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월드컵 기간동안 일시적으로 사용되는 게시판입니다.
Date 2002/06/25 11:33:09
Name kid
Subject [기타] [잡담] 측면 돌파라.... ㅡ,.ㅡ;;
우리나라 측면 공격수가 빠르니까.. 우리가 유리하지 않을까..??? 라고 친구한테 이야기 했다가..
이천수 선수에게 말디니 뒤통수 맞듯이 한 대 맞았숨돠..
ㅠ0ㅠ

친구의 되돌아온 질문임돠..
"돌파한 다음에는..>??"

헛.. 그렇군요.. 돌파가 되어서 공이 공중으로 떠서 올라오면.. 가능성이 떨어진다는 뜻겠죠..
그럼.. 낮게 가는 센터링은.. 독일 선수들 다리가 좀 길기도 합디다..
그럼.. 바로 슛은..??

친구의 다시 되돌아오는 질문..
"올리버 칸의 절대 방어 구역이 어디라데..??"

허엇.. 그렇군요.. 사이드를 돌파 당하면.. 수비수들은 무조건 반대편 포스트를 수비합니다.
골키퍼가 있는 포스트는 키퍼를 믿고 맡기는 거고..
측면을 뚫고 들어가서 우리나라 최용수 선수가 했던 발리슛 코스로 날리는 슛은
10중 8,9는 올리버 칸이 막아내더군요..

사이드 돌파가 쉬운가..?? 미국에게 마구 뚫렸다.. 하지만.. 미국이 득점을 못한것은 왜일까..?를
자꾸 생각하게 되었습니다.
돌파한 다음에 할 것이 없다면.. 득점은 이루어지기 어렵습니다.

미국전에서 이을용 선수가 돌파한 다음 미국 페널티 에어리어 안에 있는 모든 선수
(심지어 공격하던 최용수 선수까지.. ㅠ0ㅠ)의
타이밍을 빼앗아 버린 절묘한 패스.. - 혹은 센터링이라고 불러야할..- 가 나오지 않는다면..
측면 돌파는 별 소용이 없다.. 는 것이 친구의 결론이었습니다.
즉, 유럽식으로 독일 수비수와 맞짱을 떠서 (비에리 처럼) 골을 성공시킬 만큼 파괴력이 있는
선수가 우리나라 공격수 중에 "차두리"가 거의 유일하다는 것이 친구의 설명이더군요..
(차두리 나올지도 모른다던데.. ㅠ0ㅠ)

"우.. 쉬파.. 그람 진다는 뜻이가..??"
(저의 공격적인 질문.. 이었숨돠.. 순간 친구 "움찔" ^__^)
췌잇.. 순간 "움찔" 하더니.. 씨익 웃습니다..
나쁜 세이.. 나름 뭔가 생각한 것이 있구나.. 생각이 들었숨돠..

"독일이 한 유일한 실점은..??" - 친구
"아일랜드 로비 킨 , 후반 47분쯤.." - kid
"로비 킨이 했던 슛은?" - 친구
"원 트리핑 이후에 오른발 인프론트 강하게.. 골대 맞추기..." -kid
"답은 거기에 있다." - 친구

즉, 이미 독일 축구는 좌우 측면을 돌파한 이후에 센터링 그 후에 헤딩.. 혹은 발로 해결..
이것이 굉장히 정형화 되어 있고 그네들이 오랫동안 해왔던 축구이기에
빠르게 측면을 돌파당하더라도, 측면에서 올라오는 공격에 대한 수비는 안정적일 것이다.
하는 거죠.... 따라서 오늘 우리나라가 해야 하는 축구는 측면과 중앙을 적절히 사용해야 한다는 겁니다.
측면 돌파 후 올라오는 공격에 대한 수비에 어느정도 자신감이 있다고 해도..
계속 돌파를 당하면 괴롭기는 마찬가지 입니다.
거기에 간간히 2 선에서 빠른 선수들이 측면이 아닌 중앙을 파고 드는 플레이가 필요하다 더군요..
그리고, 홈런이 나와도 좋으니까.. 강한 슈팅이 필요하다고 합니다.
이건 상대의 골키퍼의 능력이 굉장히 좋으니까..
강한 슛으로 막히더라도 , 리바운드 되는 공을 누군가 "줏어먹기" 할 수 있도록..
강하게 슛을 해야 한다고 합니다. 쩝.. 여태 우리 선수들을 그럼 대충 찼남..?? ㅡ,.ㅡ

"그람 수비는..??" - kid
"지남철 VS 클로세" - 친구

측면 수비수인 송종국 선수나 이을용 선수가 그리 쉽게 센터링을 주는 스타일이 아니기에..
어느 정도는 막아낼 거라고 하더군요..
클로제 선수 어자피 풀 타임을 소화해 내는 선수가 아니니까..
그 다음에 들어올 비어호프 선수가 더 위협적일 수도 있다고 합니다.
수비수 체력이 떨어진 다음에 들어오는 선수니까요..

