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Date 2007/02/21 18:19:11
Name sylent
Subject [sylent의 B급칼럼] 마재윤@스타뒷담화
[sylent의 B급칼럼]은 월드컵보다 스타리그를 좋아하며, 지루하기 짝이 없는 물량전 보다는 깜짝 아이디어가 녹아있는 ‘올인’ 전략에 환호하는 sylent(박종화)와 그에 못지않게 스타리그를 사랑하지만, 안정적인 그리고 정석적인 플레이 스타일이 정착되는 그날을 꿈꾸며 맵과 종족의 밸런스에 대한 엄격한 기준을 강조하는 왕일(김현준)이 나눈 스타리그에 대한 솔직담백한 대화를 가공해 포장한 B급 담론이다.


[sylent의 B급칼럼] 마재윤@스타뒷담화

“명칭이 <스타뒷담화>든, <스타앞담화>든, <스타옆담화>든, 온게임넷이라는 방송국이 전략적으로 밀고 있는 프로그램이라는 사실에는 변함이 없습니다. 팬들이 "뒷담화니까 괜찮아"라고 생각하기를 바라고 있을겁니다, <스타뒷담화> PD는. 민감한 사안들에 대해 소신껏 이야기할 수 있는 면죄부가 될테니까요. 엄재경과 김태형이라는 채널을 이용해 하고 싶은 얘기는 마음 껏 하고, 수틀리면 '뒷담화니까..' 라고 한 발 빼겠죠.”

내가 <스타뒷담화>에 대한 글에 작성했던 댓글이다. 마저 내려쓰기 전에 두 가지 사실을 밝혀야 할 것 같다. 나는 <스타뒷담화>의 정체성에 대해 여전히 같은 생각을 가지고 있으며, 내 나름대로 정의한 <스타뒷담화>의 역할에 대해 (적어도 나는) 가치판단을 하지 않았다는 것이다.


스타‘뒷’담화

누구의 아이디어인지, <스타뒷담화>라는 프로그램 명칭은 정말 기가 막히다. 네이버 사전의 정의에 따르면, “뒷담화 [―다마][명사,합성어] : 담화(談話)와 우리말의 뒤(後)가 합쳐져 생긴 말. 보통 남을 헐뜯거나, 듣기 좋게 꾸며 말한 뒤 뒤에서 하는 대화, 또는 그 말.” 이란다. 한마디로 ‘비공식적인 코멘트’라고 할 수 있다.

<스타뒷담화>라는 프로그램 명칭을 이용해 [온게임넷]은 두 가지 효과를 동시에 거둘 수 있다. 첫째는 [온게임넷]의 공식적인 입장이 아니라는 것, 그러므로 <스타뒷담화>에서 언급된 내용들에 대해 피드백 해야 할 의무를 지지 않아도 된다. 두 번째는 조금 더 노골적인 내용을 방송할 수 있다는 것, 따라서 주요 진행자인 엄재경 해설과 김태형 해설은 사석에서 나누었을법한(그리고 나누었어야 했을) 이야기들을 맘껏 쏟아낼 수 있다.

하지만 <스타뒷담화>는, 형식의 ‘뒷’담화를 표방하고 있지만, 내용의 ‘뒷’담화를 보장하지는 않는다. [온게임넷]이 제작, 배포하는 프로그램이라면 당연히 [온게임넷]의 입장을 대변해야하고, 엄재경 해설, 김태형 해설이 뱉어내는 수많은 컨텐츠들이 <스타뒷담화>의 담당 PD의 자체 검열을 거치는 이상, 이미 [온게임넷]의 의지를 품고 있다고 보는 것이 상식적이겠다. 이는 편집장이 신문의 방향을 결정하는 것과 다름 아니다.


마재윤@스타뒷담화

그럼에도 불구하고 팬들 사이에서 잡음이 들리는 이유는 엄재경 해설의 몇몇 의견들이 강한 어조로 비추어지기 때문인데, 최근의 ‘마신’ 사건은 이를 잘 반영하고 있다. 사실, 마재윤의 태생은 임요환-이윤열-최연성 라인과는 궤를 달리한다. 임요환과 이윤열 그리고 최연성의 스타성(경기력이 아니다)이 [온게임넷]에 그 뿌리를 두고 있는 반면, 마재윤의 이미지는 네트워크에 기반하고 있다.

마재윤의 ‘마에스트로’라는 별명, ‘성전’으로 불리우는 강민과의 대결, ‘마틀러’라는 학살자의 이미지는 모두 팬들의 창발성에 기대고 있다. 그동안 (주로) 엄재경 해설로부터 주어지던 ‘선수에 대한 기표’가, 열성적이고 참여 지향적인 팬들에 의해 이미 이루어져 있었던 것이다(그런 의미에서 스갤의 존재는 정말 대단하다고 밖에 표현할 수 없다). 우연인지 운명인지, 마재윤 선수는 이미 자신의 이미지를 완성시킨 상태에서 [스타리그] 본선에 모습을 드러내게 되었고, 선수에게 의미부여를 해야 할 [온게임넷]의 해설진들은 난감한 상황에 빠지게 되었다(사실 ‘마에스트로’라는 별명이 추상적이라는 말은 별로 설득력이 없다. ‘황제’, ‘영웅’, ‘괴물’, ‘운신’ 같은 단어들도 추상적이기는 마찬가지이기 때문이다).

