
752 Starcraft Stats Ez Edition을 소개합니다. [20] 프렐루드9742 08/02/11 9742
751 7분 24초의 통화기록 [50] Timeless13979 08/02/09 13979
750 문어 이야기 [17] ThanksGive9243 08/02/10 9243
749 평범함을 그리는 속쓰린 맵퍼. [18] 포포탄11075 08/02/05 11075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