중앙 공격을 활용해 보겠다라고 생각한다면..
윤정환 카드도 괜찮다고 하더군요.. ^^;;

언젠가.. 우리나라에 아직 몇가지 카드가 더 남았다고 하던데..
독일 같은 팀을 상대로 윤정환 카드는 괜찮다고 생각이 되어집니다.
스코틀랜드도 독일과 비슷한 축구를 했더랬는데..
윤정환 선수가 1 골 1 어시스트.. 했었으니까.. 어떻게 될지....
물론.. 히딩크 감독의 맘입니다만...

오늘.. 우리 공격수.. 수비수들.. 잘 해 주시기 바랍니다..

아흐.. 맘이 자꾸 설레서.. 글이 마음대로 잘 안됩니다...

좀 진정하고 오던지.. 해야죵.. ㅠ0ㅠ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02/06/25 13:36
수정 아이콘
독일의 축구는 세이부 축구지요 ^^
오락실에서 100원넣고 양 사이드에서 센터링 한다음 헤딩슛 하면 한게임에 20골 이상 기록할 수 있는 정말 재밌는 축구게임 ^^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310 [기타] 오늘경기. [5] wook981964 02/06/25 1964
309 [기타] 아.. 지고말았네요... [4] MokCanDy1735 02/06/25 1735
308 [기타] [펌] 이런 축구선수를..축구팀을 본적이 있는가? ? 마린스2182 02/06/25 2182
307 [기타] 김남일 주제가.. 시민쾌걸~1910 02/06/25 1910
306 [기타] 귀여운 우리 두리 차두리 [2] 시민쾌걸~1955 02/06/25 1955
305 [기타] [펌]김남일 선수의 깡 1탄!!! [6] protoss-zzang2564 02/06/25 2564
304 [기타] 정말 재수없수다.....아르헨티나... [3] Gotetz2481 02/06/25 2481
303 [기타] IT후진국인 스페인과 이태리가 쌈 겁니다 [6] 끝까지가보자2316 02/06/25 2316
301 [기타] [잡담] 쌈싸먹기..(2) AK-5011743 02/06/25 1743
300 [기타] [잡설] 사상 최악의 한국 축구 -요코하마행 빨간 불. [2] Apatheia2168 02/06/25 2168
299 [기타]  [펌] 한국과 경기하는 팀들의 비애 tongtong2051 02/06/25 2051
298 [기타] [펌] 만화 하나 보시죠.. 허브메드2125 02/06/25 2125
297 [기타] [잡담] 대~한민국 vs 독일 [1] 수시아2172 02/06/25 2172
296 [기타] [건의] 이 시점이면.. [2] kid2144 02/06/25 2144
295 [기타] [펌]영국 인디펜던트지 25일자 기사입니다. [4] daedalus1889 02/06/25 1889
294 [기타] 내가 이제까지 잘못 생각하고 있던 것 [1] Dr. Lecter1809 02/06/25 1809
293 [기타] 패배주의자들로 인한 국력 분열... [1] 메이뒨1878 02/06/25 1878
292 [기타] [잡담] 측면 돌파라.... ㅡ,.ㅡ;; [1] kid2221 02/06/25 2221
291 [기타] 오늘 붉은악마 카드섹션문구는 어떤 글이죠? [7] 벌쳐의 제왕2151 02/06/25 2151
290 [기타] 역사적인 날, 역사적인 경기 [1] 백마탄 초인1934 02/06/25 1934
289 [기타] 한겨레신문에서 퍼온 글임다. 주경원2274 02/06/25 2274
287 [기타] 외국언론인들중 아일랜드인이, 미국경찰이 놀란 한국... [6] 자루스2134 02/06/25 2134
286 [기타] 폐인의 호프집 순례기 [5] 글장2016 02/06/25 2016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