짧든 길든, 특정 시간동안 아무런 방해 없이 브라운관을 향해 자신의 의견을 개진 할 수 있다는 사실은 엄청난 권력이다. 그런 의미에서 <스타뒷담화>는 그들의 의도가 어찌되었든, ‘솔직함’의 탈을 쓰고 팬들에게 권력적으로 작용하고 있다. 그런 과정에서, 팬들은 자신들이 만들어 온 마재윤의 이미지를 뒤틀기 위해, 그리고 그 이미지를 [온게임넷]이 수여했다는 역사를 만들기 위해 애쓰는 엄재경 해설의 몇몇 발언들에 대해 반발심을 가지게 되었고, 이는 팬들의 자긍심을 지키기 위한 당연한 반응이라고 볼 수 있다.


나도 뒷담화

마재윤과 이윤열의 대결에 맵의 유불리를 따지지 않겠다는 김태형 해설의 발언은 [온게임넷]의 보험쯤으로 생각해두기로 하겠다. <롱기누스2>가 1, 5경기에 쓰이고, <리버스템플>이 3경기에 포진되어 있는 작금의 상황을 충분히 이해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김태형 해설이 진심으로 한 말이라면... , 아니야, 아니겠지.

<스타뒷담화>가 [MBC게임]을 견제하든, [협회]를 향한 여론을 유도하든, “<스타뒷담화>가 초심을 잃었다”, 혹은 “[온게임넷]의 입장 표면을 위한 창일뿐이다”라는 비난은 필요치 않을 것 같다. 원래 프로그램의 의도가 그러하니까. 그게 좋은건지, 나쁜건지에 대한 가치 판단이야 자신의 소신대로 할 수 있겠지만.

아, 깜빡한게 있다. [신한은행 스타리그 season3]를 '본좌쟁탈전'으로 표현하는 장면에서는, 정말 민망했다.


한줄요약.
‘뒷’담화가 노리는 건 착한 팬들.


* 항즐이님에 의해서 게시물 이동되었습니다 (2007-02-21 18:54)
* 관리자님에 의해서 게시물 복사되었습니다 (2007-02-22 01:16)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07/02/21 18:26
수정 아이콘
B급 칼럼은 볼때마다 느끼지만 B급 좌파 김규항씨의 글들에 버금가는 명문이네요. 마재윤 선수의 별명과 관련된 엄재경 해설위원의 일련의 행동중 가장 큰 잘못은 팬들을 무시하는 행태라고 봅니다. 엄연히 팬들이 지어준 "마에스트로" 라는 별명을 자신의 마음대로 포스가 부족하다느니 애칭 수준이라느니 하면서 깍아내리고 꾸준하게 밀어대는 별명이 "마신". 마재윤 선수가 msl에서만 활약할때도 엄재경 해설위원은 마재윤 선수를 김준영 선수와 동급으로 놓고 프로리그 중계를 했죠. 온게임의 것이 아닌 것은 절대로 인정할 수 없다는 집념어린 아집마저 느껴지네요.
07/02/21 18:29
수정 아이콘
'뒷'담화가 노리는 착한팬이 되고싶지 않아요
07/02/21 18:29
수정 아이콘
엠겜은 정공으로 100분 토론형식을 취하면 더 재미있을듯
뒷담화 보다야 토론이 더 뽀다구 나니까.. ^^
애연가
07/02/21 18:31
수정 아이콘
뒷’담화가 노리는 건 착한 팬들 <= GOOOOOOOOOOOOOOD
애연가
07/02/21 18:32
수정 아이콘
homy님// 협회 게임단 감독 선수 해설자 모아서 100분 토론 했으면 좋겠다는 생각이 들어버렸네요. (시간은 무제한 토론으로)
벨로시렙터
07/02/21 18:32
수정 아이콘
각 팀 감독들을 모아다가, 맵 밸런스 개선에 관한 토론,
스타 패치권에 관한 토론...등등..


