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09/03/16 00:08:31
Name 최후의토스
Subject 역대 동족전 강자들, 시대순 정리
저저전만 조사하면 아쉬우니 동족전 모두 조사해봅니다.

프프전

박정석
2001년~2005년 (강민 선수와 더불어 초기 프프전 최강자의 모습을 보여줬습니다. 시기가 좀 더 빠르군요.
                      명경기로는 마이큐브배 4강을 들고 싶습니다.
                      강민 선수와의 경기로 프프전이 정말 재미있다고 느낀 경기였죠.)
926032 패 (65.22 %)
연승기록 : 6연승(04년, 김환중 선수에게 깨짐)
           (공식전) 8연승(04-05년, 김성제 선수에게 깨짐)

박용욱
2003년~2004년 (이 시기에 강민 선수는 박정석 선수를 앞섰고, 유일하게 강민 선수에게 강했던 선수가 박용욱.
                       반면 박용욱 선수 본인은 박정석 선수에에 전패 기록;
                       정말 '3대토스'라는 명칭답게 서로 물고 물린 것 같습니다.
                       지금의 택뱅록 만큼이나 이 당시 강민 선수와의 경기가 재미있었던 것 같습니다.
                       2006년에 천적인 박정석 선수를 상대로 자신의 마스코트라 할 수 있는
                       다크아칸으로 역전승을 거둔 희대의 명경기가 있죠.)
4529 16 패 (64.44 %)  
연승기록 : 7연승(03년, 김성제 선수에게 깨짐)
           (공식전) 5연승(04년, 김환중 선수에게 깨짐), 5연승(05년, 박지호 선수에게 깨짐)

강민
2002년~2006년 (2006년까지 정말 프프전 최강자의 모습을 보여준 것 같습니다.
                      2007년 초, 김택용 선수를 만나기 전 까지 말이죠.
                      김택용 선수를 만나기 전까지 최근 10경기가 9승 1패였더군요.
                      명경기로는 몽상가다운 패러독스에서 전태규 선수를 상대로한 옵커세어 다크를 뽑고 싶군요.)
1087137 패 (65.74 %)
연승기록 : 12연승(03년, 박정석 선수에게 깨짐), 12연승(05-06년, 박용욱 선수에게 깨짐)
           (공식전) 8연승(03년, 박정석 선수에게 깨짐), 8연승(05-06년, 김택용 선수에게 깨짐)

송병구
2006년~2007년 (가장 많은 프프전을 치룬 송병구 선수. 이 당시 최강의 프프전을 보여줬군요.
                       딱히 적수가 없어 보였습니다.
                       명경기로는 곰티비 시즌2 결승전을 들 수 있겠네요.)
604317 패 (71.67 %)
연승기록 : 8연승(07년, 김윤중 선수에게 깨짐), 7연승(07년, 김구현 선수에게 깨짐)
           (공식전) 7연승(07년, 김구현 선수에게 깨짐)

도재욱
2007년~2008년 (정말 이 당시 도재욱의 프프전을 이제동의 저저전과 비교했던만큼 임팩트가 강력했던 것 같습니다.
               명경기로는 역시나 블루스톰에서의 허영무 선수와의 경기를 들고 싶군요.)
4833 15 패 (68.75 %)
연승기록 : 18연승(08년, 송병구 선수에게 깨짐)
           (공식전) 14연승(08년, 송병구 선수에게 깨짐)

김택용
2008년~ (현 프프전의 최강자는 당연 김택용 선수를 들 수 있겠습니다.
             도재욱 선수의 영향인지 T1으로 이적 후 승률이 1할 상승하였네요.)
             명경기로는 역시 택뱅록으로 08년 10월 10일날 경기가 인상 깊군요.)
6648 18 패 (72.73%)
연승기록 : 9연승(08년, 허영무 선수에게 깨짐)
           (공식전) 위와 동일


이상을 정리하면 박정석/(박용욱)/강민-송병구-도재욱-김택용순이네요.




