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Date 2007/05/07 00:02:37
Name 뻬파
Subject 최인규 chrh. 1402일만의 승리.
안녕하세요. 피지알 눈팅은 3년째해오고 있지만 글은 처음인 불량회원입니다.
최인규 선수의 선전을 보니 도저히 가만히 있을수가 없어서 말이죠. 졸렬하지만
그냥 이런 감정을 느꼈다라고 봐주세요. 세세한 사실은 확인하지 못한점 지적해주시면
수정하겠습니다.
===========================================================================
*

전혀 기대를 하지 않는다라는 표현이 있다. 은근슬쩍 기대는 하지만 그 가능성이란게 너무 낮아서

도저히 대놓고 기대를 할 수 없다는 다소 극단적인 표현이다. 극단적인만큼 듣는 당사자로서는 가슴이 아프고

쓰리고, 분하고, 그런데도 어쩔 수 없음에 앞의 과정을 반복해야 한다.

'지옥같은 것이겠지' 그런데 우리는, 사람들은 그런 표현을 자주 한다. 포기하면 편하거든?

기대에도 불구하고, 맨날 미역국에 떡실신만 당하는 플레이어에게 정을 준다는 건 원만한 심장으론 할수 있는

일이 아니다. 당사자 선수가 느끼는 위의 저 기분을 충실하게도 동반해서 느껴야거든.

그러니까 팬질이 쉽지 않단 것이다.

**

최인규는 아마도 2004년정도부터 스타리그를 본 팬이라면 오프닝의 한장면에 그냥 자주 나오는 잘 생긴 선수...

정도로 인식할 것이다. 주종족이 무엇인지 소속팀은 삼성인것같은데 출전을 안하네? 다른 종목 선순가?

생각도 할 수 있을 정도로. 인지도가 낮다. 근데 사실 그는 거의 임요환과 앞서거나 그 비숫한 시기에 활약하던

무려 랜덤(?) 전문의 아스트랄한 선수였다. 플토도 참 잘했고, 테란전도 참 잘했고, 랜덤이란 특성을 이용해

극단적인 심리전도 즐길줄 아는 로맨티스트(?)였다. 근데 고질적인 손목 부상으로-당시 프로게이머에게 복지나

건강을 생각할만한 여유자체가 없었기에- 오랜시간 벤치를 지켜왔다. 동생뻘되는 최수범 선수와 김근백 선수와,

이제 그보다 어린 동생들 송병구가 프로리그에서 안간힘을 다해 삼성을 지키고 있었을때 삼성이 계속된 패배로

1차 프로리그에서 탈락할때도 그는 벤치에서 지켜보고만 있었다. 얼마나 분했을까. 그래도 내가 큰 형인데...

감독님이 그래도 날 믿고 이렇게 데리고 계신 것인데.... 그 자리에 없었지만, 그 분함이 브라운관 너머로 전해왔었다.

많은 올드 팬들의 기대에도 불구하고 그는 결국 3년 반정도동안 한번 이겨보지도 못하고 결국 군입대를 결정한다.

사실 그때 참 많은 사람들이 최인규라는 존재를 부정했다. 3년넘게 뭐한게 있는지조차 알수없는 선수가 무슨 공군팀에 들어간다는 것이냐.

공군이 무슨 퇴물 집단이냐며... 사실, 나는 최인규에게 '전혀 기대하지 않았다' 내가 최인규에게 기대한건...

뭐랄까 패배가 기정사실화된 때 등판하게되는 쓸쓸한 등의 패전전문 투수 정도였다. 그렇게 내가 기대한건 보잘 것 없었다.


***


오늘도 최인규는 엔트리에 올라있었다. 씁쓸하게 3:1정도의 스코어를 기록하기 위해 등판하는 것인가...라고

씁쓸하게 되뇌였다. 마침 1경기에선 그나마 공군에서 확실한 승리를 챙겨주던 성학승이 염보성에게 5분도 되지 않아

패배했고, 2경기에선 그렇게나 1승을 거둬주길 바래마지 않는 우리 학교 후배 조형근이 이재호에게 패배했다.

