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04/05/01 06:25:48
Name Croove
File #1 12시뚫기.rep (0 Byte), Download : 403
File #2 레퀴엠12시뚫기.rep (0 Byte), Download : 464
Subject 레퀴엠에서 전진게이트 포토러쉬는 아직도 무적이다.
안녕하세요.자유게시판에 플토의 전진게이트 포토러쉬가 너무강력해서 테란이 막을수
있는 방법이 없다고 올린 사람입니다.
레퀴엠에 맨처음 글을 써놓고 한번 막아보겠다는 수많은 분들이계셨는데요.
일주일사이에 모두 상대해드렸습니다.그중에서 제대로 막으신분은아직까지
없었습니다.저는 이전략하나만 이제 벌써 200게임 가까이 했습니다.
그러면서 노하우도 많이늘었는데요.어제 강민선수대 최연성선수 레퀴엠전에서
강민선수가 질럿 포토러쉬를 감행했죠.그런데 실패하고 게임에 패배 했습니다.왜 그랬을까요?
저는 이렇게 생각합니다.일단 강민선수의 빌드가 정상적인 전진게이트 포토러쉬
도 아니였을뿐더러 빌드가 너무 어중간했습니다.그리구 서플라이를 깬이후에
약간의 방심도 함께 작용한것 같습니다.
이제 강민선수가 실수한점을 세세 하게말해보겠습니다.
첫째  처음 파일런을 중앙에 가깝게 짓고 처음 게이트도 중앙 전진게이트를 해야됩니다.
처음 파일런을 본진에 지어서 질럿 충원이 상당히 느려진게 큰 폐인 입니다.
둘째 포토이후에 바로옆에 게이트를 2개정도 지어서 3게이트로 질럿을 무한정으로
뽑아 줘야 됩니다.
레퀴엠전을 다시보니 질럿이 가장많을때가 3기였는데 그나마도 2기는 벌쳐강제공격
하다가 죽기직전이였고 3기가 동시에들어간적도없습니다.질럿의 수가 너무 적었습니다.
포토는 입구를 뚫기위한방법이지 실질적으로 피해를 주는건 질럿이여서 질럿의수가
상당량있어야 됩니다.
셋째 질럿이 벌쳐에 막힌후 포토 두개가 지어지고있었는데 완성돼기직전에 파괴됐죠.
그런데 그위치가 너무안좋았습니다.12시지역에서는 오른쪽 언덕위에 파일런을 짖고
그위에도 포토한기를짖고 질럿이 뚫고들어가서 시간을 끄는 사이에 그곳에 배터리와
포토한기를 추가시켜주는것이 중요합니다.
여기까지 가 전진게이트 포토러쉬를 하는점에있어서 실수한점이구요.
마지막으로 질럿이막히자 다크테크를 타셨는데.애초에 테크를 타실생각이 있으셨다면
가스를 미리 짖고 드래군 푸쉬를 곧바로가는 방법도 좋았을거라고생각됩니다.
여기까지가 강민선수의 아쉬운점이였습니다.

