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04/04/05 13:58:17
Name 총알이 모자라.
Subject 노자와 스타크 산책 人之生也柔弱
노자의 기본 사상은 그 유연성에 있습니다. 오늘은 일흔 여섯째 가름을 살펴보겠습니다.  

얼마전 도올 김용옥씨가 거리로 나가라며 인용한 구절이 있는  부분입니다. 생명의 본질

을 파악하여, 올바른 처신의 기본을 이야기하고 있습니다.

일흔 여섯째 가름

人之生也柔弱,
사람의 생명은 부드럽고 약하며,

其死也堅强,
사람의 죽음은 단단하고 강하다.

(중략)

故堅强者死之徒,
딱딱하고 강한 것은 죽음의 무리요,

柔弱者生之徒,
부드럽고 약한 것은 삶의 무리다.

是以兵强則不勝,
그러하므로 군대로써 강하게 하려하면
이길 수 없는 것이다.

木强則兵,
나무도 강하기만 하면 꺾이는 것이다.

强大處下,
나무에서 딱딱하고 커다란 것은
밑으로 내려가기 마련이고,

柔弱處上
부드럽고 연약한 것은 위로 올라가기 마련이다.

생명이 왜 부드럽고 연약한 것이지를 설명한 부분을 생략했습니다. 살아있다는 것은 언제

나 부드러운 상태를 유지합니다. 피부도 그렇고 혈액이나 내장 모든 것이 부드럽습니다.

하지만 죽고 나면 남는 것은 딱딱한 뼈만 남습니다. 따라서 삶은 부드럽고 연약하고 죽음

은 단단하고 강하다라고 표현했습니다.

군대가 강하기만하면 이길 수 없다라는  구절이 눈에 띕니다. 강한데  왜 이기지 못하는

가? 여기서의 강함이란 딱딱하다는 표현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스타크에서

유연함은 굉장히 중요한 요소입니다. 상대의 전술에 따라 유연하게 대처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죠.

질럿 한부대는 레이스나 뮤탈 몇 마리를 상대하지 못합니다.  물론  질럿을 많이 모아서 엘

리 시키면 된다고 하는 경우도 있겠지만 상대가 적절히 대응하면 나 또한 적절한 대응을

해야하는 겁니다. 체제가 딱딱한 경우는 이러한 점에서 유연함이 부족하기 때문에 힘들어

지는 겁니다. 강민 선수가 강점을 보이는 것은 테크를 여러 갈래로 올리기 때문에 특유의

유연성이 나오는 겁니다. 반면에 요즘 저그의 어려움은 한쪽 테크  이외에 다른 테크를 올

리기 힘든 상황이 많기 때문입니다.- 가스의 부족- 유연한 쪽이 살아가기엔 훨씬 유리한

거죠.

우리의 삶에서도 한 우물을 파라는 충고가 많습니다. 그러나 삶은  자신이 어쩔 수 없는 변

화하는 환경에 지배를 받습니다. 오늘 최고의 선택이 내일도  최고의 선택이 된다는 보장

은 없습니다. 무엇을 선택하던 그것이 언제나 변화 할 수  있다는 마음가짐으로 받아들여

야 합니다. 살아간다는 것은 굉장히 탄력적이기에  유연하지 못하면 꺽이고 마는 일이  많

습니다. 어리거나 젊은 시절-나이든 사람도 많지만-에는 강함을 좋아하기에 한가지에 집

착하기 쉽습니다. 그러나 탱크가 한 부대라도 레이쓰 한 대를 잡을 수 없는 것처럼 한가지

에만 집중하는 것은 자신이 할 수  있는 선택의 폭을 줄이는 경우가 되기 쉽습니다. 언제

나 열려있는 사고를 갖기 위해 노력해야 합니다.

삶에는 흑과 백보다는 회색에 가까운 것이 훨씬 많으니까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soundofsilence
04/04/05 14:11
수정 아이콘
오늘도 역시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사람이 살아있을때는 유연하지만 죽으면 시체는 뻣뻣해 진다고 하죠? 산천의 풀들도 살아있으면 부드럽지만 죽으면 빳빳하게 말라버리고요.
노자의 귀유론이라고도 하죠. 유극강 약극강(柔克剛 弱克强) 부르러운 것은 굳은 것을 이기고, 약한 것은 강한것을 이긴다. 자꾸 강하다는 것으로 한정하다 보면 그 한계에 부딪혀 더이상 나아가지 못한다는 뜻으로 볼 수 있겠네요. 스타에서 뿐만 아니라 세상 살아가는 모든 일에 있어서 한번은 생각해 보아야 할 좋은 구절이었습니다.
04/04/05 14:12
수정 아이콘
open mind.... 제가 가장 좋아 하는 말이죠....

