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Date 2007/01/13 23:12:01
Name sylent
Subject [sylent의 B급칼럼] 강민, 빌어먹을.
[sylent의 B급칼럼]은 월드컵보다 스타리그를 좋아하며, 지루하기 짝이 없는 물량전 보다는 깜짝 아이디어가 녹아있는 ‘올인’ 전략에 환호하는 sylent(박종화)와 그에 못지않게 스타리그를 사랑하지만, 안정적인 그리고 정석적인 플레이 스타일이 정착되는 그날을 꿈꾸며 맵과 종족의 밸런스에 대한 엄격한 기준을 강조하는 왕일(김현준)이 나눈 스타리그에 대한 솔직담백한 대화를 가공해 포장한 B급 담론이다.


[sylent의 B급칼럼] 강민, 빌어먹을.

2007년 1월 11일, 지난 목요일, 오후 6시. 안산에서 모든 교육 과정을 마친 나는, 차를 모는 사장님을 재촉하기 시작했다. 선릉에 도착하자 7시 즈음, 식사와 간단한 회의를 마친 후 빠른 발걸음으로 선릉역을 향했다. 이번 ‘성전’ 만큼은 이 두 눈으로 똑똑히 봐주리라. 코엑스를 헤집고 [MBC게임 히어로 센터]에 도착 했을 때, 서지훈의 레이스가 원종서의 배틀크루저 편대에 녹아내리고 있었고, [MBC게임 히어로 센터] 입구에서는 이재호와 (마재윤을 닮은) 소녀 팬이 기념사진을 찍고 있었다. 이재호의 팬들은 “이재호 잘생겼다!”를 연이어 외쳤고, 이재호는 팬들의 환호에 특유의 멋쩍음으로 답했다. 그리고 ‘성전’은 시작되었다.


광렐루야!

[MBC게임 히어로 센터]는 이미 만원이었다. 하지만 이대로 물러날 수는 없었다. 나는 경기가 아닌 ‘성전’의 역사를 체험하기 위해 왔기 때문이다. 사람과 사람, 남자와 여자 사이를 비집고 몸을 밀어 넣었다. [MBC게임 히어로 센터]의 수많은 팬들이 뿜어내는 열기 덕분에 이마에 맺힌 땀방울을 훔쳐야했다. 정상적인 위치에서는 선수의 얼굴과 화면을 모두 볼 수 없을 것 같아, 뒤쪽 벽에 비치되어있던 사다리 위로 올라섰다. 언제 넘어질지 모른다는 긴장감과 구부정한 자세는 나를 '근육 경련'으로 몰고 갔지만, 기꺼이 참았다. ‘성전’이기에.

강민 팬클럽의 일원으로 보이는 남자 팬이 관중들의 응원 방향을 조정했다. “여러분! 강민, 하나, 둘, 셋! 하면 ‘광렐루야!’하고 외쳐주세요~”. 관중들이 미덥지 않았는지, 그 남자 팬은 여러 차례에 걸쳐 자세한 설명을 외쳤다. 그리고 나를 포함한 관중들은 그 남자 팬의 예령에 이어 힘차게 외쳤다. “광렐루야!”


강민, 빌어먹을.

강민의 두 번째 게이트웨이 건설을 확인한 후, 나는 ‘2게이트 질럿 푸시로 타격을 주지 못해도 상관없다. 안전하게 앞마당을 확보하고, 생산해 둔 질럿으로 저그의 세 번째 자원을 친다. 만약 실패하더라도 최소한의 커세어로 뮤탈리스크 견제를 막아내고, 병력 충원하면서 멀티 수를 맞춰주면 충분히 할 만 하다’고 생각했다. 그리고 강민의 플레이 역시 물 흐르듯 그렇게 흘렀다. 단 한순간, 커세어가 강민의 본진을 비우기 전까지는.

지난 2006년 11월 5일, [SKY 프로리그 2006 후기리그]에서 마재윤은 박정석을 ‘같은 방법’으로 잡아냈다. 강민은, 팀동료 박정석이 당했던 것과 ‘같은 방법’으로 본진을 포기해야했다. 어이없는 실수였다. 커세어를 보유하고 있다는 사실이 뮤탈리스크의 공습으로부터의 자유를 보장해주지 않는다는 것을 잠시 잊었을까? 마재윤은 경기를 길게 끌지 않았다. 경기가 끝난 뒤, 강민은 모니터를 바라보며 얇은 미소를 짓고 있었다. 내 인내심은 여기까지였다.