그래도, 우리의 저그 대마왕 강도경과 그의 한빛 팀 파트너, 김선기의 활약으로 1승을 거두었다.

그래, 솔직히 이때 많은 사람들이 이렇게 생각했을 것이다.

"1승 했다. 셧아웃이 아닌게 어디야. 인규가 택용이 잡긴 좀 힘들것지"

2:2란 스코어는 누구도 생각치 않았다.

그리고 이런 기대란게 뒤집어지는 그 순간이 그야말로 카타르시스로 다가오는 것인게지.

****

최인규의 시작은 그리 순탄치 않았다. 간혹 흘리는 병력과, 수비 중심으로 나오는 약간은 수동적인 자세.

김택용이라는 포스가 주는 긴장감. 팬들의 수근거림. 경기 내적이나 외적이나 최인규가 아-주 유리한 적은

없었다. 그런데, 그래봤자 승부에 대한 경우란건. 2가지밖에 없잖아. 이기거나, 지거나.

확률이란건 경기에 들어가기 전 문제고, 경기에 임하면 이기는 확률도 지는 확률도 50대 50인 것이지.

오늘의 최인규는 단단했다. 진짜 테란스럽게 꼼꼼하게 터렛을 설치하고, 포인트마다 마인 설치하고, 자리 충실하게

잡고, 이기지는 못하더라도 지지 않는 싸움을 계속했다. 그런데 그런 몬티 홀이란 전장에서 최인규가 변화를 일으킨다.

김택용의 멀티 기지에 동시 다발적인 공격을 시도해 자원의 수급을 지속적으로 방해하고, 고스트를 활용하는 플레이에

리버에게 절대 손해보지 않는 플레이를 해가면서 전선을 조금씩, 조금씩 전진해서 결국 김택용의 병력을 말리고 말렸다.

그야말로 전통적인 힘싸움과 난전을 통해 그 MSL의 우승자이자, 마재윤을 씹어먹고, 이윤열에게 스카우트를 띄우며

도발하던 비수를 마우스 오브 조로 인규가 비수째로 부셔버린 것이다. 단단한 바위를 비수로 찌른다는게 얼마나 허망한

일인지를 고스트 락다운으로 보여줘가면서 결국 김택용에게 GG를 받아낸다.

누가 기대를 했을까. 누가 변화를 예상했을까. 그 김택용을 한물갔단 평가에 퇴물 소리까지 들었던 최인규가

때려잡았다. 승리가 확실시되던 장면에서 보여주던 최인규 입가의 미소. 진짜 울뻔했다. 박수를 쳐가며

"인규야 니가 해내는구나!"라며 외쳤다.-아마 소름이 돋고, 박수에 눈물을 글썽인 팬 나 하나만이 아니리라 믿는다-

*****

김택용은 5경기 에이스 결정전에 다시 한번 등장하지만, 4경기의 여파를 이겨내지 못한듯 자잘한 실수를 하고

임요환에게 공군의 2승을 헌납한다. 2:0에서 3연승. 작년도 디펜딩 챔피언을 공군이 꺾었다. 누가 예상이나 했을까.

참가에 의의를 두는 걸로 위안을 삼던 올드팬들에게 오늘 그들은 최고의 선물을 선사했다.

최인규의 고스트, 임요환의 메카닉.

강도경과 김선기의 팀웍.

내가 이래서 이판을 못버리는 것이다.

Nio.G.Readman the Paper

덧글: 최인규는 오늘 네이버 실시간 검색어 1위로 등극한다. 그 검색어 친 사람중에 한명이 나다. 초콤 부끄럽지만

너무 기뻤다. 춤이라도 추고 싶을 정도로.
* anistar님에 의해서 게시물 복사되었습니다 (2007-05-08 21:08)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The xian
07/05/07 00:06
수정 아이콘
최인규 선수의 팬은 아니지만 최인규 선수가 한 번쯤이라도 멋지게 이겨 줬으면 하는 생각은 늘 가지고 있었습니다.