재미는 있겠군요 우하하하하
07/02/21 18:36
수정 아이콘
더 가관은 김태형 해설의 '팬들도 그렇게 생각할까?' 라는 부분이라고 생각되네요. (알면서... 말이야 사람들이;;;)
그리고 엄옹께선 착각하고 계신것중에 하나가 스타방송을 보는 주 시청자들은 여타 다른 스포츠 팬들하고는 다르다는것이죠. 매니아가 아니거나 엠겜을 보지 않는 사람도 있습니다만... 아마 스타중계 보는 시청자의 70%이상은 인터넷을 필수이건 아니건 자주 이용하는 사람들일 것이며 그들은 마에스트로가 '헌터x헌터'의 것처럼 강렬하면서도 또 한편으로는 엘레강스한 이미지라는 것을 지나가는 말이라도 한번쯤은 들어봤을 거라고 생각되네요.
07/02/21 18:36
수정 아이콘
토론 진행자는 MC용준 -_-
07/02/21 18:39
수정 아이콘
bianca 님// '아~~ 이재균! 이재균! 상대를 코너로 몰아붙이는 듯한 속사포~~~' 이런.. 토론 중계인가요 -_- (농담입니다.)
07/02/21 18:46
수정 아이콘
내가 ' 추게로~ ' 를 외치게 될 줄은......
07/02/21 19:03
수정 아이콘
아 멋진 글입니다 -_-bbbb
07/02/21 19:03
수정 아이콘
이건 B급이 아니라니까요..
즐겁게
07/02/21 19:06
수정 아이콘
추게로
남야부리
07/02/21 19:07
수정 아이콘
b=best...
로 알고있습니다만...
PsychoBox
07/02/21 19:14
수정 아이콘
아이고 속시원해 -_-; 추게로~
07/02/21 19:16
수정 아이콘
전 마에스트로가 헌터헌터 라는 만화의 그런거라는건 처음들어봤는데;
Pride-fc N0-1
07/02/21 19:16
수정 아이콘
.............ㅜㅜ 글쎄요 추게로? 음.... 안타깝네요 개인적으로는
그나저나 참 많은 이슈가 되네요. 스타뒷담화
07/02/21 19:17
수정 아이콘
한줄요약
'뒷’담화가 노리는 건 착한 팬들 <= 뒤집어졌습니다 으하하
sylent 님 사랑해욧
Eye of Beholder
07/02/21 19:17
수정 아이콘
마재윤 선수의 호칭 논란 뒤에는 온게임넷과 커뮤니티간의 헤게모니 (요 용어가 좀 부적절한데 마땅한 대체가 안떠오릅니다..) 싸움이 깔려 있다라고 예전에 댓글 단 적이 있는데, 역시 비슷하신 생각이네요.. 전 착한 팬은 아닌거 같긴 한데 그럭저럭 뒷담화는 볼만한 수준이기도 합니다. 워낙 어릴때 부터 각종 매체들의 자기 변호를 많이 봐서 인지, 한발짝 떨어져서 낄낄낄 하기엔 전 아직 괜찮은 프로라고 생각은 합니다.
07/02/21 19:17
수정 아이콘
이게 왜 여기있나요. 이글은 얼른 추게로 떠나고 다시는 이 게시판에서 이글을 읽고 싶지 않네요.
유이치
07/02/21 19:21
수정 아이콘
꼭 추게로..
Pride-fc N0-1
07/02/21 19:23
수정 아이콘
이게 왜 여기 있나요. 이글은 얼른 추게로 떠나고 다시는 이 게시판에서 이글을 잃고 싶지 않네요(2)
07/02/21 19:23
수정 아이콘
추게로 가버리세욧. 그리고 제목도 B급 말고 S급 안되나요 ^^;
07/02/21 19:25
수정 아이콘
짝짝짝.
07/02/21 19:27
수정 아이콘
오늘 멋진 글들을 너무 많이 봅니다.
무슨 날인가요.
기립박수를 치고 싶은 글을 읽었습니다.
ㅁㄴㅇㄹ
07/02/21 19:28
수정 아이콘
한줄요약 완전 공감
히로하루
07/02/21 19:28
수정 아이콘
수많은 사람들의 찬사가 쏟아지는 Sylent님의 B급 칼럼...
나름 객관적으로 읽어보려고 노력하고 있지만...


오늘의 한줄요약에서 정말 기립박수라도 치고 싶습니다.
정말 훌륭한 문장력이시네요.

추게로.
사탕한봉지
07/02/21 19:36
수정 아이콘
역시 글 잘쓰시네요~
제가 밑에 댓글엔 뒷담화 옹호발언(?)을 썼습니다만...
저는 어디까지나 마재윤 팬이 아니라서 약간 방관자적인
입장에서 바라본것이라~ 팬분들은 충분히 뒷담화를 보면서
비판적인 생각을 할수도 있다고 봅니다
그런데 따지고 보면 별명이란게 얼마나 이판에서 중요한거겠습니까?
마에스트로든 마신이든 마틀러든 그런 별명들이 지금 현재
마재윤 선수를 폄하하거나 그 포스를 못 느끼게 하는게 아니지
않습니까? 오히려 찬양 일색인 별명들 아닙니까?
이게 다 마재윤 선수가 지금 철철 넘치는 포스를 주체하지
못하면서 생기는 해프닝 같습니다

좁다면 좁은 이 판에서 그나마 있는 팬들끼리 감정상해가며
치고 받지는 말죠 ^^
07/02/21 19:40
수정 아이콘
한줄 요약 너무 사랑합니다!!!!!!!!!!!!!!
07/02/21 19:40
수정 아이콘
개인적으로 이번일을 얘기한 글중에 가장 공감이 가는 글이네요.... 글 정말 잘쓰시네요.....
07/02/21 19:41
수정 아이콘
저는 sylent님의 칼럼을 볼때마다, 반박하는 댓글이 가장 기대됩니다.
어떠한 안건에 대한 다각화된 시각을 키우는데 논쟁만큼 좋은게 없다고 생각이 들거든요.

아참 또
전 이런 완성된 글을 반박할 능력이 업ㅂ거등여~^^
라벤더
07/02/21 19:41
수정 아이콘
조용히.. 추게로~ :)
주말반
07/02/21 19:52
수정 아이콘
-_-b
07/02/21 19:55
수정 아이콘
제가 가장 지적하고 싶었던 말을 해주셨네요..