테테전

이윤열
2000년~2003년 (정말 머신이라 불릴 정도로 무시무시한 모습을 보여줬던 이윤열 선수.
                      당시 다른 두 본좌를 제외한 테란들에게는 압도적이었던 것 같습니다.
                      명경기로는 한승엽 선수와의 신개마고원에서 59분 59초의 기적을 들고 싶네요.)
1047430 패 (71.15 %)
연승기록 : 14연승(00-02년, 최인규 선수에게 깨짐), 12연승(02년, 베르트랑 선수에게 깨짐)
           (공식전) 5연승(06년, 최연성 선수에게 깨짐)

최연성

2003년~2004년 6월 (괴물이라 불리던 최연성 선수의 테테전 최고 전성기.
           엄청난 물량으로 상대를 굴복시키던 모습이 인상적이었죠.
           가장 기억에 남는 경기로는 물론 임요환 선수와의 결승전 경기이고, 
           센게임배 MSL에서의 레이스 물량과, 이병민 선수를 상대로한 상성을 무시하는 레이스, 벌쳐 물량이 정말 인상 깊었습니다.)
64 43 21 패 (67.19%) (2004년 6월 24일까지)
3425 9 패 (73.53 %) (2003년)
연승기록 : 7연승(04년, 나도현 선수에게 깨짐)
           (공식전) 6연승(03년, 이윤열 선수에게 깨짐), 6연승(04년, 나도현 선수에게 깨짐)

서지훈

2001년~2004년 (유독 최연성 선수에게 강해보였던 서지훈 선수입니다. 하지만 또 유독 이윤열 선수에게 약했었죠.
                     전성기라고 할 수 있는 이 당시에도 이윤열 선수에게는 3승 12패의 초라한 성적을 보였으니 말입니다.
                     이윤열 선수와의 전적을 빼면 77.77%라는 놀라운 성적이 나오는 군요.
                     명경기로는 최연성 선수를 상대로한 포르테와 레퀴엠에서의 경기를 들고 싶네요.)
10773 34 패 (68.22 %)
연승기록 : 8연승(04년, 최연성 선수에게 깨짐)
           (공식전) 9연승(05년, 한동욱 선수에게 깨짐)

이병민
2003년~2005년 (이 당시에는 이병민 선수가 최고의 테테전을 펼쳤죠.
                      명경기로는 이겼던 경기가 딱히 떠오르지가 않네요. 죄송합니다;
                      하지만 그래도 이병민 선수가 여러 명경기를 배출해냈죠;)
976631 패 (68.04 %)
연승기록 : 7연승(05년, 나도현 선수에게 깨짐)
           (공식전) 6연승(07년, 서지훈 선수에게 깨짐)

변형태
2005년~2006년 (정말 화끈하고, 강력했던 변형태 선수.
                      이 선수의 테테전은 정말 재미있던 것 같습니다.
                      명경기로는 정확히 기억 나지는 않지만 빌드 상성에서 불리했음에도 불구하고 이겼던 이성은 선수와의 경기를 들고 싶네요.)
4027 13 패 (67.5 %)
연승기록 : 10연승(07년, 민찬기 선수에게 깨짐)
           (공식전) 7연승(06년, 전상욱 선수에게 깨짐), 7연승(07년, 진영수 선수에게 깨짐)

고인규
2006년~2008년 6월 (정말 '테테전의 황제'라고 불릴만큼 이 기간 동안 최고의 테테전을 보여줬었죠.
                             명경기로는 역시 염보성 선수와의 경기가 기억에 남습니다. 뉴클리어를 선보였죠.)
4117패 (69.09%)(06~08년 7월 1일까지)
연승기록 : 11연승(08년, 변형태 선수에게 깨졌습니다.)
             (공식전) 10연승 (08년, 변형태 선수에게 깨졌습니다.)

이성은

2007년~2008년 (정말 이성은 만의 테테전이 있다고 생각될 정도로 테테전에서 두각을 나타내던 선수군요.
                      상대의 배틀을 드랍쉽 골리앗으로 제거하거나 고스트를 적극적으로 쓰는 등 특징 있는 테테전을 보여줬습니다.
                      명경기로는 신희승 선수와의 경기에서 보여준 락다운 전략과 박정욱 선수를 상대로한 패스트 핵을 뽑고 싶군요.)
6643 23 패 (65.15%)
연승기록 : 9연승(08년, 박성균 선수에게 깨짐)
           (공식전) 8연승(08년, 신상문 선수에게 깨짐)

이영호

2008년~ (현재 정말 테테전에서 최고의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날빌과 같은 초반 전략적인 수가 아니라면 중후반 운영에서 상대를 거의 압도한다고 생각 됩니다.
             명경기로는 최근에 위너스리그에서 펼쳐진 신상문 선수와의 경기를 들고 싶습니다.)
714922 패 (69.01 %)
연승기록 : 10연승(08년, 정명훈 선수에게 깨짐)
           (공식전) 8연승(08년, 정명훈 선수에게 깨짐), 8연승(09년, 신희승 선수에게 깨짐)
(참고로 테테전의 공식전 최고 연승기록은 고인규 선수의 10연승입니다.)


