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10/10/28 23:55:15
Name Leeka
Subject 스타2를 잘 모르는 분들이 방송을 볼때 좋은 간단 정보.(프로토스)
스타크래프트 1은 아는데, 스타크래프트2를 별로 안해보신 분들을 위한.. 방송을 볼 때 알아두면 좋은 점들입니다.

어찌어찌 하다보니 글이 길어졌네요..
(추후에 시간이 된다면, 테란과 저그도 한번 추가할 듯 하네요..)


- 공통
: 모든 멀티에는 가스가 2개씩 있으며, 1번 캘때 4씩 채집합니다.

: 맵에 있는 감시탑의 경우, 주변에 아군 유니트가 있으면 자신의 소유가 되며, 일정 범위내에 맵을 밝혀줍니다.(소유하는 동안)

: 마나 업그레이드가, 기존은 최대 마나가 200->250이였으나,  스타2는 생산시 마나가 50->75로 변경되는 업그레이드입니다.
(덕분에, 마나 업그레이드를 하게 되면. 나오자마자 스톰을 바로 쏠 수도 있는. 큰 차이가 있습니다.)

: 대부분의 유닛은, 업그레이드를 할 경우. 외형이 변합니다. (이를 통해 구분할 수 있습니다.)

: 특정 유닛/건물을 때릴 때 데미지가 감소하는 상성은 없으며.  기본 데미지와, 특정 타입 공격시 추가 데미지. 2가지만 존재합니다.

: 황금색 미네랄의 경우, 자원을 기존 미네랄보다 40% 더 많이 채집합니다.

: 언덕 판정의 경우, '언덕위에 시야가 밝혀지지 않은 상태라면' 해당 대상을 때릴 수 없습니다.
(보이지 않는 곳에서 공격하는 적은, 공격시에도 안보입니다.)
대신, 랜덤 데미지는 삭제되었으며. 언덕 위던, 아래던. 동일한 데미지를 줍니다.
> 해당 내용 수정으로 인해, 우주방어 플레이가 페널티를 받게 되어, 공격적인 플레이가 많이 나오고 있습니다.

- 프로토스
: 본진 연결체(넥서스)에서, 시간증폭이라는 마법을 쓸 수 있습니다.
: 건물을 볼 때, 이상한 파란원이 빙빙 도는경우, 시간증폭이 걸린 것으로. 생산/연구속도가 빨라집니다.
-> 이 증폭을 본진에 쓰면 일꾼을 빨리.. 업그레이드 건물에 쓰면 업그레이드 시간을 당길 수 있으며,
병력 생산 건물에 사용하여. 빠른 병력 생산을 할 수도 있는.. 어디에, 어떤 타이밍에 거느냐가. 토스 운영의 키 포인트입니다.

: 실드 회복 방식이 변경되었습니다
-> 전작 - 실드가 늘 소량 회복
스타2 - 전투중에는 실드가 회복되지 않으며, 전투중이 아닐 때(전투를 하지 않은 상태로 일정 시간이 지나야 됩니다.) 회복됩니다.
대신, 실드 회복속도가 매우 빠르게 회복됩니다.

: 실드 회복 방식 변경에 따라, 실드 배터리는 삭제되었습니다.

: 전작과 테크트리는 다음 사항을 제외하곤 동일합니다.
1.  템플러 건물이 고위기사(하이템플러), 암흑기사(다크템플러) 2개로 분리되어 있습니다.
(특히, 암흑기사 건물은 가스가 무려 250이나 드는 건물이며, 빌드타임이 매우 깁니다.)
2. 옵저버 건물이 삭제되어, 로봇 공학시설만 건설하면 바로 생산이 가능합니다.(기존엔 옵저버 건물도 지어야 했지요..)
3. 아비터 건물이 삭제되었습니다.