혹시 "PGR 요가단"에 들어오실 생각 없으세요..
총알이 모자라.
04/04/05 14:16
수정 아이콘
집에서 요가합니다.
soundofsilence
04/04/05 14:18
수정 아이콘
pgr요가단 멤버는 lovehis님 말고 또 누구... 혹시 혼자이신지...?
04/04/05 14:20
수정 아이콘
soundofsilence님// 헉...... (슬금 슬금 도망간다....)
04/04/05 17:17
수정 아이콘
lovehis님 원츄 ^^
미수가루
04/04/05 17:19
수정 아이콘
좋은글 잘 읽었습니다. 이 말이라도 써야 하겠기에 반짝 로그인 합니다.
Return Of The N.ex.T
04/04/05 18:01
수정 아이콘
lovehis님//그 요가단 혹시.. 가입하면 솔로가 유지된다는.. 그 요가단 아닌가요..-_-;
04/04/05 18:08
수정 아이콘
참고로.... 가입비는 온라인으로.... 카드틑 안받습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공지 댓글잠금 통합 규정(2019.11.8. 개정) jjohny=쿠마 19/11/08 377162 0
공지 게임게시판 운영위원회 신설 및 게임게시판 임시규정 공지(16.6.16) [3] 노틸러스 15/08/31 447763 4
공지 공지사항 - 게시판 글쓰기를 위한 안내 [29] 항즐이 03/10/05 610796 13
79795 [LOL] 사우디컵은 14.13으로 진행됩니다 [1] Leeka217 24/06/29 217 0
79794 [스타1] (종합) 2024년 상반기 스타크래프트 방송 결산 [2] 김재규열사1858 24/06/29 1858 3
79793 [LOL] 젠지 올해 성적에 따른 역체xx 변화 [62] 잘생김용현4794 24/06/28 4794 1
79792 [LOL] 젠지, 서머 최단시간 기록 갱신과 함께 사우디컵 휴식기 전 전승 달성 [32] Leeka4687 24/06/28 4687 0
79791 [LOL] e스포츠팀 마케팅에서 T1홈그라운드가 가지는 의미 [14] 노틸러스3546 24/06/28 3546 4
79790 [LOL] T1 홈 그라운드의 묘미. 치어리더 대전 [51] SAS Tony Parker 6553 24/06/28 6553 2
79789 [LOL] T1 홈그라운드 관련 E스포츠 공정위 문의 결과 [99] Leeka6895 24/06/28 6895 1
79788 [LOL] 정부, e스포츠 토토 부정적 입장 전달 [26] 종말메이커7254 24/06/28 7254 6
79787 [모바일] 이번 여름은 설산이다.. (명조 1.1업데이트 승소산에서 울렸던 경칩 소리) [22] 대장햄토리2844 24/06/28 2844 0
79786 [스타2] 이스포츠 역사에 남은 짤이 10주년을 맞이했습니다 [12] MiracleKid4001 24/06/28 4001 8
79785 [LOL] 재미로 보는 젠지 경기를 제외한 픽들의 승률 [21] Leeka3775 24/06/27 3775 3
79784 [LOL] EWC 한국어중계 중계진이 확정되었습니다. [70] Rated8231 24/06/26 8231 9
79783 [LOL] 타도 젠지를 잠시나마 꿈꾸게 해준 한화생명. 고생했다 [156] Leeka12651 24/06/26 12651 4
79782 [LOL] 사우디컵 아프리카 뷰잉파티 상세 안내문 [5] 매번같은5586 24/06/26 5586 1
79781 [LOL] SOOP ( 아프리카 tv ) EWC 중계합니다 치지직은 중계 x [25] Rated5272 24/06/26 5272 2
79780 [LOL] 현 시점 기준 사우디컵 우승 배당 & 8강 매치 배당 [15] Leeka5561 24/06/26 5561 0
79779 [LOL] 글로벌 중계진들의 순위 예측 [15] Leeka3518 24/06/26 3518 0
79778 [LOL] 더샤이의 탑 에어컨론과 그걸 들은 킹겐 [51] Leeka5637 24/06/26 5637 0
79777 [PC] 약스포) 엘든 링 DLC 클리어 후기 [16] 김티모2937 24/06/26 2937 2
79776 [LOL] LCK 현 주전 선수들의 내년 샐러리캡 감면 % 정리 [28] Leeka7944 24/06/25 7944 1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