이상을 정리하면 이윤열-서지훈/최연성-이병민-변형태-고인규-이성은-이영호 순이라고 볼 수 있겠네요.
(2008년 후반기에는 고인규 선수의 테테전이 몰락하고, 확실히 이성은 선수가 강력하네요.)




저저전

홍진호
2000~2003년 (폭풍저그 홍진호 선수... 정말 초기에 저저전 하면 이 선수를 떠올렸던 것 같습니다.
                    가장 기억에 남는 경기는 당연 김준영 선수와의 장기전입니다.)
1399346 패 (66.91 %)
연승기록 : 11연승(이벤트전 7승), 6연승(2회)
               (공식전) 6연승 <박경락 선수로 시작해서 박경락 선수가 끊었습니다.>

조용호
2002년~2003년 (이 선수의 저그전도 많이 주목했었죠. 저그군단 소울의 저그였기 때문에 많이 주목했었죠. 210전(공식전 113경기)으로 저저전 최다 경기수라는 기록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
804832 패 (60 %)
연승기록 : 6연승
               (공식전) 7연승

박태민
2003년~2004년 (이 시기에 정말 7할을 넘어서는 무서운 저저전을 보여줬네요. 최근에 전적은 적지만 김명운, 신노열 선수등을 꺾으며 좋은 기록을 보여줬는데, 공군에서도 기대가 됩니다. ^^)
644618 패 (71.88 %)
연승기록 : 9연승, 8연승(공교롭게도 이제동 선수에게 끊겼습니다.) 7연승(2회), 6연승, 5연승... (모든 연승기록을 다해봤습니다. 놀라 자빠질뻔했네요;)
               (공식전) 6연승

변은종
2004년~2005년 (역시 저그 군단 소울의 저그... 확실히 승률도 높았군요.)
전적 745024 패 (67.57 %)
연승기록 : 9연승, 8연승, 7연승(2회), 6연승, 5연승... (;;; 박태민 선수와 연승기록이 똑같네요. 절대 실수가 아닙니다. 놀랍네요;; 어이가 없어서 다시 2번 조사해봤습니다.)
               (공식전) 7연승, 5연승

박성준(삼성)
2004년~2006년 (저저전에서 만큼은 큰 두각을 나타냈던 삼성의 박성준 선수입니다.
                       저저전에서 울트라리스크를 뽑는 기가막힌 모습을 보여줬었죠. 인상적이었던 선수입니다.
                       데뷔초 슈마GO와의 팀리그에서 저저전의 강자 박태민 선수를 꺾으며 나타나 한동안 전성기를 누리고,
                       역시 새로운 강자 이제동 선수를 마나 연승기록을 저지 당하였습니다.)
전적 523715 패 (71.15 %)
연승기록 : 10연승 (이제동 선수에게 깨졌습니다.)
                (공식전) 6연승 (이제동 선수에게 깨졌습니다.)

마재윤
2005년~2006년 (2004년 말 변은종 선수를 2-0으로 꺾고, 투산배 팀리그에서 KTF를 상대로 홍진호, 조용호 선수를 1경기, 4경기에서 꺾으며, 제게 각인을 시켜줬었던 마재윤 선수. 심소명 선수와의 결승전이 기억에 남는군요.)
전적 65 4421 패 (67.69 %)
연승기록 : 8연승 (김준영 선수에게 끊겼습니다.)
               (공식전) 5연승 (박명수 선수에게 끊겼습니다.)

이제동
2006년~ (스타리그 24강 진출전에서 마재윤 선수를 꺾으며, 이제동이라는 이름을 석자를 제대로 각인해줬었죠.
             명경기로는 WCG 박찬수 선수와의 경기와 프로리그 김정우 선수와의 경기를 들고 싶습니다.)
전적 987622 패 (77.55 %)
연승기록 : 12연승(임동혁 선수에게 끊겼습니다.) 10연승
                (공식전) 12연승(이주영 선수에게 끊겼었죠.), 9연승(박찬수 선수에게 끊겼었죠.)

박찬수
2007년~  (2005년 당시에는 반타작 정도의 신인. 하지만 2006년 말 홍진호, 조용호, 이제동이라는 과거와 현대 저저전의 강자를 꺾으면서 급상승 했더군요.)
전적 64 45 19 패 (70.31 %)
연승기록 : 10연승(서경종 선수에게 끊겼네요.)
                (공식전) 6연승(역시 서경종 선수에게..)

정리하면 홍진호/조용호 - 박태민 - 변은종/박성준 - 마재윤 - 이제동/박찬수 순입니다.



