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07/01/06 15:04:20
Name The Siria
Subject 개인적으로 꼽은 2006 E-Sports 10대 사건(1)
1. 성명석 징계 파동

이 사건은 그렇다.
솔직히 그 누구도 주목하지 않은 채, 6월에 일어나 조용히 묻혀진 사건이다.
당사자가 받은 징계는 이러하다.
2년간의 프로게이머 자격 정지 및 1년간 협회가 주최하는 공인대회 출전 금지.
징계 사유는 당시 Project_kr을 떠나 루나틱 하이로 옮기는 과정에서 이중 계약으로 프로팀에 피해를 주었다는 점이다. 계약 기간이 4개월 가량 아직 남아있던 것이 화근이 되었고, 결국 이중 계약으로 그는 자격 정지라는 징계를 받게 되었다.

얼핏 보면, 아무렇지도 않은 사건일 수 있는 이 일에 주목을 하는 이유는 이 사건이 KeSPA의 구조적인 문제와 프로팀의 정의에 대해 한 번 쯤 생각하게 하는 사건이기 때문이다. KeSPA의 홈페이지에는 프로게임단을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프로게임단은 게임대회를 통하여 소속사의 홍보 및 상금 획득을 목적으로 프로게이머를 선발, 보유, 육성, 지원 하는 조직을 말한다. 옳은 말이다. 그에 따라 프로게임단은
1. 전용연습장과 4명 이상의 공인 프로게이머, 협회에 등록된 감독 등이 있어야 하며,
2. 단, 선수 개개인과의 계약관계를 서면상으로 분명히 하여야만 하고 계약 위반시 대회 참가를 금지시킬 수 있으며 게이머협의회에서 정하는 일정액의 가입금을 납입하여야 한다.

징계의 문제는 여기서 출발한다.
미성년자인 성명석의 경우, 서면상으로 계약 관계를 입증할 수 있을까?
성명석의 대리인은 누구일까? 현행 법률 상 미성년자는 자신의 계약에 대해서 대리인이 분명 존재해야 하는 상황이다. 친권자인 그의 부모가 계약을 이끌었을까? 그리고, 징계가 내려지는 과정에서 이렇다할 소명의 기회는 과연 주어졌을까?
현재 프로게임단 현황은 11개팀이다.
당연한 이야기지만, Project_kr은 프로팀이 아니다. 그 상황에서 프로게임단이 아닌 선수의 계약 관계를 협회가 지적하고 문제삼을 권한이 있을까? 성명석은 프로게이머이다. 그러나 그는 법적으로 엄연히 무소속인 게이머이고, 그의 계약은 미성년자의 계약으로 무효로 볼 수 있다.

선수 자신이 잘했다는 소리는 하지 않겠다.
다만, 그 징계의 과정에서 규정의 미비함은 어떻게 설명할 수 있을까?
KeSPA의 의사소통 구조는 과연 제대로 작동하고 있었던 것일까.
여러 경로를 통해 나온 글을 보면, 양자의 합의가 가능하다고 알려져 있다.
어차피 신경을 쓰지 않았기에, 상관이 없다는 태도였을까?
프로게임단의 정의는 또 무엇일까?
그 엄격한 정의에 부합하려면, 참고로 300만원의 돈을 매년 낼 수 있어야 한다.
그 정의란 과연 많은 이들의 합의 속에서 내려진 것일까.

어차피 협회가 공인하는 카스 대회는 없다.
(따라서 징계의 의미가 있을까는 솔직히 의문이다.)
다만, 팀 경기에서 한 선수의 징계의 의미는....
그리고, 이런 식의 징계 과정에서의 불투명성은 과연 협회의 권위를 세우는 것일까.
작년, 최연성과 이병민의 계약 과정에서 파동으로 홍역을 치룬 상황에서 다시금 발생한 비슷한 사건에 대해 우리는 무엇이라 말 할 수 있을까. 계약에 대한 표준화된 규정과 표준 계약서, 법적인 대리인을 명문화하는 과정이 일어나지 않는다면, 이러한 사태는 얼마든지 재발할 것이다.
문제에서 교훈을 얻지 못하는 이들에게 경종을 울리는 한 사건이 되었기를 바라며.