: 전작의 코어 건물에서, 차원 관문 업그레이드를 할 수 있으며. 해당 업그레이드를 하고 나면 '수정탑(파일런)'  범위 내에서 관문 유니트를 바로바로 소환하여 생산할 수 있습니다.
: 차원 관문의 병력 소환 시간은 5초입니다.

관문
: 광전사(질럿)의 발업이, 돌진으로 변경되어.  적에게 바로 달라 붙는(쿨타임 존재) 기술로 변경되었습니다.

: 추적자(전작의 드라군 대체)의 경우, 점멸 업그레이드를 할 수 있으며. 해당 기술은 일정 거리를 순간이동 할 수 있는 기술입니다.
-> 점멸자라는 별칭이 있을 정도로, 매우 강력합니다...
(점멸 업그레이드는 황혼의회(전작의 시타델 오브 아둔)에서 할 수 있습니다.)

: 파수기(신규 유닛)는 기본적으로 역장(마나 50)/수호 방패(마나 75)를 쓸 수 있으며,
전작의 코어 건물에서 업그레이드를 통해 환상(마나 100)또한 사용이 가능합니다.
-> 역장은 거대 유닛에 한해서 파괴가 가능합니다.
(거대 유닛이 역장위를 지나가면 역장이 바로 사라지며, 그 외에는 지속시간이 다 될때까지 사라지지 않습니다.)
(거대 유닛 : 프로토스 - 거신,  테란 - 토르, 저그 - 울트라리스크)
-> 환상의 경우, 전작과 다르게. 원하는 유니트를 리스트에서 선택하여 소환합니다.(테크트리를 타지 않았더라도 환상 생성 가능)
-> 수호방패는, 파수기 주변에 파란 실드를 치는 마법으로, 원거리 공격으로 부터 받는 데미지를 줄여줍니다.

: 고위기사(하이 템플러)는 기본 마법이 환류(전작의 다크아칸 - 피드백과 같습니다)이며, 사이오닉 폭풍을 쓸 수 있습니다.
-> 부적(마나 업그레이드)업을 할 경우, 차원관문으로 소환되자 마자 바로 폭풍을 쓸 수 있어, 전천후 유닛으로 진화하나.
폭풍+부적 모두 업그레이드 하는 비용과 시간 문제가 있습니다.
(스타2의 마법 유닛중, 업그레이드를 하지 않고 쓰기 가장 힘든 특징이 있습니다.
타 마법 유닛은. 기본 마법도 전천후 마법들이 많아, 활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 암흑기사(다크 템플러)는, 매우 비싸지만. 전작과 다르게 건설로봇도 한방에 잡습니다.
-> 또한, 스타2의 경우. 전작보다 디텍팅이 어렵고.  가격이 비싸기 때문에, 최근 자주 사용되고 있는 유닛중 하나입니다.
(단, 들키면 바로.... )

: 집정관(아칸)은, 전작과 달리 고위기사나 암흑기사중 아무나 2기를 합쳐서 만들수 있습니다.(다크아칸은 존재하지 않습니다.)
-> 약한 유닛은 아니지만, 스플 범위가 전작보다 좁고.. 가격이 비싸.. 전작처럼 마구 뽑진 않습니다.


우주 관문
: 불행이도.. 병력을 생산중인 우주관문의 실루엣을 보면. 어떤 유닛이 나오는지 알 수 있습니다.
(현재 생산중인 유닛의 실루엣이 보입니다...  블리자드 야이..!!!)

: 공허 포격기는, 전작의 스카웃을 대체하는 유닛이긴 하나, 스카웃과 다르게 강력하며, 차징이라는 특수 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 적을 일정시간 공격시, 광선이 굵어지며. 이 상태에선 공격력이 증가합니다. (차징을 빨리 만들고, 유지하는것이 키포인트 입니다.)