'뒷담화'라는 제목하에 뒷담화가 아닌 온게임넷 또는 해설분들의 의견을 마음껏 얘기하고도 면죄부를 받을 수 있다는 것..
저는 뒷담화를 보고 마음이 무겁더군요. 이런 경우에는 "리모콘은 이럴 때 쓰라고 있는거야."라는 말은 맞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속칭 '착한 팬들'에게는 말이죠...
어릴 적 정주영씨의 자서전을 읽으면서 막연히 '정말 대단하고 존경받아 마땅한 사람이다.'라고 생각하던 순수한 시절이 떠오르는건 왜일까요...
카고아이봉
07/02/21 19:59
수정 아이콘
추게로 꺼져 ~~~~


공감글이네요 ㅎ
김연우
07/02/21 20:01
수정 아이콘
sylent님, 본좌 드세요....
수퍼소닉
07/02/21 20:08
수정 아이콘
와우. 시원시원한 글이네요. 잘 봤습니다. 추게로 어여 가셔야죠.
냠냠^^*
07/02/21 20:12
수정 아이콘
이분이 마본좌와 함께 양대본좌.
07/02/21 20:14
수정 아이콘
이번주 뒷담화를 보면서 스스로 부끄럽지 않았다면
자신들이 늙었음을 부끄러워해야 할 겁니다
부끄러워야 할 것에도 부끄럽지 않음을 부끄러워해야 합니다

하지만 부끄러워하지 않을 것 같네요
07/02/21 20:19
수정 아이콘
정말 속시원하게 써주셨네요...
하고싶은말이 다써있습니다...

(마지막멘트는 압권이군요...-_____- )
林神 FELIX
07/02/21 20:20
수정 아이콘
추게로
AstralPlace
07/02/21 20:22
수정 아이콘
역시 B(est)급 칼럼니스트다우신 명글입니다.
주저없이 추게로!
07/02/21 20:26
수정 아이콘
흠.. 뭐 의견에 거의 끄덕끄덕 하긴 하지만..

뭐 그런게 있습니다. 주변에 스타하는 사람들중에 이런거 신경 안쓰고 그냥 스타만 하고 스타만 보는 사람들이 생각보다 많습니다. 제 주위엔 말이죠.. 저도 당연히 다른것 보다는 이런것에 신경쓰는 팬의 비중이 높다고 생각은 하지만..

비중이 음.. 전 높지 않아 보입니다. 왜냐하면 전 주변에 저처럼 이런곳에 들락날락 하는 사람들이 없으니까요. 스타 기가 막히게 하는 주변에 사람들이 제가 이런데 드나드니까 신기하게 보데요.. 어디냐고..

부스걸도 피식.. 글쎄.. 이 별명논란도 피식하지 않을런지.. 보통은 (과연 몇%?) 이라는 전제로 이 논란이 어떤 외침일지 살짝 궁금합니다.

만명중에 1명일지 만명중에 9000명일지..
07/02/21 20:30
수정 아이콘
그리고 논쟁이 벌이지는게 너무 비생산적이라 그냥 넘어갈고 맙니다.
감히 XXX를 XXX하다니..

저도 발끈 잘하지만.. 글쎄 이런건 좀..

갑자기 생각나서 공지사항을 살짝 복사해 봅니다.

(아래 10대는 10대+20대초반 통칭입니다..)

1.
10대들은 스타때문에 쓰는 총시간을 줄였으면 좋겠습니다.
스타는 마약과도 같은 중독성이 아주 강한 오락이기 때문입니다.
10대들은 pgr21에 가급적 안왔으면 좋겠습니다.
그 시간을 자기 자신을 계발하는 시간으로 가졌으면 좋겠습니다.
10대의 시간가치는 20대의 10배쯤 되리라 생각합니다.

10년, 20년후의 우리나라의 장래는 바로 여러분에게 달려있습니다.
바로 여러분들에게 썩을대로 썩은 대한민국이라는 나라를 짊어지고 가야할 사명감이 있기 때문입니다.
크게는 여러분들중에 블리자드를 능가하는 게임을 만들 인재, 빌게이츠를 울고가게 만들 인재가 나올수 있고,
작게는 저 봉사한다고 서로 설쳐대는 정치인들을 판별해낼수 있는 식견과 근거를 갖춘 소시민, 엄마, 아빠가 되어서,
앞으로는 이 나라에 허접, 쓰레기 정치인들이 발 붙이지 못하게 만들어야 하기 때문입니다.

10대들은 pgr21에 가급적 글쓰지 않았으면 좋겠습니다.
스타와의 중독성과는 별도로 pgr21도 나름대로의 중독성이 있습니다.
글쓰는 순간부터 인생이 말리게 될지도 모릅니다.(시간을 그만큼 더 쓰게 된다는 얘기입니다)
전 아무리 생각해봐도 10대 여러분이 쓰시는 그 시간에 대한 대가를 pgr21에서 줄수가 없습니다.