‘강민, 빌어먹을! 내가 너를 응원하기 위해 대전에서 왔단 말이다. 오늘을 ’축제‘라고 생각했단 말이다. 너를 프로토스의 ’희망가‘라고, 너야말로 프로토스의 ’혼‘이라고 떠들었단 말이야. 이런 내게 고작 이런 경기밖에 보여줄 수 없다는 말이냐!’ 나는 약 1초가량, 강민에게 실망했다.


강민에게 기대하는 이유

나는 특정 선수의 팬이 아니다. 나는 언제나 동시대를 지배하는 절대강자를 좋아한다. 그리고 그들이 굳힌 체제를 전복시키는 혁명가들을 함께 좋아한다. 그래서 임요환과 이윤열, 최연성을 좋아했고 요즘의 마재윤에게 푸~욱 빠져있다. 나는 적어도 이번 ‘성전’ 만큼은 강민만을 응원했다. 나는 마재윤을 꺾는 프로토스가 존재한다는 사실을 확인하고 싶었고, 마재윤을 꺾을 수 있는 프로토스는 강민 밖에 없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엄청난 생산력을 뽐내는 프로토스 플레이어는 적지 않다. 하지만 내가 강민에게 기대를 거는 이유는, 프로토스가 저그와 ‘힘’으로 맞서서 이길 확률이 작기 때문이다. 특정 타이밍 이후부터, 프로토스의 병력은 산술급수적으로 충원되는데 비해, 저그의 병력은 기하급수적으로 쏟아져 내린다. 조용호, 박성준, 박태민, 마재윤에게 얼마나 많은 프로토스 플레이어들이 눈물을 흘렸는지, 우리는 기억하고 있다. 프로토스의 지상 병력이 아무리 많아도 성큰 콜로니에 대한 부담은 줄어들지 않는다. 프로토스가 맵의 중앙을 놓고 벌인 대규모 전투에서 저그에게 패한다는 것은 (예외적인 경우를 제외하면) 경기를 포기한다는 것과 다름 아니다.

저그를 상대하는 프로토스는 전략과 전술의 변주를 통해 정상적인 경기 흐름을 뒤틀어야 한다. 저그의 빌드는 꼬이고, 프로토스의 테크트리는 쉴 틈 없어야 한다. 그래서 프로토스는 ‘머리’를 써야한다. 그리고 내가 아는 모든 프로토스 플레이어 중 가장 ‘머리’를 잘 쓰는 선수가 바로 강민이다.

그래서, 마재윤에게는 미안하지만, 네 번째 ‘성전’이 성사된다면, 나는 다시 한 번 강민을 응원해 볼 셈이다. 이번 경기에서 잃은 것들을 어떻게 끌고 가 조화시킬지 지켜볼 셈이다. 강민이 프로토스 속으로 한 발 더 들어갈 수 있는지에 대한 가능성을 타진해 볼 셈이다. 선수는 말이 아니라 경기로 말해야 하는 사람이니까, 이번 경기에서 아쉬웠던 점들을 다음 경기에서 답변할 수 있는지 두고 볼 셈이다.

강민, 빌어먹을! 그러니까 다음에는 꼭 이겨라.




* anistar님에 의해서 게시물 복사되었습니다 (2007-01-16 18:23)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07/01/13 23:13
수정 아이콘
후..... 강민.... 제발!!
카이레스
07/01/13 23:15
수정 아이콘
허무한 경기였지만....그래도 강민이니까 지켜보고싶네요.
sylent님 정말 아쉬우셨겠습니다;
Sophie~♡
07/01/13 23:17
수정 아이콘
저도 사실, 강민 선수의 팬은 아니지만.. 자꾸 응원하게 되더군요.
영화나 만화를 볼때 주인공을 응원하게 되는 마음이랄까?
Qck mini
07/01/13 23:19
수정 아이콘
'그래도 강민, 그래도 강민' 한지도 3번째네요...
하지만 또만나도 '그래도 강민이니까' 라고 할겁니다.
물론 만원빵하라면 마재선수에게....
체념토스
07/01/13 23:24
수정 아이콘
흠.. 그날 사다리쪽을 둘러볼수 있었다면.. Sylent님을 볼수 있엇겠군요
07/01/13 23:26
수정 아이콘
강민의 도전기는 앞으로도 계속 될거라고 믿습니다. :)
마재윤에게만큼은 지더라도 나머지 게이머들에게는 MSL에서 '절대' 안지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거든요.
계속해서 강민은 마재윤에게 도전할거라 생각하고, 그 전쟁의 마침표는 필연적으로 강민의 승리라 생각합니다.