그리고 제가 맨처음 올린빌드와 전진게이트를 하지않은것 빼고는 상당히 비슷했는데요.
그전략을 그냥 그렇게 사용하실줄은 몰랐습니다.그전략은 깔금하게 다듬어진것도아니고
그나마도 본진게이트를 하셔서 똑같이하지않으셨지만..
저는 훨씬더 강력하게 전진게이트 포토러쉬를 하실줄알았습니다.그런데 그만큼
강력해보이지 않아서 아쉽구요.
제가 지금 생각하는 가장 막기어려운 전진 게이트 포토러쉬 리플레이를 참고로 올립니다.
그리고 리플다시는 분중에 최연성선수가 무조건 잘해서 막았다고 하시는분들이
많이 있으신데요.그건 아닙니다.최연성선수도 경기후에 인터뷰를 하셨는데요.
팀에서 전진게이트포토러쉬를 당했을때 막을수있는 방법이 scv모두를 끌고오는것
밖에없었다고 말하시면서 그나마도 막을수가없었고.
강민선수에게 이긴것은 운 이였다고 하셨습니다.
그리고 이런말도 하셨는데요 앞으로 공식경기에서 레퀴엠 테란대 플토전에서
테란이 이길일은 다시는없을거라고하셨습니다.
최연성같은 최강테란선수가 절대이기지 못할전략이라고장담하시는거니깐
정말 이전략은 절대 막을수가없는것 같습니다.
그리고 지금 올리는 참고리플레이는 상대방분이 준프로급의 유져이시구요.
실력은 보장할수 있는 유져가 한리플레이라고 보장합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04/11/03 08:03
수정 아이콘
결과적으로 이 빌드는 프로게이머들사이에서는 이제 '막힌다' 라고 결론이 났네요.. -_-;;
04/05/01 06:47
수정 아이콘
이 방법이 쉽게 안통하게하는 방법이있는데요.바로 언덕 바로위부분은
건물이지어지지 않게 타일을 까는겁니다.그렇다면 공정한 맵밸런스가
나올거 같습니다.
저그플토중심
04/05/01 07:01
수정 아이콘
정말 막기 어려워 보이는군요..
입구 안막고 투배럭을 해야하나....
04/05/01 07:06
수정 아이콘
저두 200게임넘게 하면서 진짜 테란이생각할만한 거의 모든전술을
다 당해봤는데요.어느것도 방법은없었습니다.
저그플토중심
04/05/01 07:12
수정 아이콘
반대로 생각해서 테란이 센터 BBS나 BSB로 프토의 입구를 조이는건 어떨까요 하하;;
드리밍
04/05/01 07:36
수정 아이콘
개인적으로 최연성 선수의
-아마 앞으로 이 맵에서 테란이 프로토스에게 이기는 일은 없을 것이다.
-이말 인상(?) 깊었습니다-_-;