: 불사조는, 전작의 커세어를 대체하는 유닛으로. 웹 대신, 중력자 광선을 쏠 수 있으며. 무빙샷이 가능합니다.
-> 중력자 광선은 마나를 50 소비하여, 상대 유닛을 공중으로 들어올릴 수 있습니다. (거대 유닛은 불가능)
(프로토스 - 거신, 테란 - 토르, 저그 - 울트라리스크에는 사용 불가)

: 우주모함(캐리어)은.. 전작과 달리 요격기(인터셉터)가 자동회복이 되지 않아.. 잘 쓰이지 않습니다.
-> 요격기 자동 생산 기능이 있어, 우클릭을 해둘경우. 미네랄이 있는만큼 지속적으로 요격기를 충전합니다.

: 모선(전작의 아비터 대체)은, 단 1기만 생산이 가능하며. 연결체에서 생산합니다.(이동속도가 매우 느립니다..)
-> 소용돌이(스테이시스 필드 강화판), 소환(리콜 강화판) 모두. 미리 연구가 되어 있어. 업그레이드를 할 필요는 없습니다.
-> 기본 은폐 범위가, 매우 넓으며. 전작의 아비터와는 다르게. '건물도 같이 은폐 됩니다'
-> 소용돌이의 경우,  소용돌의 주변의 적을 빨아들여, '일정시간동안 다른 차원으로 보냅니다'
지속시간이 종료되면 다시 전부 소용돌이가 발생한 지점으로 돌아옵니다.
(다른 지역으로 보내는것이 스테이시스 필드와 가장 큰 차이점이며, 범위가 넓습니다.)
-> 소환의 경우, 전작의 리콜과 동일하며. 범위가 훨씬 넓습니다.



로봇공학
: 불멸자는, 신규 유닛중 하나로. 적 중장갑에 매우 강력한 유닛이며, 강화 실드를 지니고 있습니다.
-> 강화실드는, 적에게 아무리 높은 데미지를 받아도. 실드가 10이상 한번에 달지 않는 능력입니다.
(한방 한방의 공격력이 강력한, 공성 전차등에 매우 강력하지만, 해병과 같은 공속이 빠른 유닛에겐 약합니다.)

: 관측선(옵저버)는 기존과 동일하나.. 가스를 무려 100이나 먹습니다..

: 차원 분광기(셔틀)은, 펼칠 수 있으며. 펼치면 수정탑(파일런)과 같은 효과를 주변에 줍니다.
-> 이를 통해, 차원관문 소환용으로도 쓰이며, 본진에 수정탑이 파괴되었을 때. 긴급용으로도 쓸 수 있습니다.

: 거신(전작의 리버 대체)은. 지상 유닛이면서 공중 판정을 가진. 강력한 스플 유닛입니다.
-> 지상/공중 모든 판정을 지니고 있어서, 지상/공중 모든 공격을 다 맞습니다.
-> 대신, 아군 유닛과 겹치지 않으며(공중판정), 언덕을 넘어다닐 수 있습니다.
-> 열 광선 업그레이드를 할 경우, 매우 긴 사정거리를 지니게 됩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RealWorlD
10/10/28 23:51
수정 아이콘
오 저같은사람에게 굉장히 유용한 정보군요 감사합니다^^

저그,테란도 올려주세요~ 현기증난단말이에요~
바나나우유
10/10/28 23:53
수정 아이콘
중요한 것을 하나 빠뜨리셨네요.

전작에서는 언덕 위에서의 포격시 순간적으로 유닛이 보이면서 공격이 가능했고, 언덕 위에서 공격을 받을 경우 랜덤 데미지가 들어갔지만
스타2에서는 언덕 시야가 확보되지 않으면 상대 유닛을 볼 수도 없고, 공격도 불가능하지요. 더불어 랜덤 데미지는 사라졌구요.
그랜드파덜
10/10/29 00:00
수정 아이콘
정리를 잘하신듯
10/10/29 00:03
수정 아이콘
대부분의 유닛은, 업그레이드를 할 경우. 외형이 변합니다.

이거 정말인가요? 허헐?