이상으로 역대 동족전 강자들을 시대순으로 나열해봤습니다. ^^;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honnysun
09/03/16 00:12
수정 아이콘
임요환 선수의 테테전은 기록에 없군요. 제 기억에서는 가장 재미있는 테테전을 구사했었는데.
좋은 정보 잘보고 갑니다.
최후의토스
09/03/16 00:20
수정 아이콘
honnysun님// 임요환 선수의 테테전 정말 재미있었죠. 특히 이윤열 선수와의 경기는 가장 큰 주목을 받았던 것 같습니다.
하지만 포스면에서 비교적으로 조금 약하다는 생각에 뺐습니다;;
09/03/16 00:24
수정 아이콘
허영무선수의 토토전 전적도 궁금하군요~
최후의토스
09/03/16 00:26
수정 아이콘
jc님// 2008년 이후 63% 정도의 승률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최후의토스
09/03/16 00:29
수정 아이콘
허영무 선수는 T1토스들에게 많이 졌더군요.
T1 토스들과의 전적을 제외하면 73.33%의 승률이 나옵니다;
진리탐구자
09/03/16 00:29
수정 아이콘
임요환 선수의 테테전은 생각보다 승률이 높지 않을 겁니다. 전성기에 김정민 선수에게 정말 많이 졌거든요.
09/03/16 00:30
수정 아이콘
찬수박이 이제동을 극복할 수 있을까가 기대됩니다.
산들 바람
09/03/16 00:34
수정 아이콘
박찬수선수는 최근 이제동선수에게 연패 하고 있어서 두 선수가 붙으면 언제가 경기가 재밌어요 한끝 차이라 그런가~
최후의토스
09/03/16 00:48
수정 아이콘
진리탐구자님// 아.. 옛날 생각나는군요. '테란의 왕자 vs 테란의 황제'라고 불리며 경기를 치뤘던 것 같습니다. 지금와서 전적을 조회해 보니 12:12로 동률이더군요. 정말 치열했었네요. 하;
09/03/16 00:51
수정 아이콘
최후의토스님// 황태자 VS 황제 아니었나요?
정말 두 선수의 테테전은 재미있었죠.
개마고원에서의 승부가 제일 기억에 남네요.
09/03/16 00:57
수정 아이콘
염보성
07 - 08
vs Terran : 81 전 54 승 27 패 (66.67%)

임요환
01-02
vs Terran : 101 전 62 승 39 패 (61.39%)

허영무
08 -
vs Protoss : 57 전 36 승 21 패 (63.16%)
09/03/16 00:59
수정 아이콘
저기 박성준 선수는 저저전 승률이 좋지는 않았나요? 없네요.
정태영
09/03/16 01:06
수정 아이콘
임요환 과 김정민의 대결은 황제 vs 귀족 이 가장 유명하죠.
임요환은 겜큐시절부터 별명이 테란의 황제 였지만 김정민은 정석테란..
뭔가 둘의 매칭을 이슈화, 네임화 어려웠습니다.
다행히 온겜sky배 4강인가..에서 임요환 대 김정민의 대결을 황제와 귀족 이라 칭하고 그후 그게 가장 보편적인 네이밍이었던 걸로 기억합니다.
당시 네이밍은 엄위원이 아닌 정일훈 캐스터가 붙였을 겁니다.
최후의토스
09/03/16 01:09
수정 아이콘
하만님// 정태영님의 말씀이 맞는 것 같습니다. 기억이 가물가물해서 정확히는 모르겠군요. ^^;;
왕자, 황태자, 귀족 등의 별명이 모두 쓰이지 않았던가요? 하;
기다리다
09/03/16 01:14
수정 아이콘
전성기의 임요환의 천적이 김정민, 최인규 선수의 프로토스였죠...

하지만 임요환 선수가 게임큐 3차 4강에서 김정민선수, 결승에서

최인규 선수를 연달아 격파하며 누가 임요환을 이기나 했었는데....

그립네요 그 시절....
최후의토스
09/03/16 01:17
수정 아이콘
CR2032님// 투신 박성준 선수라면 전성기 때를 봐도 그렇고, 오히려 테란전보다 안 좋은 모습을 보여줬던 것 같습니다. 그런 이유로 저저전 강자라는 이미지가 약한 것 같습니다;; 삼성의 박성준 선수라면 전성기 기간이 너무 짧았기에 뺐습니다.
기다리다
09/03/16 01:17
수정 아이콘
아무래도 귀족 vs 황제가 가장 많이 불렸던거 같군요...귀족의 승리로 혁명이 될것인가 아니면 실패한 쿠데타로 끝날것인가...
09/03/16 01:22
수정 아이콘
김정민 해설은 원래 테란의 왕자로 불렸었죠.. 스카이배 4강대결서 임요환선수의 황제칭호를 물려받는게아니라 귀족으로써 황제의 자리를 빼앗아야된다고 중계진이 귀족테란으로 강등(?!)시켜줬었죠;;
한가지
09/03/16 01:37
수정 아이콘
06년 김준영선수도 저그전 좋았었는데..당대 마재윤 - 김준영 투톱이었죠. 비슷한 시기 한동욱 선수도 스피드의 테란전을 선보이며 소닉테란이란 닉을 얻기도 했었구요.

