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Date 2006/07/21 01:12:56
Name Yang
File #1 (2)Hourglass.zip (195.3 KB), Download : 210
Subject YANG..의 맵 시리즈 (12) - Hourglass
Hourglass v1.0



플레이어 : 2명
맵타일 : 스페이스
플레이 성향 : [개방형] [수비형] [난전형] [거점지배형]
Make : [Angel]Nakoruru
Special Thanks to Mannerism


* 대놓고 수비형.

저는 스폐셜리스트의 팬입니다.
제 자신이 스폐셜리스트이기도 하고 (이건 반쯤은 오만) 기본적것을 배제하지 않은채
자신만의 스타일을 확립한 사람과 창초물을 좋아합니다.

그래서 가장 좋아했던 프로게이머는 조정현 선수이고,
가장 좋아하고 있는 프로게이머는 강민 선수입니다.

이번맵은 대놓고 수비형과 난전.. 그리고 운영. 멀티태스킹, 거점장악과 방어능력을 중시하기 때문에

강민 선수에게 드립니다.


* 모래시계의 시간은 유유히 흐른다.

맵 이름은 아워글래스.. 모래시계입니다.

모래시계는 일반적인 시계와는 다른특성을 지니고 있습니다.
시간이 표시되지 않으며, 한정적인 시간을 표시하며
시간의 흐름이 눈에 보이고, 시간의 흐름을 조정할수 있다는것.

자. 무슨맵인지 눈에 보이시나요?

뭐 맵 자체도 모래시계처럼 만들었습니다. (난 이런 디자인을 좋아해요. 씨익)



으아아...

너무할 정도입니다.
이것도 외우려면 골치꽤나 아프겠죠.

간단하게 외우는건.. 양 사이드 라인이 두개로 갈라지고...
센터라인이 원형라인이라는거.. 크게 세가지 라인이라는것만 기억하시면 됩니다.


<본진>


미네랄 : 9덩이 (1500*9)
가스 : 1개소 (5000)

뭐 별로 특이할것도 없는.
적당히 넓은 본진입니다. 요즘은 좁은 본진에 칼을 너무 많이 맞아서 아예 넓게 넓게 만들어버립니다.

본진 미네랄 뒤의 공간이 약간 예외적인 구조랄까.



본진 입구는 이런식으로 막힙니다... 그런데 방어하기가 쉽지 않은 식이죠..
바깥에서 때리는게 훨씬 편하다보니까...
수리하면서 막는것도 꽤나 귀찮습니다..



...입구 수비가 잘못되면 이런식으로 뻥~ -_-;
전진게이트 압박입죠.. 앞마당 설명할때도 설명하겠지만요.


그렇다고 테란이 입구를 안막으시면...



질럿 캐논 무섭습니다. -_-; 여기도 전진게이트 ;;
뭐 방어는 튼튼히.


<앞마당>


미네랄 : 7덩이 (1500*6 + 500*1)
가스 : 1개소 (5000)

미네랄 한덩이는 루나식 500 한덩이.

어차피 이맵은 러쉬거리가 어느정도 되다보니까...
아~주 일반적으로.



어느종족이건 더블이 가능하죠.
근데 이 더블이.. '공짜~'는 아닙니다. 공짜 좋아하면 대머리 됩니다. ^^

일단 방어해야할 권역이.



한 이정도 넓이 쯤 되나... 심시티가 중요합니다.
저그는 크립이 약간 넓어지면 성큰 그냥 박으면 되고...2햇 방어가 되긴 된다는 거죠.
프토나 테란은 건물로 잘 막아서 더블방어를 해야겠죠...

테저전에서 테란의 특성상 더블이 잘 안되는 이유가 프토와는 다르게 방어건물의 집중도가 약해서..
오히려 이런점이 밸런스 조정에 영향을 주었습니다.

뭐 수비형을 방어를 한다고 해도..



이런식의 원거리 유닛의 가스타격이 일단 됩니다.. 여기도 러쉬로니까..
저길 장악당하면 괴롭죠. 가스만 못캐도 문제가 되는것은 더블의 의미가 사라지니까요.. ;;

게다가 안심하고 먹다가는...



이런식의 전진건물이라던지....