좋은 글 잘 읽었습니다.
07/01/13 23:46
수정 아이콘
흠.... 여하튼 강민 선수, 마재윤 선수 덕분에 저그전 성적표에 1패,1승 3패,1승 3패,1패 총 8패가 MSL에서 찍혀 버렸군요. 20%의 승률...
보노보노
07/01/13 23:54
수정 아이콘
플토팬들이 강민하게 기대하는 마음은 정말 큰 것 같습니다. 제 주위에도 강민팬이 여럿 있고요..^^; 하지만 아무리 그래도 마재윤 선수는...
07/01/14 00:13
수정 아이콘
저두 대전사는데… 대전 어디사세요?
김영대
07/01/14 00:28
수정 아이콘
글 잘 읽었습니다.
저 역시 절대강자와 혁명가를 좋아합니다. 하하
타인의하늘
07/01/14 00:37
수정 아이콘
결승전에서 4차 '성전'이 이루어지길 기대합니다!
07/01/14 00:47
수정 아이콘
크크. 웃으면 안되는 상황인데 그 허무함을 상상해보니 너무 웃기네요. 집에서 본 저도 그렇게 허무할 수가 없었는데 말이죠.
07/01/14 01:06
수정 아이콘
오 저두 대전 사는데...반갑네여.
언젠가는 꼭 이겨주길 바랍니다. 그때까지 응원할테니 부디 그 언제란 시간좀 땡겨 주세여.
경기때 마다 안타까움에 아주 속이 탑니다.ㅜ.ㅜ
높이날라
07/01/14 02:52
수정 아이콘
결승에서 만나서 꼭 우승하길... 광렐루야~~~
07/01/14 03:38
수정 아이콘
저도 경기 보면서 블리츠에서 박정석의 재경기(박영민과 무승부 이후) 오버랩 되었었는데..
마재윤 참 대단하다고 생각했던 것이..
커세어 모일 틈을 안주더군요. 모일만 하면 전투를 할 수 밖에 없게 만들어서.. 스컬지로 간단히 숫자를 줄여주는..
게다가 4가스를 먹었으니..
뮤탈이건 럴커건 저그는 마음 먹은대로 할 수 있는 상태구요..
강민이 본진 넥서스 깨졌을 때 왜 gg안하는지 궁금했었답니다..
07/01/14 05:09
수정 아이콘
음하하 임요환 선수건 강민선수건 ㅡㅡ;; 임요환보선수보다 더 잘하는 테란유저도 많고 강민선수보다 더 잘하는 프로토스 유저들이 많지만 항상 고난 앞에서는 두종족의 팬들은 이 두선수들에게 많은 기대를 하시는군요 ~ 종족을 대표하는 타고난 전략가이기 때문에 그런지 몰라도 ㅎ
이강호
07/01/14 05:28
수정 아이콘
혀니님 강민보다 잘하는 플토가 지금 누구있죠 -_-? ..없는데..
오영종선수라고 말하신 난감합니다 -0-
설탕가루인형
07/01/14 08:39
수정 아이콘
광렐루야!! 하는 팬들의 응원이 뭔가 짜릿하더군요.
색다르기도 하고, 멋지기도 하고.
07/01/14 14:50
수정 아이콘
허허 대전사시는 분들이 많네요 반갑습니다 ㅎ
07/01/14 15:07
수정 아이콘
이강호// 제가 말하는 잘한다는 표현은 강민선수나 임요환 선수보다 물량도 잘 뽑고 타이밍도 잘잡고 확장도 잘하며 게임에서 이기는 법을 아는 선수들을 말하는 것입니다. 그런 선수들은 있지만 항상 무언가를 기대할떈 이 두선수에게 기대하더라구요 ㅎ
열씨미
07/01/14 18:04
수정 아이콘
혀니님//그러니까 그런 선수가 누구인지요..;; 테란진영이야 뭐 워낙 이윤열, 최연성 이후 전상욱 등등 괴물같은 선수들이 계속 존재해왔으니 임요환선수의 예야 그렇다고 쳐도 프로토스 진영에서 강민선수보다 잘하는 유저라..선수들이라고 복수지칭할만큼 많은 선수가 비교되기도 불가능해보이고, 몇몇 생각나는 선수를 생각해봐도, 여러 기량을 종합평가할때 강민선수보다 잘한다고 확실히 말할만한 선수는 모르겠는데요..누구를 생각하고 말씀하신건지
이뿌니사과
07/01/14 18:11
수정 아이콘
정석선수 팬이긴 합니다만, 그래도 다전제에서 마재윤선수를 이길 프로토스로는 강민선수가 그나마 제일 가능성이 있어 보입니다. 정석선수 분발하세요ㅠㅠ
고질라
07/01/14 21:26
수정 아이콘
정말 대전분들 많네요. 한번 모일까요^^
썬더치킨
07/01/14 22:22
수정 아이콘
음... 마재윤 선수의 3경기 맵으로 봐서는
두 선수가 8강 최종전에서 조우할 수도 있겠군요...;;
샤이닝토스
07/01/14 23:07