힘들것이다.고 아니고 없을것이다. 그만큼 테란이 플토 이기기 어렵단 얘기겠죠-_-;;;
Beast Nine
04/05/01 08:35
수정 아이콘
레퀴엠이 리그 중간에라도 맵이 수정 되었으면 합니다 더 늦기전에...
그냥 쓰다간 테란의 무덤이 될거 같아요 T v P 전에서는 선수들이
자기 실력을 백 퍼센트 발휘도 못 해볼 뿐더러 초반 포톤러쉬를
테란이 막느냐 못 막느냐에 따라 겜의 승패가 갈리기 때문에
게임 자체가 너무 재미 없을거 같습니다.
The Pure
04/05/01 08:42
수정 아이콘
저도 맵 입구부분 수정은 꼭 해야할 필요성을 느끼네요..
그리고 저도 게임을 보면서 느낀것이 강민선수가 왜 전진게이트를 하지 않았느냐 하는것입니다. 최연성 선수 입구 근처에 게이트가 두개정도만 있다고 하더라도 조금은 더 뚫을 확률이 높아보였는데요.
04/05/01 08:45
수정 아이콘
사실 제가 보긴 거기에 원게이트 본진에서 중앙쪽으로 약간 전진해서 투게이트 했어도 충분히 통하는 전술이라고 봅니다만 굳이 올인 플레이를 하지 않아도 사실 테란은 막기 어려운 전술이라고 봅니다만 단지 쓰리 게이트가 아닌 투게이트로 인해 막히지 않았나 싶습니다 막 막힌다 싶을때 게이트 하나가 더 올라갔거든요
행운장이
04/05/01 08:57
수정 아이콘
제2의 패러독스를 넘어서 제2의 라그나로크가 될 확률이 높아보이는군요. 다만 좀 더 두고봤으면 합니다. 단 한경기만 보고 판단하기는 좀 그렇군요.
영혼의 귀천
04/05/01 09:01
수정 아이콘
강민선수가 정찰 전에 포지를 지었었나요? 최연성 선수가 입구막는 거 보고 즉흥적으로 포지 짓고, 러쉬 간 것이었나요?
백수생활
04/05/01 09:55
수정 아이콘
헐,,,프리매치때에는 레퀴엠이 선택되길 바랬었는데,,,레퀴엠의 밸런스가 참 걱정이네요,,,머큐리도 프로토스가 테란상대로 꽤 괜찮은 맵인데,,,최연성선수나 이윤열선수의 인터뷰한 내용을 들어보니 참 힘들긴힘드나 보더군요,,,음,,,
김명보
04/05/01 10:30
수정 아이콘
강민 선수는 프로브를 2기 빼서 돌리다가 최연성 선수가 입구 막는 거 보고나서 포지를 지었지요... 때문에 러쉬 타이밍이 약간 늦어지신듯 합니다. 그리고 2배럭 테크를 탄다고 해도, 언덕위의 포토를 무슨수로 뚫습니까.. 마메 포토한테 녹아나던데..
04/05/01 10:30
수정 아이콘
벙커사거리5.포토캐논사거리7 언덕위에선못때리고 내려와서지을려면
벙커에 두들겨맞게 절묘한 심시티..본진미네랄9덩이인점을 감안해서 가스200만 캐고 미네랄에 전부일꾼돌려서..팩토리2개에서 온니벌처돌리고
벙커를 한두개 정도 더건설하고 팩토리와 배럭스 서플의 제2바리케이트심시티구축에 SCV비비기와 땜질실력이면 버티지않을까요..-_-::
서플과 배럭스의 일차바리케이트는 팩건설과 벙커건설시간만 버텨주면.
곧바로2팩노애드온..벙커추가건설.,타이밍맞춰 일꾼한부대와 마린과 읽지않은 벌처로 몰아내기..-_-..(순수마우스질로만 APM250이상가능)말은 길게했지만 어제보여준 최연성선수 대책과 별다른바는 없군요..다만..최연성선수는 가스에서 일꾼을 빼지않고 벙커도 짓지않고 버텨냈지요.
그힘으로 원사이드하게 경기를 마무리.
스톰 샤~워
04/05/01 10:47
수정 아이콘
절대로 못막는다라는 말은 모르겠지만 어쨌든 막기가 상당히 어렵다는데에는 동의합니다. 어제 결과적으로 최연성 선수가 막아내긴 했지만 최연성 선수는 한 부분도 실수를 한 적이 없었고 강민선수는 '아~ 이렇게 했으면 통하지 않았을까' 하는 점들이 상당히 보이더군요. 조금 더 지켜 봐야겠습니다만 상당히 힘들어보이는 건 어쩔 수 없네요.
어딘데
04/05/01 11:13
수정 아이콘
저도 그렇게 생각합니다
테란 게이머가 질럿+포톤 러쉬를 어제 최연성 선수의 방어보다 더 잘 막아내기란 거의 불가능합니다
그러나 플토 게이머가 질럿+포톤 러쉬를 어제의 강민 선수보다
잘 하는 건 그리 어렵지 않습니다
많은 분들이 지적 하셨듯이 어제 강민 선수의 플레이는 약간의 아쉬움이 있었으니까요
강민 선수의 플레이를 교훈으로 플토 게이머들이 조금만 가다듬어 나온다면
테란 게이머들이 막기란 불가능 것 같습니다
최연성 선수의 인터뷰 중 앞으로 이 맵에서 테란이 플토를 이기는 일은 없을 것이다 라는 말이
절대 허언으로 들리지 않습니다
종합백과
04/05/01 11:14
수정 아이콘
플토의 포토러쉬를 모른체로 이 맵이 공식맵으로 선정되지는 않았을 겁니다.

테란이 입구를 막으면서 상대의 포토 질럿 푸쉬를 상대하기는 어렵습니다. 그러나 방도는 있죠

플토가 하는 것 처럼 테란도 일꾼 두마리로 정찰을 갑니다. 상대방 진영에 도착하는 시간이 비슷해 지겠죠?

상대방의 상황을 봅니다. 본진이 비었다, 포지만 건설되어있다. 혹은 정석적이다.

상대방이 포지를 올렸으면, 차재욱 선수가 기요틴에서 했던 능력처럼, 테란이 유연하게 빌드를 올릴 필요가

있습니다. 상대의 포지 확인 후 2베럭까지 올립니다. 본진 소환중인 파일런 일꾼 4-6마리로 강제공격해 줍니다.

상대방 진영에서의 scv는 살리면서 상대방의 상황을 봅니다. 연습량이 충분하다면, 상대방이 몰래 건물을

올리는지, 입구에 올인하는지 판단가능할 겁니다.

