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11/11/13 18:22:04
Name kimbilly
Subject G-STAR 2011 현장 취재 - 4일차, 부산 BEXCO 현장 스케치

▲ 오늘이 바로 마지막 날. 개장 시간인 오전 10시가 아직 1시간 남은 시점의 상황 입니다.


▲ 가장 왼쪽 아래에 위치한 웹젠 부스


▲ 그 위에 위치한 NCSOFT 부스


▲ 바로 옆에는 SEGA 부스와...


▲ 반대편에 네오위즈 게임즈-피망 부스


▲ 빅스푼 부스


▲ 한게임 부스


▲ 컴투스 부스


▲ 워게이밍닷넷 부스


▲ 넥슨 부스


▲ 초이락게임즈 놀토 부스


▲ 엠게임 부스


▲ CJ E&M 넷마블 부스


▲ 위메이드 부스


▲ 오전 10시. 도우미 모델들의 인사와 함께 마지막 날 일정이 시작 됩니다.


▲ 먼저 체험 해 볼 게임은 네오위즈게임즈가 곧 서비스를 시작할 디젤.


▲ 하역장 이라는 맵에서 팀전을 하게 됩니다.


▲ 제한 킬수인 80킬을 먼저 차지하는 팀이 승리를 하게 되는 방식 입니다.


▲ 한게임의 킹덤 언더 파이어2 로 가 봤습니다.


▲ 3인 1개조로 각 케릭터를 1명씩 플레이를 하게 됩니다.


▲ 자신과, 자신의 부대와, 궁수 부대까지 컨트롤을 하면서 대규모 전투를 손쉽게 진행 할 수 있습니다.


▲ 코나미와 한게임이 공동 개발한 위닝 일레븐 온라인 입니다.


▲ 콘솔 컨트롤러(패드) 를 사용 은 아직 안 된다고 하고 개발 될 예정이라고 합니다. 내년 중에 베타 테스트 예정이라고 하네요.


▲ 체험판인 만큼 1:1 로 유저와 플레잉을 하게 됩니다. 초보자인 경우 비기너라고 말을 하게 되면 초보자와 붙여주도록 도와준다고 합니다.


▲ 리플레이 기능 등이 그대로 구현이 되어 있습니다. 콘솔에서 즐기는 위닝 일레븐의 감동을 그대로 느낄 수 있을 것 같네요.


▲ 결과 화면 마저도 깔끔 합니다. 버튼도 상당히 직관적이고요.


▲ 철권6 종목의 결승전이 진행되는 WCG 2011 한국 대표 선발전. 먼저 김현진 선수.


▲ 상대적으로 여유로운 모습의 안성국 선수. 2명의 선수는 이미 국가 대표로 확정 되었습니다.


▲ 바로 이어서 진행될 눈물의 스타크래프트2 3/4위전. 여기서 지면 국가 대표가 될 수 없습니다. 김영진 선수를 바라보는 박상익 감독.


▲ 상대는 안호진 선수 입니다.


▲ 스타크래프트2 개발자인 크리스 시거티와, 디아블로3 개발자인 제이 윌슨이 관객과의 질답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 스타크래프트 3/4위전을 지켜보는 워크래프트3 장재호-박준 선수와 2위를 확정 지었던 이정훈 선수와 박상익 감독.


▲ 금속 도시에 치열한 경기가 펼쳐지고, 결국 무승부가 선언되어 재경기를 하게 되었습니다.


▲ 워게이밍닷넷 부스에 오늘은 나인뮤지스가 멋진 공연을 선보였습니다.


▲ 스타크래프트2 팀 에이스 인비테이셔널의 결승전을 준비하는 김동주 선수.


▲ 결승전을 준비 하기 직전, 건너편에서 진행되는 김영진-안호진 선수의 경기를 곰TV 로 시청중인 정종현 선수.