수정 아이콘
그 사다리에서 보신 분이 Sylent님이셨군요.. 전 그 사다리옆 나무판 쌓아둔곳에서 봤는데.. 참 여러모로 아쉬움이 큰 경기..후..
여자예비역
07/01/14 23:38
수정 아이콘
후.. 네번째가 되도.. 여전히 광렐루야~
구본광
07/01/15 23:52
수정 아이콘
허허. . 대전사시는분이 많군요 ..
음 .. 저 역시도 4차성전에서 .. 광렐루야 ~
07/01/17 01:35
수정 아이콘
대전 정모 하는데 한표 살며시 던지고 갑니다. ^^
(to sylent : 어쩐지 그래서 늦게 내려왔구만. -_-; 배신자!!!)
하늘소망
07/01/17 03:59
수정 아이콘
강민보다 잘하는 플토가 있었나요?
요환아사랑한
07/01/17 15:56
수정 아이콘
현재까지 통틀어서 강민보다 뛰어난 기량을 보여줬던 선수들은 많습니다.
현재 강민보다 잘하는 프로토스라.. 글쎄요?
07/01/17 18:55
수정 아이콘
전 평택에서 올라왔는데..... 설마 그분이 사일런트님이였나... 제 치어풀은 보이지 않아서 버로우였습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438 최연성 이기는 법은 알고있다.그러나?? [43] 67675615573 07/02/07 15573
437 이재훈 선수... [31] 강량11331 07/02/07 11331
436 마재윤과 전상욱, '본좌'와 '4강 테란'인 이유 [27] 라울리스타17644 07/02/04 17644
435 강민의 MSL 4강을 앞두고... 강민의 옛 경기들을 추억해봅니다. [48] New)Type13834 07/02/03 13834
434 [sylent의 B급칼럼] 전상욱의 매너리즘? [37] sylent12797 07/02/03 12797
430 단편적인 생각 : 한 명장과 홍진호 [18] 소현10187 07/02/01 10187
429 나를 일으켜 세워준 임요한(?)환(!) [22] 앤디듀프레인10721 07/01/30 10721
428 조금 더 솔직해졌으면 좋겠습니다. [9] 앤디듀프레인9994 07/01/30 9994
427 더블커맨드와 3해처리 [81] 김연우16305 07/01/29 16305
425 2007 W3 개막기념 크리티컬 스트라이크(수정) [28] 제니스9199 07/01/18 9199
424 회원님들은 아마 앞으로도 좋은 글 계속 쓰셔야 할 겁니다 [23] CrystalCIDER11907 07/01/23 11907
423 실수 또는 약해짐에 대한 보고서... [14] 네로울프9128 07/01/24 9128
422 MBC게임 HERO, 발전된 팀모형을 제시하다. [24] 구름비10441 07/01/21 10441
421 As good as it gets [16] 연아짱8994 07/01/21 8994
420 7경기 박태민 vs 염보성 in 신백두대간 허접한 분석. [37] 초록나무그늘13412 07/01/20 13412
419 Best Highlight Of 2006 Starcraft [44] 램달았다아아11103 07/01/18 11103
418 담임선생님께 편지가 왔습니다.. [17] caroboo10978 07/01/17 10978
417 투신鬪神이 유일신唯一神을 증명하던 날 [26] 초록나무그늘12442 07/01/16 12442
416 The Captain Drake_The POS_MBC game Hero.. [42] kimera8536 07/01/09 8536
415 사랑합니다! 나의 스타리그! [17] NavraS9678 07/01/14 9678
414 이런저런 '최다' 이야기. [16] 백야9359 07/01/14 9359
413 [sylent의 B급칼럼] 강민, 빌어먹을. [31] sylent13182 07/01/13 13182
412 [설탕의 다른듯 닮은] 마본좌와 킹 앙리 [26] 설탕가루인형10817 07/01/13 10817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