이런식도 가능하다는거죠..
즉.. 더블을 '대놓고 째기'는 힘들다는 겁니다. 게다가 몰래건물할곳이 정말 많으니...
본진때도 설명했지만 본진만 막는데도 뚫릴수도 있는데 더블을 그냥 생으로 하기에는 두렵죠.


<제2지상멀티>


미네랄 : 6덩이 (1500*6)
가스 : 1개소

여기가 두번째.
이걸로 수비형은 완성됩니다. 딱 여기까지. (일단은.)

하지만 이맵이 알포인트와는 다르게 단호하게 수비형이 아닌 이유는..



이 주력 러쉬로에 이어지는 중간길입니다. 즉..
'지원군차단' + '멀티포위공격'이 가능하다는 것이죠. 그래서 수비형을 하려면 철저하게 해야합니다.
막고 싶다면 말이죠. 훗.

여기서도 전진건물의 압박이 나오는데....



3햇펴다가 걍 전진게이트 건물에 3번째가 날아갑니다.. 뮤탈이 있건 없건 그냥 스피릿! 에볼루션!



게다가 상대는 교두보까지 마련해버렸습니다... 이걸 무슨수로 깨나...
이런식의 전략적인 교두보를 위한 전진건물도 존재한다는것이죠.


<제2언덕멀티>


미네랄 : 8덩이 (1500*8)
가스 : 1개소 (5000)

오히려 이쪽이 더 가깝고 먹고 싶을정도로 자원이 많은 언덕의 멀티입니다.
여기까지가 본진을 둘러싸는 네곳의 멀티입니다.

물론 여기도 약점이 있다면...



들어올수 있는 길이 두곳. (이긴 해도 실제로 저쪽라인은 가깝다는걸까..)
그리고 여기를 막으면 센터 드랍이 들어옵니다 ;;

이 멀티의 넓이가 상당히 넓어서 '전부'방어 할수는 없는 노릇이죠. 그렇다고 섬형식이라서 드랍을 아주 쉽게 방어할수 있는것도 아니고... 뭐 이런 위험이 존재하는겁니다.

그리고 본진에서 올라가는 언덕길은...



이런 형식입니다. 음.. 운교라고 해야할까요.
일반적인 언덕이랑은 다른것이 시야차폐-랜덤데미지.. 즉 언덕효과가 없습니다.
그 이유는 당연한것이.. 성벽에 사다리 놓는다고 언덕이랑 같은 판정을 받는게 아니니까요. ^^
이런 명분을 붙여놓는것이 '다리'싱크로율이 약간 안좋은 것에 대한 변명..이랄까요.. 훗.
(사실은 도개교..로 붙여놨는데.. 그럼 언덕같은게 설명이 안되어서.. 운교로 명분교체.. ;;)


* 대세는 수비형? 수비형만 하면 지는게 당연하다.

물론 이맵은 수비형 최적화가 되어 있는 맵입니다.

수비형을 하라고 만들기도 했고 말이죠. 하지만 수비형이 절대가 되어서는 게임이 루즈하게 질질질~
끌려갈수밖에 없습니다. 그래서 저 4개의 멀티 말고도 멀티가 여섯곳이나 더 있습니다.
2인용 치고는 대단히 부자맵이란말이죠. 그렇다고 그 멀티도 방어하기 쉽다면 그쪽도 수비형이 되니까..
최소한의 방어의 어려움은 언제나 줘야하는것이죠.



3시-9시측의 미네랄 멀티 뒷편... 견제하기 아주 쉬운 구조에다가 공격로가 넓어서 개방멀티입니다.

그런데도 먹는것은 역시나 '공격교두보'인데다가 나와 상대간의 거리가 '거의 반'쯤 되는 공간이니까...
저지선을 앞에다 쌓는것은 언제나 전투에 도움이 되는것이죠.

수비형에 대한 답은. 남은 멀티가 많고. 상대도 자원을 먹고..



캐리어 라던지....
가디언이라던지.... 상황마다 다르지만.. 공중최종병기의 등장은 아주 귀찮아 집니다.



이런식의 언덕지형이 연속적으로 이어져 있기때문에 귀찮다는 거죠.
그런것 치고는 지상유닛의 이동이 불편하지 않아서 방어하기 쉬운편이라는 반증도 있지만 ;; 그게 쉽나...