백판은 해본거 같은데 전혀 몰랐네요... 업그레이드 하는 아이콘이 바뀌는건 알겠는데...유닛외형이 바뀐다니!! 대박입니다~
10/10/28 23:58
수정 아이콘
깔끔하네요~!!

근데 환상이 유닛을 골라서 소환하는 거였군요 ㅠ

전 그것도 모르고 불사조 환상 보내길래

훗 이상황에서 스타게이트까지 올렸나? 크크 내가 이겼당 우왕!!!

이라고 생각했어요......

하긴 그럴리가 없지......
장난감
10/10/29 00:08
수정 아이콘
환상 추가 설명..
환상을 만드는 유닛에 따라 나오는 숫자가 다릅니다.. 상대적으로 가격이 싼 탐사정과 광전사는 한번에 다수의 환상이 만들어집니다.
그리고 그 유닛의 특성또한 따라 갑니다. 환상거신 -> 언덕넘기 가능, 환상 불멸자 -> 강화실드 적용으로 최대 20데미지까지 받음
마지막으로, 모선과 모함, 관측선, 암흑기사 의 환상은 만들 수 없습니다
빼꼼후다닥
10/10/29 00:13
수정 아이콘
다른 것보다 가장 중요한 속성에 대해서 설명하면 스타크래프트2에는

경장갑, 중장갑, 거대, 생체, 기계, 사이오닉이란 속성이 존재하는데 이에 따라서 추가 피해를 주거나, 안 받게 됩니다.
10/10/29 00:40
수정 아이콘
플토기준이니.. 차원관문은 업그레이드가 완료되기전을 제외하면, 올리시는게 필숩니다.
팀플 하다보면 게임끝날때까지 차원관문 안올리시는 플토분들 의외로 진짜 많아요..

올린거랑 안올린거랑 병력수가 2배 이상 차이납니다. 제발... 올려주세요...
DavidVilla
10/10/29 00:43
수정 아이콘
오.. 이거 저를 위한 글인가요?
그저께 역장이란 걸 처음 보고 검색까지 해본 본인인데요, 그 때 든 생각이 '아.. 누가 정리 좀 쫙~ 해줬으면 좋겠다'였었지요.
귀차니즘으로 인해 더는 안 찾아보고 있었는데 때마침 바로 그와 관련된 글이 올라오는군요.
진심으로 감사합니다!