다시금. 최인규 선수의 오늘 승리가 고맙고, 정말로 감사합니다. 데일리 MVP도 받으셔서 더욱 좋으시겠습니다.
승리의기쁨이
07/05/07 00:14
수정 아이콘
나와 내 동생이 같이 좋아했던 선수중에 한명으로써 너무 감격먹네요 그당시 그의 랜덤이나 미소는 가희 최고급이였는데 손목부상이 정말 컷네요 승리를 축하드립니다.
Choi[Gija]
07/05/07 00:33
수정 아이콘
ㅠ.ㅠ
최인규... 잊고 있었던 이름이었습니다.
이제 그 이름을 모두가 기억할 겁니다.
Pnu.12414.
07/05/07 00:35
수정 아이콘
해설하고 있던 임성춘, 김동준 해설의 마음은 얼마나 벅차올랐을까요. 한솥밥 먹던 선수가 4년만에 이겼는데.. 아무 연관 없는 저도 찡했는데..
사상최악
07/05/07 00:39
수정 아이콘
사실 방송을 보면서 감히 최인규 선수의 승리를 예상하는 건 김택용 선수에게 실례되는 일이라고 속으로 생각했습니다.
최인규 선수가 이긴다면 그야말로 기적이 일어나는 거라고 계속 생각했는데, 정말 그 기적을 만들어내네요.
김택용 선수의 첫 프로브 정찰 실패가 나비효과가 되어 엄청난 결과를 가져올 줄 누가 알았겠습니까.
문득 닉네임으로 'chrh열혈팬'을 쓰던 분이 생각나네요.
최인규 선수의 멋진 모습을 앞으로도 계속 볼 수 있기를 바랍니다.
다크드레곤
07/05/07 00:46
수정 아이콘
지금 재방송 보고왔는데 최인규선수가 이기는 순간 눈물이 나네요..^^ 최인규 선수 제 2의 전성기를 맞이 할 수 있도록 앞으로도 좋은 모습 부탁합니다~~최인규 선수 화이팅!!
My name is J
07/05/07 00:49
수정 아이콘
좋은글 감사합니다.
이 밤 그 경기를 다시금 보자마자...이 글을 읽는 군요.
그 지옥같던 1402일...그것을 견뎌온 선수와 그 팬들에게 감사와 축하를 합니다.

예..바로 이런 모습이 이판을 사랑하는 이유겠지요.
구경플토
07/05/07 00:52
수정 아이콘
오랫동안 기다려 왔습니다. 삼성칸 소속으로 벤치에 앉아있을때도, 한시도 잊지 않고 기다려 왔습니다. 김가을 감독도 이런 모습을 기대하며 최인규 선수와 계속 함께해온 것이겠지요...

눈물이 납니다. 주책스럽게...
07/05/07 01:01
수정 아이콘
저는 임빠입니다.
그러나
왠지 오늘의 임요환선수는 조연 역할이였다고 생각합니다.
누가뭐래도 오늘의 주인공은 최인규 선수였죠.

임요환선수의 열혈팬이긴 하지만 임요환 선수가 조연인게
전혀 이상하지 않을 정도의 경기 였습니다.

최인규 선수 반짝 부활이 아니면
영원한 부활로 다시 팬들에게 감동을 주길 바랍니다.

오늘 승리는 하였지만 약간은 부족한 부분이 없지않아있습니다.
다른분들이 그것으로 인규선수의 승리를 깍아내리려고 할수도있습니다.