ps B급칼럽은 정말 잘 보고 있습니다. 정말 명필! 그냥 전 이렇군 저렇군 하고 넘어갑니다.
07/02/21 20:30
수정 아이콘
어제 생방으로 본 착한 팬 여기 하나 있습니다.
글 잘 봤습니다.
07/02/21 20:38
수정 아이콘
글 잘봤습니다. 다만 본문 내용보단 짜투리에 조금 이견을 들고 싶네요; 김태형 해설이 '맵의 유불리를 따지지 않겠다'는 말은 이해가 가거든요. 다른 무대도 아닌 대회의 가장 큰 무대이자 하일라이트인 결승전에서 어느 선수가 맵 때문에 졌느니, 이겼느니 할 수는 없는 것 아닐까요. 결승 무대에서 아, 마재윤 선수가 잘했는데 맵 때문에 졌군요~ 라고 하기엔;;; 이미 앞에서 리템이나 롱기누스2에서 많은 말들을 했던 상황이고 말이죠. 그리고 결승전이 본좌 쟁탈전인 건 사실이라고 보는데요. 물론 전 양대결승만으로 본좌 확정이라고 못 박아놨지만; 실제로 온겜 우승없이는 본좌 운운 못한다는 일부 사람들도 있고 이러니 저러니해도 마재윤=본좌의 화룡점정이 온겜 우승에 있는 건 사실이니까요. 이윤열 선수가 우승하면 마재윤 본좌X냐, 라고 절대로 생각하지 않지만 임요환 선수 이후 6여년 만에 2연속 우승을 달성한 이윤열 선수도 충분히 본좌 논쟁에 축으로 떠오를 수 있고요.(이러면 마재윤 절대 지존이냐, 마재윤-이윤열 양강이냐, 에 대한 논란이 무지하게 쏟아질 것 같다는) 전 이런 의미로 생각했거든요.

그나저나 저는 그다지 착한 놈이 아닌 것 같은데;;;
목동저그
07/02/21 20:57
수정 아이콘
당연히 추게죠 뭐ㅋ
07/02/21 21:08
수정 아이콘
본좌 쟁탈전에 대한 거 정말 공감가네요. 이미 현 본좌는 마재윤인 것이 자명한 것을 애써 본좌 쟁탈로 만들어 가다니요. 별명건보다 이 본좌 쟁탈전 건이 더 보기 거북했습니다. 안타깝네요. 뒷담화란 프로그램 이리보나 저리보나, 해설자들 안티만들려고 작정한 것 같아요.
큐리스
07/02/21 21:09
수정 아이콘
helize님의 댓글을 보니
스타뒷담화로 인해 두 해설위원이 부당한 인신공격을 받는 것보다는
차라리 프로가 폐지되는 게 낫겠다는 생각이 드는군요.
Dietrich
07/02/21 21:16
수정 아이콘
추게로~!!
속이 다 시원하네요.
델마와루이스
07/02/21 21:18
수정 아이콘
오늘 왜 이리 좋은 글들이 많이 올라와서 저를 두근거리게 하는지...
언제봐도 사일런트 님은 PGR의 보물입니다!
추게로~!!
Adrenalin
07/02/21 21:27
수정 아이콘
글쎄요... 저는 이미 뒷담화를 표방한 프로그램 자체에 이렇게 큰 무게를 실어버리는 것은 그리 바람직하지는 않다고 보는 입장입니다. 브라운관을 일정시간 점유하고 있는 것도 권력이지만, 그 화면을 가볍게 버튼 하나 눌러서 바꿔버릴 수 있는 것도 일종의 권력이 아닐런지.
불타는 저글링
07/02/21 21:48
수정 아이콘
저는 그래도 스타 경기가 끝난뒤 해설자들이 자유롭게 게임 뒷 이야기를 하는 그 모습을 보는것이 너무 좋습니다.
스타뒷담화 프로그램이 이런 팬들의 피드백을 제대로 받아들여서 앞으로 좀더 성숙한 방송이 되었으면 합니다.
07/02/21 21:51
수정 아이콘
진짜 너무 잘쓰신듯..
07/02/21 21:58
수정 아이콘
정말 글 잘쓰시네요 제가 하고싶은 말들만 골라서 넣어놓은것 같습니다

추게로~~!!!!
아레스
07/02/21 22:07
수정 아이콘
제가 쓸려고 한 내용이었으나,짧은 필력으로 어쩌지못하고있었는데..
sylent님이 시원하게 해주셨네요..
이런글 사랑합니다..
07/02/21 22:18
수정 아이콘
온게임의 '스타뒷담화'라는 프로그램의 성격을 너무 잘 나타내준 글이네요.
저는 엠비씨게임보다 거의 온게임을 시청하는 사람이고 마재윤 선수를 눈여겨 보게 된것도 최근이지만, 그동안의 마재윤 선수의 활약과 실력은 익히 들어왔고 잘 알고 있었습니다.
그런데 가끔씩 온게임에서 마재윤 선수를 은근히 혹은 대놓고 osl에서는 한번도 진출하지 못한 실력이 검증되지 않는 선수로 취급할때는 편협하게 보여지더군요.
마에스트로라는 별명을 부정하는 것도 그런 차원에서 느껴지기에 조금 부정적으로 생각됩니다.
이 글을 읽고 나니 정말 공감되네요.
정말 속쉬원한 글이자 상당히 날카로운 통찰력이 느껴지는 글입니다.
좋은 글 감사합니다~!!
XoltCounteR
07/02/21 22:30
수정 아이콘
최근 b급칼럼중 단연 으뜸이군요!
멋지고 쿨한 글 감사합니다.
니구려우동
07/02/21 22:47
수정 아이콘
역시 B(est)급 칼럼입니다.
Spiritual Message
07/02/21 22:57
수정 아이콘
스타뒷담화에서 이야기된 내용에 별 문제가 없다고 판단하고 있으므로, 오늘의 B급 칼럼에는 동감하지 못하겠습니다..
프리랜서
07/02/21 23:04
수정 아이콘
글 정말 멋지네요. 이런 글을 읽을 때마다 pgr 회원이 된 보람을 느낍니다. 추게로~!를 외칠 수 있게 되었으니까요.
천둥마재숭이
07/02/21 23:13
수정 아이콘
아르테니스님과 제 생각이 거의 비슷하군요. 그리고 옛날에 개콘의 청년백서란 코너였던가요? 거기서 끝날때 하는 말이 떠오르네요.
'개그는 개그일뿐~' 저도 그런 생각입니다. '뒷담화는 뒷담화일뿐'
뒷담화를 뒷담화로 보지않는 팬들때문에 매번 논쟁이 되는 것 같습니다.