그리고 수비형을 하기에는 '방어권역'이 넓어서 선 방어,후 유닛이 되는 상황이 많아서..



제때제때 정찰해서 시도를 무산시킨다던지...



이런식으로 방어라인을 확보하고 멀티를 먹는다고 한다면...
센터라인에서 갈라지는 언덕길을 따라서...



이런 소수의 병력으로도 붕괴시킬수 있다는 겁니다.
이렇게 되면 상황이 너무 안좋게 되죠... 투자한 비용이 그냥 낭비가 되니까.



센터라인도 마찬가지로 뒤에서 공략이 가능합니다.



러커도 공격이 되다보니까.. 스톰 지지기도 되고.. 다됩니다..
게다가 센터라인은 원형이라서 지상군이 가서 막기에는 영.. 까다롭죠.

하여간에 수비형은 가능하지만.. 수비형만으로 이기는건 안된다는 겁니다.
라인을 잃으면.. 본진 드랍만으로도 피해를 볼테니까요.. 이것은 전종족 공히 그렇습니다.


* 근데 이런 맵이 프토맵?

테스트 결과로는 프토맵. 경기양상도 프토가 좋은편. 테저전은 비슷..
프토>테란=저그라는 이상한 밸런스.. 이거 지상맵인데 말입니다.

테란상대로는 상대가 더블하면 전진게이트,입구막으면 더블넥이라는 이상한 조화..
(전상욱 선수의 멀면 더블,가까우면 벙커링도 아니고 말입니다..)
저그상대로도.. 앞마당 펴면 전진게이트,본진 플레이하면 수비형...

토스가 이상할정도로 선택할것이 많습니다..

일단 기본적인 경기양상은 뭐 난전인데.. 거점 방어형이다 보니까.. 일단은 공격하는 자 vs 수비하는 자의
격렬한 전투양상이 많이 나왔습니다..

나름대로는 괜찮았다..라고 생각중인거죠. 중간중간 벌어지는 대규모 병력의 노려보기에서
얼마나 병력을 잘 순환시키느냐가 이맵의 특징..이라고 볼수 있겠네요.

그럼.

* 참고 자료로 현재 경기 밸런스.
T vs P - 3:10 (여기서 전진게이트에 다섯경기... 알고당한 경기도 세경기나 됩니다.)
P vs Z - 11:4 (다만 저그 유저들도 할만하다는 의견이 지배적.. 프토들은 편하다고 하더군요.)
Z vs T - 5:3 (저테전 정말 안나왔습니다 -_-;; 뭐 이쪽도 상당히 재미있는 경기 가득..)
* 물론 리플은 언제나 감사.
* 캐럿.님에 의해서 게시물 이동되었습니다 (2006-10-23 01:19)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couple]-bada
06/07/21 01:26
수정 아이콘
으음. 2인용맵에서의 전진게이트는 상당히 무섭죠.. 실패해도 토스가 이득을 얻고 가는 경우가 많습니다..
06/07/21 01:32
수정 아이콘
저 토쓰들은 다들 괴물인가효.. 난 왜 그렇게 애를 먹은걸까.ㅜㅜ
06/07/21 02:28
수정 아이콘
저 근데 Yang님 맵 공식맵 체택이 왜 안되는걸까요 -_ ?
MBC Game이라면 운영 지향이라서 다양한 컨셉을 가지는 Yang님 맵과 지향성이 다르다 해도 분명 온게임넷에는 컨셉이 정말 잘 맞는거 같은데..
06/07/21 03:34
수정 아이콘
으헐 정말 재밋어보여요

yang님 이런맵 테스터가 될려면 어찌해야하나요?
김함섭
06/07/21 05:11
수정 아이콘
이번기회에 저희가 힘을모아서 공식맵 제작팀에게 Yang님의 존재를 알리는건 어떨까요? 좋은맵들이 묻히는게 너무 안타깝네요 .. 솔직히 왠만한 공식맵들보다 훨씬 좋은 맵으로 보이는데 말이죠 ..
김훈민
06/07/21 07:48
수정 아이콘
Yang님 맵은 볼 때마다...구미가 당깁니다..^^