이 뒤가 중요합니다. 일꾼 4-5 마리를 제외하고 치즈러쉬를 갑니다. 상대방은 본진에 원게이트가 고작. 자원상의

유불리도 테란 편에 웃어줍니다.


제가 생각하는 해법은, 테란의 치즈 러쉬 입니다. ^^ 가능할 것 같은데 여러분의 생각은 어떠신지요.


ps. 입구가 막히는 로템에 익숙한 게이머들에게 분지 형태의 레퀘엠은 지옥으로 보일지도 모릅니다. 다만..

테란이 입구를 막지 않는다고 한다면 대처가 가능하다고 봅니다만

저그가 테란 상대로 앞마당을 먹는다는 편견을 버려야 한다면

테란도 플토상대로 입구를 막고 시작한다는 편견을 버릴때가 온것 같습니다.
드림레오
04/05/01 11:31
수정 아이콘
임요환 선수도 지지난 스카이배 결승에서 김동수 선수 전진 포토를
마린이랑 scv로 막고 나서(맵은 버티고로 역시 입구가 아래에 있었죠!!) 역러쉬로 바로 이겼습니다.. 어떻게 200경기 거의를 이겼는지 잘 모르겠지만... 플토가 포토러쉬를 한다는 것을 눈치챈다면 요즘 고수 테란들의 컨트롤을 감안한다면 본진 2바락과 scv로 막을수 있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04/05/01 11:53
수정 아이콘
강민선수의 빌드가 어정쩡하게 보인건 저뿐만이 아니었나 보군요. '어정쩡한데..' 라고 생각하면서도 '그래도 강민이니까 뭔가 있겠지' 라고 생각하고 봤습니다만..확실히 질럿 수도 부족하고 어정쩡한게 티가 좀 나더군요-_-;;