스타1과의 비교는 정말 최고네요!
함정카드
10/10/29 00:46
수정 아이콘
프로토스 방어건물중 실드배터리가 사라지면서 타 종족보다 방어건물의 개수가 줄었죠(저그/테란=2개, 프로토스=1개).
대신에 광자포의 체력및 실드가 150/150으로 올라가서 상당히 강력해졌습니다.
10/10/29 00:50
수정 아이콘
아직 스타 2를 한판도 해보지 않고 어떤 유닛이 있는지 자세히 모르는 저에게는
테란에 관한 글이 절실하군요 크
좋은글이군요.
장난감
10/10/29 00:42
수정 아이콘
아.. 중요한게 빠졌군요..
스타1 과 달리 프로토스의 실드는 전투 중에 회복되지않습니다. 하지만 전투가 끝나고(데미지를 받은 후 일정 시간이 지나면)
굉장히 빠른 속도로 실드가 회복됩니다 !!
네오크로우
10/10/29 00:43
수정 아이콘
허허... 본문은 아~ 초보분들 보시기에 좋겠구나 싶은데 댓글들로 막 자세히 파고 들어가시니.. 꾸준히 해왔던 저도 몰랐던 것들이
뭐이리 많나요.
쇼미더머니
10/10/29 00:50
수정 아이콘
뭐 큰 팁은 아니지만, 관문을 차원관문으로 변형하면 화면 우측하단에 유닛생산가능한 차관수가 뜨고, 단축키가 W가 되어서 따로 부대지정할 필요가 없는것도 있긴 하죠.
악마의유혹
10/10/29 01:05
수정 아이콘
추게로...
저 같이 스타1밖에 모르는 사람은 도움이 많이 되네요!
저그랑 테란편좀... 크크
아무튼 감사해요
페퍼톤스
10/10/29 01:08
수정 아이콘
안그래도 얼마전에, 스타2 경기는 보고 싶고, 플레이는 할 수가 없어서 질게에도 질문을 올렸었는데 이렇게나 상세한 설명까지 곁들여주시다니!!
너무 감사합니다. 테란이랑 저그 시리즈(너무 많은걸 바라나요^^;;)까지 나오게 된다면 이것만 봐도 스타2 방송을 챙겨 볼 수 있을 거 같네요!
성유리
10/10/29 01:05
수정 아이콘
일반 미네랄이 한번 자원 캘때마라 5 씩이라면 .. 황금 미네랄은 한번에 7씩 캡니다..
하지만 자원을 캘수 있는 총 양은 같습니다..
10/10/29 01:10
수정 아이콘
우와 감사합니다~
이런거 정말 필요했어요 ^^~
장난감
10/10/29 01:12
수정 아이콘
그리고.. 젤나가의 감시탑의 경우.. 지상유닛이 있을 때만 시야확보가 활성화 됩니다..
대군주 같은 공중유닛은 감시탑 위에 있어도 아무런 효과가 없습니다
dlaehdtjr
10/10/29 01:13
수정 아이콘
오오오~Leeka님 임요환 이윤열선수와함께 저를 스타2로 끌어들이시는군요....감사합니다^^
개념은?
10/10/29 01:14
수정 아이콘
다이아 유저인데도.. 모르는거 투성이네요
10/10/29 01:22
수정 아이콘
정말 좋은 정리글이네요. 굿입니다.
쇼미더머니
10/10/29 01:38
수정 아이콘
그러고보니 팀플시 추가해야될게 있네요.
테란은 플토건물, 유닛도 수리를 할수 있습니다. 크크
써니티파니
10/10/29 02:29
수정 아이콘
불사조로 중형유닛까진 들어올리는게 가능한가보군요.... 탱크에겐 안써봤는데.... 시즈모드가 되어있어도 들어올려지나 궁금하네요.
함정카드
10/10/29 05:34
수정 아이콘
공통부분에서
놀고있는 일꾼 숫자가 왼쪽 하단에 표시되는데 이 버튼을 Ctrl을 누르고 클릭함으로서 모든 놀고있는 일꾼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좀참자
10/10/29 07:00
수정 아이콘
감사합니다 어려워보여서 시도도 못해보고있던터라 얼마전 임요환선수 경기를 아무것도 모르고 봤습니다. 재밌게는 봤지만 기본적인 내용 정리글이 있으면 좋겠다고 생각했었는데 제가 원하던 글이네요. [m]
본호라이즌
10/10/29 09:35
수정 아이콘
앗... 정말 글 쓰신 분이 종족마다 다르네요. 한분이 썼다고 생각해버렸네요;; 잘 읽었습니다.
RealWorlD
10/10/29 09:29
수정 아이콘
게다가 전작과는다르게 모든종족불문하고 자기유닛한해서 지상유닛이나 일꾼이 어느땅에있든 방해받지않고 건물이 지어지는군요(그유닛이 알아서비켜준다능..)
RealWorlD
10/10/29 09:42
수정 아이콘
거신(전작의 리버 대체)은. 지상 유닛이면서 공중 판정을 가진. 강력한 스플 유닛입니다.
이게 뭔말인가 한참고민했네요 흐흐; 공중공격만가능한 유닛들한테도 얻어맞는다는뜻이었군요