더 완벽해진 모습으로 아무도 깍아내리지 못할 포스로 돌아오길
기대합니다.

chrh 는 다시 돌아옵니다.
07/05/07 01:04
수정 아이콘
임요환과의 라이벌전보다 훨씬더 이전부터 최인규 광빠였던 나로써는 그저 눈물만 나옴..ㅠㅜ
개의눈 미도그
07/05/07 01:41
수정 아이콘
동영상 세번 돌려봤습니다.
시작할때의 의미심장한 자신감에 차있는 미소,
승부가 기울었을때의 미소,
승리했을때의 환한 미소...
정말 감동스러웠어요.
노장이 이렇게 부활해주니 이맛에 스타를 못끊겠네요. 임요환 선수도 그렇구..
07/05/07 01:56
수정 아이콘
최인규선수 정말 오랜만에 스타보다 감동했어요ㅠㅠ
유리아주
07/05/07 02:00
수정 아이콘
최인규 선수 그 잘생긴 외모는 빡빡머리 군인이라도 광이 나더군요.. 흘..
시커.R
07/05/07 08:32
수정 아이콘
저도 박수까지 치면서 설마.. 설마.. 하면서 응원헀네요.^^
iTV에서 최인규 선수가 연승을 하나씩 쌓아가던 그 시절이 떠오르더군요. 매주 최인규 선수의 연승을 기다리는게 낙이었는데...^^;;
동글콩
07/05/07 11:40
수정 아이콘
얼른 챙겨봐야겠군요. 사실 기사만 보고도 눈물 찔끔.. ^^;
최인규 선수! 게이머 팬카페라는 데에 처음 가입하게 만든 선수!
그동안 잊고 살아서 미안해요.. 그동안 못 한 만큼 더 많이 응원해 줄께요.
공군 화이팅!!
하얀 로냐프 강
07/05/07 12:11
수정 아이콘
너무 많은 경기수 때문에 스타에 흥미를 잃을 뻔 했으나... 공군이 그 흥미를 되살리는군요...
노련한곰탱이
07/05/07 12:47
수정 아이콘
승리를 확신하는 순간 최인규선수의 입가의 미소.. 정말 감동의 눈물이 주르륵 흐르더군요. 원래 임요환 선수를 그렇게 좋아하지 않았지만 5경기에 임선수를 어찌나 그렇게 응원했는지.. 어제 경기 너무 멋졌습니다.
감전주의
07/05/07 18:36
수정 아이콘
요즘 스타리그에 대한 흥미가 점점 떨어지고 있었는데 최인규선수의 환한 웃음을 보니 역시 이 맛에 스타를 보나 봅니다.^^
용잡이
07/05/07 22:34
수정 아이콘
임요환 선수의 팬이였기에 최인규선수는 정말 강렬하게 기억되어
있었죠..그의 전성기때 그를 곧잘이기던 랜덤유저..
그러나 삼성으로의 이적후 부상이후 잊혀져 가던 그선수가..
공군가서도 역시 어쩔수없나라는 생각을 가지게 하던 그선수가
정말 멋지게 이기더군요.
앞으로 스타보는맛이 하나더 늘어날듯 하네요.
공군화이팅!!인규선수 화이팅!!
sometimes
07/05/08 13:17
수정 아이콘
저도 임요환 선수보다 더 먼저 좋아했던 선수가 최인규 선수였는데...
역시.... ㅠㅠ
ShadowChaser
07/05/08 21:35
수정 아이콘
최인규 선수 만을 응원하던 보람이 있구나!!! 오예!!!!
동네슈퍼주인
07/05/09 00:29
수정 아이콘
이 맛에 스타 봅니다!
뇌공이
07/05/09 11:24
수정 아이콘
올드게이머 팬으로서 최인규선수의 승리는 정말 큰 기쁨이었습니다.
특히 게임이 끝나기전에 승부가 기울었을때의 미소는 정말...ㅠㅠ
도시의미학
07/05/09 19:59
수정 아이콘
누구나가 그랬을껍니다. 2:1의 상황. 4경기 엔트리는 그 유명한 김택용 선수, 올드팬들이 아니면 이제는 이름조차 가물가물한 최인규 선수. 경기 시작만 보고 일이 있어서 잠시 나갔다 들어왔더니 5경기 더군요. 에이스 결정전을 준비하고 있다는것 자체가 최인규 선수의 승리를 말해준거였습니다. 그 다음날 우연찮게 재방을 챙겨보고 최인규 선수의 경기를 직접 확인하고 나니까 저도 모르게 눈물이 나더군요. 김택용선수의 GG라는 글자가 화면에 나타나는 순간 히어로센터의 그 흥분은 티비로만 지켜보고 있던 저도 생생하게 느낄 수 있었습니다. 1402일만의 승리였나요. 1402일만에 보는 승리후 최인규 선수의 미소가 그 어떤 날보다 값졌습니다.