세월이 주마등같이 흐르는군요.
09/03/16 01:42
수정 아이콘
이해가 안되는 수많은 천적관계가 있지만 역시 이윤열-최연성, 이윤열-서지훈 관계가 제일 오묘하군요...
테테전 역대최강 이윤열선수가 항상 최연성선수만 만나면...
테테전 역대최강(2) 서지훈선수가 항상 이윤열선수만 만나면...
그리고 천적까진 아니지만 최연성선수가 서지훈선수한테 밀리던 것도...
최강자들끼린 보통관계는 평범하다 이건가요 ^^
최후의토스
09/03/16 02:17
수정 아이콘
저... 한 가지 질문을 던져보겠습니다. 송병구 선수의 프프전 몰락은 피지컬적인 면이라고 할 수 있겠는데,
도재욱 선수의 프프전은 왜 몰락한 것일까요? 최근 20경기 9승 11패... 단순히 슬럼프일까요? 흠;
어떻게들 생각하시나요?;
신예ⓣerran
09/03/16 02:40
수정 아이콘
고인규선수가 10연승 달성 할때 당시 해설이 변형태선수의 10연승과 타이기록이라고 말했던것 같은데 잘못 알고 있었나요 음. 바로 11연승 도전하는 경기가 변형태 선수와의 폭풍의 언덕에서 패배해서 변형태선수가 자신의 기록을 지켰다고 했던것 같은데 잘 못 알고 있었던건가요. 프로리그 내에서만의 기록인가요.;

이영호선수의 테테전 경기중에 임팩트 있던 경기는 진영수선수와의 블루스톰 경기를 꼽고 싶네요.
속도의 이영호가 무엇인지 보여주는 화려한 드랍쉽 움직임으로 적은 병력으로도 효율적인 방어를 해내면서 초패스트 배틀쿠르져.. 그때만큼은 정말 아마추어대 프로의 대결이 아닌가 싶을정도로 원사이드하고 또한 완벽했었죠.
또 하나를 꼽자면 박성균선수와의 오델로 경기가 있겠네요. 당시 완벽한 천적관계에 있던 이영호-박성균. 박성균선수가 빌드의 유리함으로 천적관계를 풀어가나 싶었지만 이영호선수의 빠른 판단과 움직임으로 박성균선수의 앞마당 언덕을 장악하고 역전해버린 경기가 생각나네요.
선미남편
09/03/16 02:52
수정 아이콘
박정석 선수와 강민 선수는 동족전을 5년이나..탑클의 성적을 유지했다니..이열..
대단하군요..
최후의토스
09/03/16 02:53
수정 아이콘
신예ⓣerran님// 변형태 선수의 10연승 기록 말입니다. YG에서는 신한은행 마스터즈를 비공식전으로 기록했고, 포모스에서는 공식전으로 기록했습니다. 어디가 맞는 것일까요?; 공식전이라면 10연승 기록이 맞겠지만 예전 공식이냐 비공식이냐로 시끄러웠던 것 같은데, 어떻게 되었는지 모르겠네요.
신예ⓣerran
09/03/16 03:08
수정 아이콘
최후의토스님// 아 신한마스터즈 때문에 그런가보군요. 그렇다면 고인규선수의 10연승이 유일하다고 봐야할까요? 신한마스터즈가 공식전이면 홍진호선수는 본좌...(?)
배불뚝이
09/03/16 03:31
수정 아이콘
강민 선수의 프프전은 두 패러다임 정도가 지나는 시간 동안 강력함을 유지했었죠.
반박자 빠른, 말로 표현하기 미묘한 타이밍에 확장을 빨리 가져가는 특유의 기본 빌드에
패스트 닥템, 리버, 노동 드랍 등과 같은 전략이 간간히 어울리면서 프프전이 재밌다는 것을 각인시켰었습니다.
그 뒤로 한 번쯤 더 사용했으면 어땠을까 싶었던 패러독스에서 옵커세어-다크 전략은 정말 충격적이었구요.