이 글을 보니 예전에 무한도전을 굉장한 장문으로 해석하신 어떤 평론가가 떠오르네요. 그 글이나 이글이나 참 잘쓴 글은 맞습니다만 쭉 읽으면서 드는 생각은 '참 세상 피곤하게 산다' 였습니다. 그저 웃고 즐겼으면 거기서 끝내도 될것 같은데 가져다 정말 생선한마리 회쳐서 접시에 올리듯 분석의 칼날을 휘두른 것을 보면서 그런걸 느꼈습니다.

뒷담화를 보면서 사일런트님이 느끼셨을 불편함을 저역시 사일런트님의 글을 보면서 느낍니다. 뒷담화가 어떻다 뭐다 하지만 어떤 '의도'가 깊게 깔려있는건 사일런트님의 글도 똑같거든요.
07/02/21 23:16
수정 아이콘
통찰력이 느껴지는 참 좋은 글이라고 생각합니다. 읽으면서 공감도 많이 됐구요.

추게로~~!!!!
happyend
07/02/21 23:27
수정 아이콘
반박글을 써보자면....
...
없군요...
온게임넷 헤설진의 무게로 유지되는 뒷담화가 그 무게에 스스로 깔린 것처럼 보이더군요.어제 뒷담화를 보면서는 말이죠.
나름대로 파이터로서 마재윤에게 별명을 붙여주고 싶은 마음은 있지만...세기에 한번 나올까말까한 선수라는 극찬과 더불어 그에 걸맞는 별명으로 '마신'을 우기는 모습은 아이러니 합니다.
세기에 한번나올까 말까한 선수가 다른 모든 곳을 정복하고 마지막 남은 한곳,온게임넷을 정복하기 위한 등정에 올랐을 때....그걸 본좌쟁탈전으로 보는 것도 우습군요.
차라리
스타워즈가 나을듯....

암튼...
아래로부터 추앙받고 옹립된 '마에스트로 마재윤'에 대한 온겜의 위에서부터의 권위의 대결이 오늘 하루를 즐겁게 만들고 있습니다.
이렇게 제2의 스타크래프트 전성기가 오려나봅니다.마재윤과 함께
Grateful Days~
07/02/21 23:40
수정 아이콘
동의하지 못하는 B급카럼이 많았지만. 이번엔 1000% 동의 합니다.
도마뱀
07/02/22 00:01
수정 아이콘
글을 정말 잘쓰시네요. 너무 부럽습니다.
저도 본좌쟁탈전은 정말 너무 했다는 생각입니다.
07/02/22 00:13
수정 아이콘
크하하~ 속이 시원합니다.
Quartet_No.14
07/02/22 01:11
수정 아이콘
고기잡이글들도 어떠한 목적을 가지고 쓰여지는데, 칼럼을 표방한 글에서 어떠한 의도도 느껴지지 않는다면? 휴지통으로 가야죠~
sylent님의 이번글은 많은분들이 공감(저 포함)하시는걸 보니, 추게로 가야죠~
'개그는 개그일뿐' 이라고 외치는 개그맨에게 하고픈말, 에라이~ 사기꾼아~
07/02/22 01:28
수정 아이콘
완전 동감하는 글입니다.
진짜 속이 시원하네요.
특히, 마지막 한 줄은 대박~~
07/02/22 01:42
수정 아이콘
천둥마재숭이님 // 저는 재밌게 보고 있는데요. -_-a
07/02/22 03:22
수정 아이콘
흠.. 그다지....
일상다반사
07/02/22 03:28
수정 아이콘
왜 스타 뒷담화를 보고 기분이 상했었는지를 알 수 있군요.
전 착한 팬이 아니었네요..

좋은 글 잘 봤습니다.^^
히댕스
07/02/22 05:50
수정 아이콘
정말 글 잘쓰시네요 부럽습니다
뒷담화를 폐지하던지 엠겜에서도 맞불놓았으면 좋겠습니다
아케론
07/02/22 10:19
수정 아이콘
스타뒷담화 정말 재밌게 보아왔는데요.. 이번 본좌쟁탈전이란 말은 정말 어이가 없더군요.. 글 참좋네요!
sway with me
07/02/22 12:38
수정 아이콘
제가 착한 팬이었나 보군요.
저는 그다지 기분이 상하지 않던데요.

온게임넷이, 그리고 온게임넷의 해설진이 온게임넷 편향의 생각을 하고, 온게임넷을 대변하는 내용을 뒷담화에 은근슬쩍 끼워넣는 것에 대해서 전 '당연하다'는 생각이 들더군요.