그 때의 그 기쁨..며칠이 지난 지금에야 이 글을 보지만 지금도 눈물이 나네요.
리부미
07/05/09 22:27
수정 아이콘
오늘에서야 경기보고 눈물이 났습니다..

마우스오브조로 얼마만에 들어보는지..ㅠㅠ
온몸이 찌릿 찌릿합니다..
초고 화팅!!!

그리고 몇년을 이제 십년이 되어가는 선수에게 신인선수보다 기본기에 밀린다는 엠겜의 해설자들의 말을 듣고
많이 씁쓸하더군요..
기본기......... ???
길시언 파스크
07/05/09 23:36
수정 아이콘
아흑 로긴하게 만드시는 군요... ㅠㅜ 저도 이경기 보면서 얼마나 짜릿하고 소름돋고 눈물날라 하던지..

예전 스타리그라는게 없던시절 인천방송 랭킹전의 최인규선수는 제 우상이나 마찬가지였습니다.
그런데 그선수가 제가 군대에 다녀오고나니 거의 퇴물처럼 벤치만 지키는게 너무 아쉬웠는데...

제가 그 현장에 있었으면 덩실덩실 춤이라도 췄을겁니다..
지금까지 노력하시고 멋지게 이겨주신 최인규 선수에게 감사합니다!

그리고 멋진글 써주셔서 감사!! 좋은글 자주 남겨주세요~ ^^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513 76.9% [21] 뻬파20350 07/05/16 20350
512 기억합니다. 기억하고 있습니다. 기억할 것입니다. [24] JokeR_12846 07/05/15 12846
511 하늘이 그대를 선택했노라. [6] 파란무테12121 07/05/12 12121
510 March는 아직 연주중 [23] 뻬파11975 07/05/12 11975
509 yesterday once more [27] 올빼미11712 07/05/11 11712
508 너.....내가 누군지 알지? [25] 설탕가루인형13933 07/05/10 13933
507 어설픈 "공감각"적인 글(2) [17] lovehis9437 07/05/07 9437
506 택용아, 계속 거기서 살꺼야? [13] ThanksGive15486 07/05/07 15486
505 최인규 chrh. 1402일만의 승리. [26] 뻬파12828 07/05/07 12828
504 The Loki's Behind Story.. [14] CarlSagan10328 07/05/05 10328
503 어느 일병의 눈물 [90] 임태주18415 07/05/06 18415
500 김택용, 대저그전 심시티를 개선하라 [36] ArcanumToss14131 07/05/05 14131
499 낭만에서 현실로, 청년에서 어른으로 [32] OrBef12983 07/05/02 12983
498 The Irony Man, NaDa [67] The xian10791 07/05/02 10791
497 Force Point Ranking - 4월 [21] ClassicMild7851 07/05/02 7851
496 목동전설을 찬양하다 [23] 하성훈9970 07/04/30 9970
495 스타크래프트의 팬과 안티 [33] keidw9681 07/04/28 9681
494 [설탕의 다른듯 닮은] 저그리와 마홀딩 [9] 설탕가루인형9646 07/04/26 9646
493 프로리그, 조금 더 분발 합시다. [44] 종합백과11500 07/04/25 11500
492 [sylent의 B급칼럼] 그리고 박정석 [47] sylent12874 07/04/24 12874
491 Survivor, Freedom.WeRRa [17] 누리군™9620 07/04/22 9620
490 PGR. 그 빛나는 이름에 묻어가며 쉽게 쓴 글 [14] 信主NISSI9344 07/04/20 9344
489 난 동족전이 좋다. 피할 수 없다면 즐겨라. [26] Zwei9158 07/04/18 9158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