▲ 최종 결승전 직전 두 선수가 인터뷰를 하기 위해 무대 위에 올라와서 인사를 합니다.


▲ 결승전 직전 인터뷰를 진행하는 김동주 선수.


▲ 정종현 선수도 역시 인터뷰에 응하고 있습니다.


▲ WCG 2011 의 한국 대표 선발전 시상식과 발대식 입니다. 먼저 던전앤파이터 개인전 부문의 2위 최재형, 1위 정상천 선수.


▲ 던전앤파이터 단체전의 드림팀.


▲ 로스트사가의 마왕빛소금 팀.


▲ 아스팔트 6 의 이원준 선수.


▲ 카운터스트라이크 종목의 project_kr 팀.


▲ 크로스파이어 종목의 Vs. 팀.


▲ 피파 11 종목의 정원준 선수.


▲ 리그 오브 레전드의 EDG 팀.


▲ 스타크래프트2 종목의 3위 김영진 선수.


▲ 스타크래프트2 종목의 2위 이정훈 선수.


▲ 스타크래프트2 종목의 1위 정종현 선수. (대리 수상)


▲ 철권6 종목의 2위 안성국 선수.


▲ 철권6 종목의 1위 김현진 선수.


▲ 월드 오브 워크래프트 종목의 2위 OMG 팀.


▲ 월드 오브 워크래프트 종목의 1위 kimchi man 팀.


▲ 워크래프트3 종목의 2위 박준 선수.


▲ 워크래프트3 종목의 1위 장재호 선수.


▲ 한국 대표팀의 대표인 장재호 선수가 태극기를 들고 있다.


▲ 장재호 선수가 한국 대표단의 선전을 기원하며 태극기를 흔들어 주고 있습니다.


▲ 한국 대표로 선발된 선수들이 종합 우승을 기원하고 있습니다.


▲ 스타크래프트2 팀 에이스 인비테이셔널의 결승전. 치열한 경기가 한창 진행중 입니다.


▲ 이인환 캐스터와 황영재-채정원 해설위원의 집중을 하며 중계를 하고 있습니다.


▲ 정종현 선수가 3:2 로 기적의 패패승승승을 만들어 내며 스타크래프트2 팀 에이스 인비테이셔널의 우승을 차지 합니다.


▲ 2경기를 내리 승리했지만, 안타깝게 3경기를 내리 정종현 선수에게 내주면서 아쉬워하는 김동주 선수.


▲ 웃음꽃 활짝 핀 정종현 선수가 우승 인터뷰를 하고 있습니다.


▲ 김동주 선수도 아쉽긴 하지만 부산 관객들의 열정적인 모습에 감동했다고 이야기 하고 있습니다.


▲ 스타크래프트2 팀 에이스 인비테이셔널에서 나란히 우승과 준우승을 차지하면서 대회를 마무리 한 정종현-김동주 선수.

이상으로 부산 BEXCO 에서 4일간 진행된 국내 최대의 게임 축제, G-STAR 2011 의 모든 행사가 방금 종료 되었습니다.
행사에 초대 해 주신 Blizzard Korea 와 취재에 도움 주신 WCG, ongamenet, 곰TV 의 관계자 여러분에게 감사드립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Lilliput
11/11/13 18:42
수정 아이콘
Kimbilly님도 4일동안 벡스코에서 고생 많으셨습니다.
11/11/13 18:53
수정 아이콘
아쉽게 철권현장사진이 없네요...
오늘 철권이 정말 대박이었는데...티비로만 현장을봣지만 다른리그보다 호응도 굉장히 큰거같구...ㅠ..ㅠ
11/11/13 19:37
수정 아이콘
이정훈 선수 1승뒤 2연패로 2위했네요.. 정종현 선수는 굉장하네요 선발전과 에이스초청전 모두 우승을 하다니
호두과자
11/11/13 23:30
수정 아이콘
잘 봤습니다. kimbily님이 이것저것 찍고 글까지 쓰느라 철권6 안성국 선수랑 김현진 선수 표기를 잘못했네요. 뭐 피잘러분들정도면 다 아시겠지만요. 글구 나인뮤지스 맨 왼쪽분 계속 보고 있으면 너무 무서워요.
낭만토스
11/11/14 03:56
수정 아이콘
4일간 수고 많으셨습니다.