참고로 거신은 지상공격만됩니다~
10/10/29 09:43
수정 아이콘
잉정관을 추천 하시면 안되는데 ㅜ.ㅜ
나우시카
10/10/29 10:09
수정 아이콘
글이 진짜 머리에 쏙쏙 들어오는게... 좋네요~ 스타2 자주보는데 정확히는 몰라서 형세만 파악하는 수준이라 너무 감사합니다.
빅토리고
10/10/29 11:58
수정 아이콘
우주관문에 생산중인 유닛 실루엣이 보인다는건 첨 알았네요..... 그냥 냅다 뽑기만 해서.... 정찰할때 봐야할 부분이군요...대부분 공허폭격기지만....
그..후..
10/10/30 00:47
수정 아이콘
팩키지 구입후 한달동안 드문 드문 캠페인 완료한 유저로써 굉장히 고마운 글입니다..
너무 감사드립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공지 댓글잠금 통합 규정(2019.11.8. 개정) jjohny=쿠마 19/11/08 377152 0
공지 게임게시판 운영위원회 신설 및 게임게시판 임시규정 공지(16.6.16) [3] 노틸러스 15/08/31 447754 4
공지 공지사항 - 게시판 글쓰기를 위한 안내 [29] 항즐이 03/10/05 610787 13
79794 [스타1] (종합) 2024년 상반기 스타크래프트 방송 결산 [1] 김재규열사1157 24/06/29 1157 1
79793 [LOL] 젠지 올해 성적에 따른 역체xx 변화 [45] 잘생김용현3728 24/06/28 3728 1
79792 [LOL] 젠지, 서머 최단시간 기록 갱신과 함께 사우디컵 휴식기 전 전승 달성 [31] Leeka4113 24/06/28 4113 0
79791 [LOL] e스포츠팀 마케팅에서 T1홈그라운드가 가지는 의미 [13] 노틸러스3030 24/06/28 3030 3
79790 [LOL] T1 홈 그라운드의 묘미. 치어리더 대전 [50] SAS Tony Parker 6206 24/06/28 6206 2
79789 [LOL] T1 홈그라운드 관련 E스포츠 공정위 문의 결과 [99] Leeka6776 24/06/28 6776 1
79788 [LOL] 정부, e스포츠 토토 부정적 입장 전달 [26] 종말메이커7177 24/06/28 7177 6
79787 [모바일] 이번 여름은 설산이다.. (명조 1.1업데이트 승소산에서 울렸던 경칩 소리) [22] 대장햄토리2820 24/06/28 2820 0
79786 [스타2] 이스포츠 역사에 남은 짤이 10주년을 맞이했습니다 [12] MiracleKid3960 24/06/28 3960 8
79785 [LOL] 재미로 보는 젠지 경기를 제외한 픽들의 승률 [21] Leeka3737 24/06/27 3737 3
79784 [LOL] EWC 한국어중계 중계진이 확정되었습니다. [70] Rated8205 24/06/26 8205 9
79783 [LOL] 타도 젠지를 잠시나마 꿈꾸게 해준 한화생명. 고생했다 [156] Leeka12610 24/06/26 12610 4
79782 [LOL] 사우디컵 아프리카 뷰잉파티 상세 안내문 [5] 매번같은5557 24/06/26 5557 1
79781 [LOL] SOOP ( 아프리카 tv ) EWC 중계합니다 치지직은 중계 x [25] Rated5230 24/06/26 5230 2
79780 [LOL] 현 시점 기준 사우디컵 우승 배당 & 8강 매치 배당 [15] Leeka5498 24/06/26 5498 0
79779 [LOL] 글로벌 중계진들의 순위 예측 [15] Leeka3455 24/06/26 3455 0
79778 [LOL] 더샤이의 탑 에어컨론과 그걸 들은 킹겐 [51] Leeka5575 24/06/26 5575 0
79777 [PC] 약스포) 엘든 링 DLC 클리어 후기 [16] 김티모2913 24/06/26 2913 2
79776 [LOL] LCK 현 주전 선수들의 내년 샐러리캡 감면 % 정리 [28] Leeka7921 24/06/25 7921 1
79775 [기타] FF7R, 조작감에서 비롯된 불쾌한 경험 [26] 글곰5172 24/06/25 5172 7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