마본좌에 대한 별명이야기나, 본좌 쟁탈전 이야기나 온게임넷 입장에서는 그렇게 생각하고 싶을 수도 있겠다 싶던데요.

뒷담화에 꼭 객관성이 필요할까요?
전 그냥 '오락 프로그램' 정도로 생각하고 있습니다.
07/02/22 13:11
수정 아이콘
sway with me/ 모두가 그렇게 생각하면 오죽좋겠습니까만은..
공인의 말한마디 한마디는 특히 방송매체에서 아무리 뒷담화라고 하지만
모두가 보는 앞에서 하는 말은 영향력을 가질수밖에 없습니다.
위에서 말씀하신 '착한팬들'에게는 그 영향력이 긍정적으로 다가올수밖에 없기에
온게임넷 주도의 여론몰이가 가능하다는것이죠.
그럴때 등장한 필력좋은 나쁜팬?(하하) 이 쓰신 글의 등장은
뒷담화의 피드백이 될것이고 온게임넷 자체에서도 방송 내용에 대해
다시한번 고민해볼수있는 계기가 마련될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일상다반사
07/02/22 13:44
수정 아이콘
sway with me//스타뒷담화란 프로그램이 잘못됐고, 잘됐고의 가치판단은 개인이 할 일이라고 본문에 나와 있죠. 프로그램이 나쁘다는 글이 아니고, 프로그램의 목적에 대한 글 정도인거 같은데, 그런 댓글을 다셔야 할까요?
sway with me
07/02/22 13:44
수정 아이콘
둥이님//네, 뒷담화가 가질 수 있는 영향력에 대해서는 저도 공감합니다.
sylent님께서 '착한 팬'이라고 언급하신 분들에 대해서는 더욱 말이지요.

하지만 뒷담화를 온게임넷의 입장을 대변하여 여론몰이를 하는 '언론'의 역할을 한다고 바라보지 않고, 단순히 '오락 프로그램'으로 생각한다면, 뒷담화의 내용에 대해서 조금은 편하고 차분하게 바라볼 수 있지 않을까 싶어서 몇 마디 적었습니다.

sylent님의 글의 내용에 고개를 끄덕이는 편이지만, 속 시원하다는 리플들을 보고서 적어본 글이었습니다. 뒷담화를 조금은 가볍게 바라보자는 뜻에서요.

일상다반사님//제 댓 글이 기분이 상하신 모양이군요.
좋다 나쁘다 라는 얘기를 하고자 한 것이 아니었는데,
뭔가 제가 표현상의 실수를 한 모양이군요. 죄송합니다.

sylent님 좋은 글 잘 봤습니다.
07/02/22 15:41
수정 아이콘
에.. 저는 나쁜 팬이었군요 허허

좋은 글 잘 봤습니다!
이왕이면 추게로!(응?)
07/02/22 15:44
수정 아이콘
이 분의 글은 언제나 타이밍이 좋네요. 적절하게 피지알 자체의 여론에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한창 싸움이 지나가고 팬들이 입장정리가 끝난 다음 다수의견이 가려워하는 시점에서 나타나 싼 티 나지 않는 어휘로 반대편이 얼핏보면 기분나쁘지 않게 글쓰시는 능력이 탁월 하십니다. 그동안 한치도 피지알의 다수 여론에서 벗어나지 않았고 문장은 까는 내용이면서 종국엔 판단을 확정하지 않고 흐리는 수법과 B급이라는 단어로 기득권에 대한 기본적인 젊은 스타팬들의 반발심리도 피해가셨구요. 님의 글을 잘 보고는 있지만 비급이라면 좀더 솔직했으면 좋겠네요.
07/02/22 16:17
수정 아이콘
//댄디님
예전엔 논란을 가져왔던 글도 여럿 있었습니다. sylent님의 B급 담론을 기다리는, 그리고 정독하는 사람들이 늘어남에 따라 점점 글에 무게가 생기면서 가지게 된 자연스러운 현상 아닐까 합니다. (실제로 B급 담론 초기글이나 이전글에는 좀더 가볍고 동의할수만은 없는 글들도 많습니다) 그리고 무엇보다 이런 글이 있어 PGR에 오는 즐거움이 있지 않나요? ^^ 기분에 따른 가벼운 댓글로 혹시라도 잃고 싶지 않은 소중함입니다. 계속 계속 오래오래 써주셨으면 합니다.
07/02/22 16:52
수정 아이콘
/Jacob 그렇다면 이분의 글이야말로 정체성을 잃은 것이군요.
07/02/22 17:41
수정 아이콘
댄디님 // 어느정도의 솔직함이 '정체성'을 보장하는지는 잘 모르겠습니다만, 그리고 제가 '정체성'을 지켜야하는 이유도 잘 모르겠습니다만, 저는 영리를 목적으로 글을 쓰는 사람이 아니라는 사실을 알아주셨으면 좋겠습니다. 저는 [온게임넷][MBC게임]을 즐겨보는 팬 중의 한 명일 뿐이며, [스타리그][MSL]에 관한 이야기를 나누고 있을 뿐입니다.
07/02/22 19:22
수정 아이콘
난 그저 착한팬.. 그냥 재밌게 보고 삶의 활력소가 되면 그만이라고 생각합니다. 근데 날 노리는게 뒷담화라고 단정지으니까 기분이 썩 좋진 않네요.. 하긴 뭐 이런 저런 글의 표현으로 본인이 행복하시다면.. 할 수 없죠
레이싱보이
07/02/23 00:24
수정 아이콘
'뒷담화'가 재미있는 이유는 특유의 '오버'때문이지요.