강민 선수가 종종 보여주는 불가사의한 컨트롤은 프프전에서도 일 년에 한 두 장면씩 보여줬었는데,
마이큐브 결승전 2경기(길로틴)의 분노의 한 방 러쉬,
박용욱 선수에게 3:1로 지던 MSL 4강에서, 두 번째 경기에서 보여준 역시나 분노의 한 방 러쉬,
역시 MSL에서 박정길 선수와의 두 번째 경기에서 기막힌 자리 배치로 한배 반 가까이 되는 병력을 막아내던 장면
등이 떠오르네요.

사실 강민 선수가 오랜 기간 동안 장수할 수 있었던 건 슬럼프가 찾아올려하면 맞이한 플토전을 모조리 잡아낸 측면이 컸습니다.
당시 저그전이 가장 강한 플토 선수였던 것은 분명하지만 50%를 조금 상회하는 수준이었고
테란전이 엄청 강력하긴 했지만, 최연성 선수에게 안드로메다를 갔다 오면 꼭 단기 슬럼프를 겪었으니까요.
플토전에서는 중요 경기마다 박용욱 선수와의 대결에서 패했던 것이 그 긴 기간 동안 플토전에서 남긴 거의 유일한 오점이었습니다.
그래도 대개 강민 선수가 자신의 천적인 선수는 극복하지 못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은퇴하였는데(최연성, 박성준, 마재윤 등)
MSL 4강에서 '악마스러운' 플레이로 3:0의 패배를 박용욱 선수에게 안겼으니
강민 선수의 입장에서 은퇴 후에도 먼가 하나는 청산한 느낌이 들지 않을까 싶습니다.

또 하나 강민 선수의 프프전은 MSL에서만큼은 지존에 가까웠던 기억이 나네요.
3.3 혁명 당시 김택용 선수가 MSL 전적을 기준으로 하면 마재윤 선수를 이길 확률보다 강민 선수를 이길 확률이 더 낮았죠.
파마 머리에 색깔있는 테를 끼고 나와 시원하게 지고 멍하니 있던 강민 선수가 기억납니다.
아마 본인이 제일 놀랐겠죠. 그렇게 실력차가 나게 질 줄 누가 알았겠습니까.
더구나 그 충격의 여파 때문인지 강민 선수 자체가 재기 불능으로 치달았으니 정말 '쩝쩝..' 하군요.

그의 미묘하게 반 박자 빠른 멀티가 왠지 그리워지는 밤입니다...
09/03/16 03:32
수정 아이콘
테테전은 한웅렬 선수가 참 잘 했었는데, 전적이 적어서 없나 봐요.
잠잘까
09/03/16 03:35
수정 아이콘
헐 이제동 선수 승률이...입 벌어 지네요
선미남편
09/03/16 03:41
수정 아이콘
배불뚝이님//
아, 진짜 강민 선수의 미묘한 반박자 빠른 멀티..
박정석 선수 팬으로썬..참 얄미웠죠..
지금 생각해보면 정말 대단했던 선수임은 분명하지만요.
최고의 컨트롤과 생산력, 공격력을 갖고 있다고 자부해왔던 박정석 선수의 3게이트 질드라를 그것도 개방형 맵인 기요틴에서
번번히 강민 선수는 마법의 2게이트로 방어 하며, 선멀티..ㅠ
09/03/16 07:59
수정 아이콘
전성기때 최연성선수는 테막이였는데 이상하네요.(유머입니다.-_-)
밑힌자
09/03/16 08:28
수정 아이콘
도대체 이제동 77%... 다른 동족전도 아니고 저저전인데 - _-
09/03/16 09:41
수정 아이콘
재밌네요. 강민 선수의 동족전 강자시절때 신인이었던 송병구 선수가 동족전을 잘한다그래서

둘이 붙으면 어떻게 될까 했는데 송병구 선수가 이겼었죠.