선수 하나 자격정지 시키는 것보다 그런 상황이 다시 일어나지 않도록 문제를 보완하는 것만이 진정한 해결책일 것이다. 스타리그만이 아니라, 카트나 카스도 프로게이머가 있고, 이는 언제든 비슷한 상황을 낳을 수 있다는 것이기에.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이유있음
07/01/06 15:10
수정 아이콘
역시 올해의 비호감 케스파
NeverMind
07/01/06 15:19
수정 아이콘
제가 기억하기론 이 사건에 대한 벌금이 어마어마한 2천만원이였던 걸로 기억하는데 그건 어떻게 되었나요???미성년인 프로게이머에게 그것도 스타게이머들처럼 일정한 수입이 있는 것도 아닌 상황에서 2천만원이라는 어마어마한 벌금을 매겨서 더욱더 비난을 샀던 걸로....
그걸 갚기 위해 루나틱 하이쪽에서 엄청 이리 뛰고 저리 뛰고 하면서 하소연의 글을 본적도 있고 한데 그건 어떻게 처리했는지 궁금하네요...
07/01/06 15:34
수정 아이콘
케스파 진짜 싫어요.
언제부터 카스에 관심 있었다고(...)
부모님께효도
07/01/06 15:36
수정 아이콘
WEG도 덩달아 비호감
비롱투유
07/01/06 15:52
수정 아이콘
그런일이 있었나요... 허허
07/01/06 15:57
수정 아이콘
전 슈파 워크에서의 GL이었나요... 그거 가지고 뭐라고 하는 것이-_- 그냥 방송 리그나 신경 쓰지...
부모님께효도
07/01/06 16:15
수정 아이콘
루나틱하이는 프로팀도아니고 정말 동호회성격의 크루인데
거기다가 2천만원요구 후덜덜덜
Qck mini
07/01/06 17:05
수정 아이콘
그냥 프로게이머 안하고 말지.
김우진
07/01/06 20:28
수정 아이콘
윗분 댓글 보니까 정말 협회 공인대회도 없으면서 터치해도 되는건가요?
양아치들 장사할때 자릿세 내라는 것과 별반 다를께 없군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공지 댓글잠금 통합 규정(2019.11.8. 개정) jjohny=쿠마 19/11/08 377157 0
공지 게임게시판 운영위원회 신설 및 게임게시판 임시규정 공지(16.6.16) [3] 노틸러스 15/08/31 447755 4
공지 공지사항 - 게시판 글쓰기를 위한 안내 [29] 항즐이 03/10/05 610790 13
79794 [스타1] (종합) 2024년 상반기 스타크래프트 방송 결산 [2] 김재규열사1476 24/06/29 1476 2
79793 [LOL] 젠지 올해 성적에 따른 역체xx 변화 [50] 잘생김용현4199 24/06/28 4199 1
79792 [LOL] 젠지, 서머 최단시간 기록 갱신과 함께 사우디컵 휴식기 전 전승 달성 [32] Leeka4372 24/06/28 4372 0
79791 [LOL] e스포츠팀 마케팅에서 T1홈그라운드가 가지는 의미 [13] 노틸러스3271 24/06/28 3271 3
79790 [LOL] T1 홈 그라운드의 묘미. 치어리더 대전 [51] SAS Tony Parker 6359 24/06/28 6359 2
79789 [LOL] T1 홈그라운드 관련 E스포츠 공정위 문의 결과 [99] Leeka6830 24/06/28 6830 1
79788 [LOL] 정부, e스포츠 토토 부정적 입장 전달 [26] 종말메이커7213 24/06/28 7213 6
79787 [모바일] 이번 여름은 설산이다.. (명조 1.1업데이트 승소산에서 울렸던 경칩 소리) [22] 대장햄토리2833 24/06/28 2833 0
79786 [스타2] 이스포츠 역사에 남은 짤이 10주년을 맞이했습니다 [12] MiracleKid3987 24/06/28 3987 8
79785 [LOL] 재미로 보는 젠지 경기를 제외한 픽들의 승률 [21] Leeka3754 24/06/27 3754 3
79784 [LOL] EWC 한국어중계 중계진이 확정되었습니다. [70] Rated8216 24/06/26 8216 9
79783 [LOL] 타도 젠지를 잠시나마 꿈꾸게 해준 한화생명. 고생했다 [156] Leeka12628 24/06/26 12628 4
79782 [LOL] 사우디컵 아프리카 뷰잉파티 상세 안내문 [5] 매번같은5571 24/06/26 5571 1
79781 [LOL] SOOP ( 아프리카 tv ) EWC 중계합니다 치지직은 중계 x [25] Rated5235 24/06/26 5235 2
79780 [LOL] 현 시점 기준 사우디컵 우승 배당 & 8강 매치 배당 [15] Leeka5515 24/06/26 5515 0
79779 [LOL] 글로벌 중계진들의 순위 예측 [15] Leeka3470 24/06/26 3470 0
79778 [LOL] 더샤이의 탑 에어컨론과 그걸 들은 킹겐 [51] Leeka5605 24/06/26 5605 0
79777 [PC] 약스포) 엘든 링 DLC 클리어 후기 [16] 김티모2925 24/06/26 2925 2
79776 [LOL] LCK 현 주전 선수들의 내년 샐러리캡 감면 % 정리 [28] Leeka7931 24/06/25 7931 1
79775 [기타] FF7R, 조작감에서 비롯된 불쾌한 경험 [26] 글곰5191 24/06/25 5191 7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