이 맵 정도는 공식리그에 쓰이는 것도 상당히 흥미진진할 꺼 같네요..^^
arbeyond
06/07/21 10:11
수정 아이콘
이런 새로운맵이 나올때마다 친구를 꼬셔서 한판 해볼라치면
친구넘 왈 '닥치고 로템'...ㅜ.ㅜ...
래토닝
06/07/21 10:21
수정 아이콘
hourglass <-모래시계라는 뜻 맞죠? 영문읽기시간에 이놈을 본 기억이나네요 ~
[couple]-bada
06/07/21 13:25
수정 아이콘
맵 테스트는 아시아 pgr21채널서 주로 합니다.. 후로리거들도 하고, 그냥 일반 사람들도 와서 하죠.
아쉬운멍키
06/07/21 17:03
수정 아이콘
후훗 이 맵에서 드라군 무섭습니다...-_-;; 저글링드 드라군에게 막 녹아요...-_-;;
06/07/21 17:20
수정 아이콘
아 -_- pgr21채널에서 살면되는거군요.

하루에 2~3게임정도밖에 안하는터라 ㅠ 흑
06/07/22 12:01
수정 아이콘
공식맵으로 쓰기에는 프로게이머들을 괴롭게 만들 가능성이 농후하므로
-_-;;;
06/10/23 18:56
수정 아이콘
Ace게시판에는 걸맞지만 공식맵 채택까지야.. 아마계에 보면 이보다 훌륭한 맵이 많습니다만; 몇달 지난 거지만 거칠게 보이는 지형중 일부는 아쉽긴 하네요; (다리 같은 경우;)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381 [sylent의 B급칼럼] "프로리그확대는이판말아먹는지름길"인가? [105] sylent11924 06/11/07 11924
380 게임, 보는 재미를 추구하려면? [25] 김연우10256 06/11/01 10256
378 각 방송사의 vod다시보기 방식에 내재한 스포일링에 관한 고민과 제언 [22] etrrr9298 06/11/01 9298
377 유닛들의 화력 비교하기 [37] 국자15272 06/10/29 15272
376 신한은행 스타리그 8강 광주투어 관람기 [15] steady_go!9548 06/10/28 9548
375 시청률, 흥행을 걱정하는 팬들...누구의 팬인가? [93] Mars11718 06/10/27 11718
373 스타크 초고수도 햇갈리는 스타 O.X 퀴즈 정답지 발표합니다. [50] 포로리15567 06/10/24 15567
372 가을, 가을의 전설 오영종 [21] Artemis11847 06/10/24 11847
371 <가입인사겸 첫글> 잔혹사의 몬자 WCG 결승전 관람기^^ [46] 잔혹사12129 06/10/23 12129
370 지하철, 그 안에서의 삶과 어둠 그리고 감동. [19] 하양유저매냐8170 06/10/23 8170
369 YANG..의 맵 시리즈 (12) - Hourglass [13] Yang8841 06/07/21 8841
368 <스카이 프로리그> 르까프의 질주. [17] CJ-처음이란9516 06/10/18 9516
367 박성준에게 하고싶은 말. [38] Born_to_run12034 06/10/18 12034
366 아카디아 3를 기다리며 [39] FELIX11155 06/10/18 11155
365 [생각하는 기계의 게임 이야기] 스타크래프트 성공에 대한 진실 [12] 이름 없는 자8602 06/10/17 8602
364 온게임넷 신한 스타 리그 8강 지방투어를 관람하는 메뉴얼. [12] steady_go!10085 06/10/17 10085
363 KTF..그깟 우승 못하면 어떻습니까? [51] 김호철10706 06/10/16 10706
362 [분석] 재미있는 역대 MSL, OSL 기록들 [54] 리콜한방13924 06/10/13 13924
361 넥슨 카트라이더 4차 리그, 그 재미를 아시나요? [9] Lucky_Tyche8346 06/10/12 8346
360 개념잡힌 형태씨, 근성까지 있네요. [29] 말로센말로센10736 06/10/12 10736
359 [잡담] 버릇없음과 가식과 공지에 대한 피쟐스럽지 않은 잡담 ... [18] 메딕아빠9346 06/10/11 9346
358 정찰로 보는 프로게이머들 상성의 관계 [17] AnyCall[HyO]김상11439 06/10/11 11439
357 Supreme의 엉뚱한 게임토론 -영웅전설- [21] Supreme7389 06/10/11 7389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