원래 김택용 선수가 저그전을 매우 잘한다고 알고 있어서 그런지

김택용 선수가 강민 선수를 3:0으로 이겼을때는 마재윤 선수를 3:0으로 이겼을때보다

충격이었습니다.
09/03/16 09:42
수정 아이콘
이윤열 선수는 테테전 2006년시즌에도 26승12패로 68%정도에 달합니다.
감전주의
09/03/16 10:00
수정 아이콘
도재욱/이제동 이 두선수의 동족전은 짐승포스였군요..;;
09/03/16 11:04
수정 아이콘
최연성선수는 34전에 불과하군요;;
도라귀염
09/03/16 12:26
수정 아이콘
그러게요 글쓴분이 최연성 선수 팬이신듯 팀리그 괴물때를 제외하면 테테전이 그다지 돋보이지 않던 선수였는데
09/03/16 12:26
수정 아이콘
이제동 이거 테스트 해봐야하는거 아닌가요 100전가까이에 77%라니 -_-
BlazinBeat
09/03/16 13:06
수정 아이콘
테테전 공식전 연승기록의 고인규선수가 짤막한 참고로 언급되고 한줄정리에도 없는것이 아쉽기도 하고 이해가 안되는데 혹시 전적이 적거나 승률이 많이 낮은가요? 기록적인 면은 모르겠지만 본문에서 그부분이 걸리네요.
강아지
09/03/16 13:09
수정 아이콘
올드 느낌상 테테전은 이윤열, 저저는 이제동인데 토토는 누군지.. 다들 고만고만 해서..
구경플토
09/03/16 13:47
수정 아이콘
한때 저저전 하면 변은종 선수였는데 결정적인 순간에 삐끗 삐끗 해서...
요즘은 뭐 하고 지내는지 참 궁금하네요.
최후의토스
09/03/16 13:58
수정 아이콘
제가 최연성 선수의 센게임배 우승하던 당시의 포스가 인상적이었던지라
최고의 승률로 넣으려다보니 2003년만 넣어버렸네요. 2004년 말에 너무 승률을 깎아먹어서
2005년 승률도 좋은데 연결하기가 애매했습니다; 아무튼 2004년 전반기를 넣어서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
최후의토스
09/03/16 14:07
수정 아이콘
BlazinBeat님// 고인규 선수의 내용을 추가했습니다. 확실히 '테테전의 황제'라고 불렸던 고인규 선수를 뺀 것은 큰 실수입니다. 하;
최후의토스
09/03/16 14:24
수정 아이콘
강아지님//
프프전은 어떻게보면 3대토스간의 치열한 접전, 택뱅록, 6룡대전 등으로 확실한 강자가 뚜렷하게 보이지는 않았다고 볼 수 있겠지만
2006년에 강민 선수가 박용욱 선수를 극복해내면서 승률 8할을 기록하며 첫 프프전 최강자로 우뚝 섰고,
2007년에는 송병구 선수가 별다른 적수가 없었고, 승률 또한 73%로 평정했다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올해 18 전 15 승 3 패 (83.33 %)를 기록하고 있는 김택용 선수가 최강자의 모습을 보이고 있다고 생각되네요.
이철순
09/03/16 14:53
수정 아이콘
마이큐브배 4강 강민대 박정석 기요틴 경기 아직도 기억이나네요...크크크크

그때..다크1기인가 2기로 채력3?남고 옵저버나왔던경기....
souLflower
09/03/16 16:38
수정 아이콘
강민선수가 프프전을 108전이나 했군요...;그중에서 71승이나 챙겼다는 사실이 놀랍습니다...;
최후의토스
09/03/16 16:51
수정 아이콘
souLflower님// 네, 정확히는 총 129 전에서 80 승 49 패 (62.02 %)이죠.
09/03/16 20:41
수정 아이콘
도재욱선수의 18연승은 버금가는 선수조차 없군요;;
테란의 횡재
09/03/16 22:20
수정 아이콘
네오위즈 피망 온게임넷 프로리그에서 이전 프로리그 MVP인 최연성선수와 당시 리그의 최고의 루키 이병민선수와의 신개마고원 테테전을 기억하시는 분들 안 계시나요????
게임전부터 엄청나게 이슈되었었는데;;
최후의토스
09/03/16 23:00
수정 아이콘
삼성준 선수를 넣도록 하겠습니다. 넣어야 한다는 분의 숫자가 넣지 말아야 한다는 분의 숫자보다 많더군요. 확실히 타당하다고 생각합니다.
09/03/17 04:35
수정 아이콘
07 ~ 08은 이성은선수보다 염보성선수가 전적도 많고 승률도 더 높은데....
이성은선수가 게임외적인 임팩트가 크긴했지만, 그래도 안정감과 꾸준함에서 염보성선수의 손을 들어주고싶네요.
최후의토스
09/03/17 13:18
수정 아이콘
旼님// 염보성 선수가 아니라 이성은 선수를 넣은 이유는 공식전에서 이성은 선수는 약 7할의 승률(이벤트전과 OSL 예선에서 많이 졌더군요), 염보성 선수는 6할의 승률 이기도 하고, 특히 전체적으로 이긴 선수를 살펴봐도 이성은 선수가 보다 질 높은(?;) 전적을 보인다고 생각하기에 이성은 선수를 택하였습니다.
09/03/17 23:24
수정 아이콘
비공식전적과 더불어 공식전전적도 보고싶네요;
도재욱 토토의 위력은 공식전에서 워낙 포스가 더욱 강렬한지라..;
07-08년 공식 토토 37 전 28 승 9 패 (75.68 %)
라구요
09/03/18 06:31
수정 아이콘
내기억속의 최고의 테테전.................
센게임 결승 4차전..... 이윤열vs최연성 데토네이션......
이윤열 전진투배럭....