잘 봤습니다^^
11/11/18 02:08
수정 아이콘
전 목, 토 이틀 갔는데 첫날도 사람 엄청 많았는데 토요일은 으.... 상상도 하기 싫어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공지 댓글잠금 통합 규정(2019.11.8. 개정) jjohny=쿠마 19/11/08 421446 0
공지 게임게시판 운영위원회 신설 및 게임게시판 임시규정 공지(16.6.16) [3] 노틸러스 15/08/31 486880 4
공지 공지사항 - 게시판 글쓰기를 위한 안내 [29] 항즐이 03/10/05 657093 13
81546 [LOL] 중요하지 않지만 중요한 경기가 된 두 팀간의 대결, 농심/KT 관련 이야기 [24] 랜슬롯2313 25/08/15 2313 2
81545 [기타] ewc 철권 2일차까지 결과 [7] 김경호2684 25/08/15 2684 0
81543 [LOL] LCK팀들의 마지막 매치 승리는 언제일까? [40] Leeka5779 25/08/14 5779 1
81542 [LOL] 젠지전 48분 패’ 박승진 농심 감독 “경기라 부르기도 민망할 정도” [32] Leeka7350 25/08/14 7350 0
81541 [LOL] ‘비디디’ 곽보성의 탄식, “라인전 실력, 늘릴 수 있는 부분 아니야” [68] Leeka7968 25/08/14 7968 0
81540 [LOL] LPL 올해의 경기가 나왔습니다. [22] 자아이드베르10043 25/08/13 10043 1
81539 [LOL] 레이지필의 청와대 국빈만찬 후기 [3] Leeka7070 25/08/13 7070 1
81538 [LOL] 2025 LCK 플레이오프의 진행방식 [23] Rorschach6677 25/08/13 6677 0
81537 [LOL] 이번 LCK 결승전은 오후 2시에 시작합니다 [22] Leeka6020 25/08/13 6020 0
81536 [LOL] [망상]젠티를 다 흩어서 드래프트를 한다면 [70] Dunn8179 25/08/13 8179 1
81535 [LOL] 정리) 역대 한국/LCK 대표팀 [44] Winter_SkaDi4945 25/08/13 4945 0
81534 [LOL] 지상파 최초 LCK 결승 생중계한다... 9월 인천서 개최 [58] 껌정6758 25/08/13 6758 3
81533 [LOL] 라이엇은 현재 리그 시스템을 유지할겁니다. [61] Tiny Kitten8592 25/08/12 8592 8
81532 [LOL] T1 월즈 스킨 9월 출시 / 25 월즈 주제곡 10월 10일 공개 [49] Leeka9736 25/08/12 9736 3
81531 [LOL] LCK의 기존 리그 포맷은 죽은 경기를 양산하는가? [83] 찌단10691 25/08/11 10691 13
81530 [기타] (활협전) 업뎃이 떴느냐? [16] 길갈6956 25/08/11 6956 2
81529 [LOL] 클템의 찍어×3 [lck 4주차 1R리뷰] [6] 1등급 저지방 우유9311 25/08/11 9311 0
81528 [LOL] LCK 포맷 이대로 괜찮은가....? [211] Arcturus14687 25/08/11 14687 14
81527 [기타] 격겜 토키도는 왜 일본에서 빈집털이라고 불렸는가? [22] 페이커756911 25/08/11 6911 4
81526 [LOL] 정보) 지금까지 레전드그룹 경기 결과 총 정리 [55] Leeka7583 25/08/10 7583 4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