아무래도 사석의 이야기에는 '오버'가 들어가야 제맛이니까.

이 글도 제 생각으로는 거기에 버금가는 '오버'가 있습니다.

그래서일까. 흥미진진한 글 잘 읽었습니다.
07/02/23 10:21
수정 아이콘
//댄디
재주있는 이가 발판을 딛고 더욱 성장하는 것을 즐겁게 감상할수 있는 여유가 조금쯤은 아쉽습니다.^^;;;
07/02/23 13:47
수정 아이콘
/sylent 적어도 '순진하고 방송에 현혹되는 바보같은 팬'을 '착한 팬'이라고 하지는 않으셔야죠. 상업적인 글이 아니라고 해서 글씀에 있어서의 책임이 없는 것은 아니자나요? 본인은 특정대상을 비판하면서 막판에 판단을 흐리게 하고 은근 슬쩍 돌려말하여, 다른 의견을 가진 사람들의 의견을 막아버리는 건 좀 비겁한 것 아닌가요?
07/02/23 14:09
수정 아이콘
댄디님 // 그렇게 생각하실 것 같아서 '순진한 팬'이라는 표현을 쓰지않고 '착한 팬'이라고 적었던 겁니다. 덧붙여, "다른 의견을 가진 사람들의 의견"을 피력하시면 됩니다. 그리고 제가 중도적인 입장을 취해야할 이유도, 제가 무엇에 대해 '책임'을 져야 하는지도 잘 모르겠습니다.
07/02/23 16:46
수정 아이콘
/sylent 그런 뜻으로 사용하신걸로 판단되는데 굳이 착한 팬이라고 적은 이유는 무엇인지요?. 중도적인 입장을 취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제 말은 중도적인 입장이 아니면서 왜 중도적인 입장인척 하시는지가 의문이라는 겁니다.
07/02/23 21:55
수정 아이콘
댄디님 // 이 글의 어느 부분이 "중도적인 입장이 아니면서 중독적인 입장인척"한건지는 말씀해주셔야 얘기가 되죠. -_-
07/02/25 19:29
수정 아이콘
sylent님
"[sylent의 B급칼럼] 마재윤 " 에 대한 칼럼은 볼수 없을까요..
벌써 올리셨는지 그를 어떤 저그라 생각 하는지 sylent님의 글을
보고 싶다는 생각이 듭니다.
(마재윤 선수의 플레이를 별로 맘에 안들어서 글을 안올리시는건지??)
07/02/25 23:10
수정 아이콘
글쎄요..
저는 저희가 한 개인의 생각과 말에 너무 많은 의미를 부여하는건 아닌지 하는 생각도 해봅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464 엄재경 해설위원의 음악용어 언급 [37] 66v13921 07/02/24 13921
463 Welcome to the New World [25] kama9196 07/02/24 9196
462 내 삶의 게이머(4) - 완성, 그리고 그 뒤 [6] IntiFadA8010 07/02/22 8010
461 happyend - 나이더스 커널의 비밀 [83] 김연우17118 07/02/21 17118
460 논쟁@토론 그리고 잡다한 이야기 [12] 永遠그후7379 07/02/21 7379
459 [호미질] 사물놀이와 해설 [21] homy10435 07/02/21 10435
458 Maestro, SaviOr Walks On Water [37] 항즐이10799 07/02/21 10799
457 [sylent의 B급칼럼] 마재윤@스타뒷담화 [92] sylent14433 07/02/21 14433
455 마재윤vs진영수<곰TV배 4강전 5경기> - Longinus II [46] 김연우13236 07/02/19 13236
454 PGR, 피지알러들에 대한 믿음 [34] probe7771 07/02/20 7771
453 스타리그, 저그의 한(恨)은 아직 남아있다. [38] 엘런드10357 07/02/19 10357
452 그래봤자말입니다. 어차피요. [21] My name is J10614 07/02/18 10614
451 홍진호 ( 부제 - 폭풍은 다시 불 것이다. ) [35] 종합백과12348 07/02/17 12348
450 마지막 GG가 울려퍼질 때 [5] 블러디샤인9946 07/02/16 9946
449 내 기억속의 투신. [28] JokeR_10082 07/02/16 10082
447 Thank You. Savior. [53] SKY9211797 07/02/15 11797
446 '이윤열' 과 '한동욱'의 대화 [7] Timeless14355 07/02/15 14355
445 팬이니까요. [13] JokeR_9503 07/02/13 9503
444 PGR21 보물지도 [44] NavraS11850 07/02/11 11850
442 안석열 선수. [34] Finale13415 07/02/11 13415
441 강민, '자만'보단 차라리 '실력' [11] 라울리스타10850 07/02/10 10850
440 [sylent의 B급칼럼] 이윤열 다시보기. [48] sylent12824 07/02/09 12824
439 광통령, 그리고 어느 반란군 지도자의 이야기 [59] 글곰13751 07/02/09 13751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