어정쩡한게 잘되면 대박이긴 하지만요..;;
비류연
04/05/01 11:53
수정 아이콘
강민선수가 실수한게 맞습니다. 두번째 파일런위치부터 시작해서 건물위치가 너무 안좋았죠.
04/05/01 12:01
수정 아이콘
아무리 생각해도 레퀴엠에서 테란으로 프로토스 이기는건 힘들다고 봅니다.. 역시 온게임넷은 플토의 성지로군요.. 이번에 테란이 많다는 측면도있고.. 노스텔 머큐리 레퀴엠이 다 테란 플토하면 플토가 완전 유리하거나 좀 유리한 맵이니까요.. 레퀴엠에서 같은경운 플토저그도 플토에게 힘이 실리고.. 아쉽네요.. 언제쯤 밸런스 맞는 4개의 맵들이 실제 경기에 쓰일런지.. 너무 큰 바람인가요..? ;;
휘발유
04/05/01 12:05
수정 아이콘
궁금한게 하나 생겼는데요 레퀴엠은 밸런스 테스트 같은 것을 하지 않고 나온 맵인가요? 이렇게 확연히 보일 정도라면 맵 제작자님의 생각이나 사전 밸런스 테스트로도 충분히 알아낼 수 있을 것 같은데..
04/05/01 12:05
수정 아이콘
이러다 레퀴엠, 패러독스꼴 나는거 아닌가 모르겠네요.
04/05/01 12:14
수정 아이콘
저기요 알아도 언덕 위 캐넌이라서 마린 메딕으로도 뚫기 어렵습니다 탱크 빼고는 언덕 아래라면 혹시 통하지만 바로 언덕위라서 그게 필살의 전술이 되버린겁니다
비류연
04/05/01 13:01
수정 아이콘
그래도 테란이 괜찮은 측면이 있습니다. 모든면에서 뭘해도 거의 이긴다면 (기요틴같이) 필살기같은게 통하지 않죠. 그러나 질럿캐논러쉬라는 필살의 전략이 있기때문에 아마 거의 모든 토스는 그 전략을 쓸겁니다. 그약점을 노리면되죠... 예를들어 입구를 에스시비 하나로 막고 상대방 본진에다가 몰래배럭스라든지-_-;;
필살의땡러쉬
04/05/01 13:15
수정 아이콘
어제 경기보면서 즉흥적으로 생각해낸건데 초반에 scv2~3마리빼서 (프로토스 역시 2마리정도 오겠죠.) 프로브를 방해하는건 어떨까요?
04/05/01 13:50
수정 아이콘
이 맵은 테란에게 특정 행동을 강요한다는 점 자체가 아주 나쁘다고 생각이 드네요. 시즌 중이라도 바뀌면 좋겠는데요. 만일 결승이 테란대 플토가 되고, 레퀴엠이 1,5경기에 쓰인다면...할 말이 없을 듯 하군요.
KissableBoy
04/05/01 13:57
수정 아이콘
빠른 2배럭 이후 scv + 마린으로 오히려 상대 프로 언덕 벙커로 조이는 방법은 어떨까요.
오만과나태
04/05/01 13:58
수정 아이콘
처음 4마리 나온 scv중에서 한마리를 게임 시작하자마자 정찰해서, 상대방 입구에서 s연타를 누르면 상대 프로브가 본진에서 못 나오지 않을까요?
04/05/01 14:48
수정 아이콘
프로게이머들의 경기에서 극초반 일꾼 1기의 차이.. 즉 패배를 의미합니다.
어쩔줄을몰라
04/05/01 15:01
수정 아이콘
언덕 바깥쪽에 서플이랑 배럭 지어서 막음 되지 않나요? 막히던데. ^^;
04/05/01 15:16
수정 아이콘
몰래 배럭 언덕바깥쪽에 입구막기 bsb bbs 투바락바이오닉 등등
전부다 안통합니다.플토가 무조건 이전술을 할필요는 없는것이고
만약 상대방이 입구를 안막으면 포토없이 3게이트로 밀면 오히려더
쉽게끝납니다.플토상대로 bsb 같은 플레이는 플토가 예측못해서
원게이트 플레이를 하는경우가 아니면 성공하기 불가능에 가깝습니다.
아무튼 막을수있다하는 하는 고수 내지 중수 아마추어 님들의 생각이
모두 막혔고. 프로게이머들사이에서도 절대못막는다고하니깐
사실 플토가 실수만안하면 거의 힘들지않나 싶습니다.
하지만 플토가 실수도하지않았는데 테란이 막아내고 이긴다면
그테란 선수는 정말 대단하지않을까요?그 광경을 지켜보고싶네요
저그맨
04/05/01 15:38
수정 아이콘
솔직히, 이 전략이 올라오고도 레퀴엠이란 맵에서 해보지 않고 방금 들어가서 살펴봤는데요..
상당히 발상을 뒤덮는 맵이더군요.. 잘하면 앞마당후에 그 뒤의 2군데의 멀티까지 장기전까지 가면 모두4군데에서 자원캐기가 가능하겠더군요
무엇보다 큰 특징이 역언덕이었는데... 시야확보가 안된다는 단점이있구요..
그래서 생각해보았는데요 언덕아랫쪽에다 배럭,서플짓는게 아니고 바깥쪽에다 짓는건 어떨까요?
수리하면서 하면 충분히 가능할텐데^^ 이런, 윗분이 벌써 말하셨군요
오노액션
04/05/01 15:53
수정 아이콘
그러지 말고 쓰리배럭 불꽃을 한번.-0-
04/05/01 20:38
수정 아이콘
Croove// 정찰이 늦는데 2배럭을 간상태면 플토는 테란의 벙커조이기를 아예못막습니다
Zihard_4Leaf
04/05/01 21:32
수정 아이콘
입구쪽 타일을 건물 못짓는타일로 수정하는것이 필요할듯 싶습니다 . 대 저그전에서 테란의 벙커조이기나 // 프로토스의 포토조이기는 ; 레퀴엠에서 패치가 없다면 최강이 될것같군요 .
unlimited
04/05/01 22:30
수정 아이콘
프토맵 레퀴엠과 머큐리 2개...테란 맵 남자이야기 1개.. 그것도 그 유리함 정도가 레퀴엠과 머큐리가 훨씬 높은 것을 생각할때, 온게임넷에서는 플토가 우승할 가능성이 제일 높은 것은 사실입니다.