그리고 또하나...
임요환 vs 구성훈 블루스톰 프로리그
창작과도전
09/03/18 22:38
수정 아이콘
김정민선수가 테란의 왕자나 황태자는 조금 아니죠.

나이는 임요환선수보다 어리지만, 게임경력은 비슷하거나 오히려 좀 더 전세대에 해당하는데...

후배가 황젠데 선배가 황태자라는건 말도 안되죠.

귀족이야 연령이나 세대와 무관한 개념이라지만 왕자나 황태자는 아니라고 봅니다. 그시절에 그렇게 부르는 경우도 거의 없었고요.
09/03/28 00:10
수정 아이콘
최연성 선수 전적은 따로 토까지 달아주셨는데..
이윤열의 01-02 테테전 전적입니다 .vs Terran : 13 전 11 승 2 패 (84.62%)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공지 댓글잠금 통합 규정(2019.11.8. 개정) jjohny=쿠마 19/11/08 375946 0
공지 게임게시판 운영위원회 신설 및 게임게시판 임시규정 공지(16.6.16) [3] 노틸러스 15/08/31 446512 4
공지 공지사항 - 게시판 글쓰기를 위한 안내 [29] 항즐이 03/10/05 609399 13
79741 [모바일] [명조:워더링 웨이브] 개발 단말 통신 시즌3 · 1.1버전 업데이트 미리보기 [10] 캬옹쉬바나769 24/06/18 769 1
79740 [LOL] 현재 솔랭이 뱅가드 오류로 게임중 다 팅기고 난리도 아닙니다. [37] 지금부터끝까지4464 24/06/18 4464 2
79739 [모바일] 미소녀+메카는 못 참줴~(스타레일 2.3버전. 안녕, 페나코니) [19] 대장햄토리1987 24/06/18 1987 1
79738 [기타] [철권] 월드 투어 2024 세계랭킹 현황 [21] 손금불산입5537 24/06/17 5537 3
79737 [기타] 이스포츠 월드컵 한국구단의 진출현황 [32] Rated8461 24/06/17 8461 1
79736 [LOL] 티젠전 시청자수 또 백만 돌파 [16] Leeka9425 24/06/16 9425 0
79735 [LOL] 젠지, 티원상대 9연승 달성 [162] Leeka16188 24/06/16 16188 15
79734 [LOL] lck 최초 디펜딩챔피언 매치업 성사 [18] 카바라스9450 24/06/16 9450 2
79733 [LOL] 스카너, 과연 그 정도인가? (LCK) [37] 제라그10215 24/06/15 10215 1
79732 [LOL] 리플레이3 공개!! [30] 본좌9142 24/06/15 9142 0
79731 [LOL] 첫 우승과 마지막 우승의 텀이 햇수로 5년 이상인 선수들 [7] Leeka5803 24/06/15 5803 0
79729 [LOL] 전설의 전당 : faker [48] 리니어8235 24/06/15 8235 15
79728 [LOL] Peyz, LCK 올타임 펜타킬 2위 달성 [79] Leeka8189 24/06/14 8189 4
79727 [LOL] [단독] ‘베트남 한국 여성 살인’ 전직 프로게이머 L 씨, 마약까지 검출 [32] 아롱이다롱이9428 24/06/14 9428 0
79726 [LOL] 아레나 신 칭호를 따보았습니다. [5] 2차대전의 서막4779 24/06/14 4779 0
79725 [LOL] 광동 프릭스, 쾌조의 스타트 [45] Dunn8235 24/06/14 8235 3
79724 [콘솔] 발매후 거의 10년이 지나고 처음 접해본 위쳐3 후기 [39] 퓨어소울7441 24/06/13 7441 7
79723 [LOL] 페이커 아리 판매중입니다.(선착순 이벤트도 있네요.) [26] 본좌9678 24/06/13 9678 0
79722 [LOL] 서머 개막전 후기 [16] 말레우스8368 24/06/13 8368 3
79721 [LOL] DRX 최상인 대표 사임 [42] Leeka9192 24/06/13 9192 4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