역대 온게임넷 역사상, 시즌중 맵수정이 없었으므로, 이번에도 기대는 안하지만.... 결승전에서 테란과 프토가 올라가면... 정말 말 많겠네요.
04/05/02 01:01
수정 아이콘
파헤법이 있으리라 기대합니다.
플토대테란의 게임 양상이 너무 단순해져서 재미가 없어지는건 아닌지 걱정되네요...
04/05/02 21:43
수정 아이콘
패러독스에서 강민대 변은종선수때도 1경기 5경기가 패러독스였죠..
경기시작하기전부터 아무도 변은종선수가이길거라고 생각한사람없죠.
이번엔 테란이한번 그런일 당하면 재밌겠네요.그리고 아마 해법이안나온다면 다음 시즌에는 레퀴엠 언덕 바로위 타일은 수정될거같습니다.
그것만수정돼면 정말 밸런스도 잘맞고 정말재밌는게임이많이나올거같습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공지 댓글잠금 통합 규정(2019.11.8. 개정) jjohny=쿠마 19/11/08 374158 0
공지 게임게시판 운영위원회 신설 및 게임게시판 임시규정 공지(16.6.16) [3] 노틸러스 15/08/31 444815 4
공지 공지사항 - 게시판 글쓰기를 위한 안내 [29] 항즐이 03/10/05 607412 13
79655 [오버워치] [OWCS] 댈러스 메이저가 곧 시작합니다. [4] Riina1386 24/05/31 1386 1
79654 [LOL] 6월 29일 T1 홈 그라운드 당일 스케쥴이 나왔습니다. [24] 매번같은4461 24/05/31 4461 0
79653 [LOL] 최고의 순간들에 인게임 트로피를 넣을수 있을줄알았다 [35] Leeka4521 24/05/31 4521 10
79652 [기타] 너구리, 로컨, 호잇 이터널 리턴으로 프로 복귀!? [9] 환상회랑3826 24/05/31 3826 2
79651 [LOL] T1, 미드 자크픽의 범인은 누구? [76] Leeka8652 24/05/31 8652 0
79650 [PC] 갓 오브 워 라그나로크 9월 20일 스팀 발매 [35] 김티모3430 24/05/31 3430 0
79649 [모바일] 우마무스메 육성 개론(3) - 역대급 팀이 있어도 클린스만은 아시안컵을 우승하지 못했다 [5] Kaestro1797 24/05/31 1797 6
79648 [LOL] 피어엑스X에어부산 협약 [10] SAS Tony Parker 4748 24/05/30 4748 1
79647 [모바일] 한 달에 한 번씩 세계여행하는 게임.(리버스 시작하기 좋은 타이밍+추천글) [21] 대장햄토리7251 24/05/30 7251 5
79646 [LOL] T1 2023년 영업손실 120억원 [151] 종말메이커14505 24/05/29 14505 15
79645 [LOL] 2024 LCK 서머 6월 29일 토요일 T1-KT 정규 경기, 고양 소노 아레나에서 진행 [52] 매번같은7998 24/05/29 7998 4
79644 [LOL] 대마왕의 유산 | 전설의 전당 이벤트 트레일러 [95] 리니어10828 24/05/29 10828 11
79643 [모바일] 우마무스메 육성 개론(2) - 인자작 없는 육성은 로또다 [15] Kaestro4050 24/05/28 4050 4
79642 [기타] 포켓몬 팬게임 포케로그 소개 [22] 아드리아나6321 24/05/28 6321 1
79641 [LOL] 사우디컵 진행 방식 + 참가팀 + 상금 공개 [50] Leeka8650 24/05/28 8650 1
79640 [모바일] 운빨존많겜? [16] 구라리오6919 24/05/28 6919 0
79639 [모바일] [블루 아카이브] 5/28 업데이트 안내 [9] 캬옹쉬바나2842 24/05/27 2842 1
79637 [LOL] 요즘 숭배영상이 많이 올라오는데 [4] 아몬6202 24/05/27 6202 8
79636 [LOL] 캐니언을 역체정으로 인정한 사람들 [67] Tinun7683 24/05/27 7683 8
79635 [모바일] 우마무스메 육성 개론(1) - 200만원으로 우마무스메 12/15관을 달성한 비결 [69] Kaestro3070 24/05/27 3070 6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