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월드컵 기간동안 일시적으로 사용되는 게시판입니다.
Date 2002/06/22 12:18:56
Name 인간
Subject [기타] 한.일 월드컵 재밌습니까?

월드컵 열리기 직전에 가진 잉글랜드와 프랑스의 평가전을보고.. 전 국민이 흥분하기 시작했고.. 월드컵이 열리고.. 그 흥분은 절대 과장이 아니였음을.. 대한민국은 이제 약하 지 않다는것을 전 세계에 알리며.. 믿을수 없는 8강진출.. 전국민이 빨강티를 입고 거리를 활보하고.. TV와는 절대 상관없는 인생을 살아온 우리엄마두.. 오늘 3시에 축구하지? 란 말씀을하시며.. 흥분을 감추지 못하십니다.. 근데..왜 전 흥분은 커녕.. 라울 곤잘레스가 이번 경기에 출전할까 못할까에 관심이 더 쏠립니다.. 라울 팬이거덩여.. 물론 전 남자고여..

대충 1년 전부터 월드컵에 열기를 맘속에 키워가고 있었습니다.. 브라질,아르헨티나,프랑스 등등의 평가전을 지켜보면서..    하지만.. 그 열기는 월드컵이 시작하고.. 며칠 못가 사그라 들었습니다.. 휴..

제가 봐온 월드컵.. 미국 월드컵 and 프랑스 월드컵..
최고였습니다.. 경기 하는 모습 기억이 나지는 않지만..
그때의 그 열기를 전 아직 느낄수있습니다.. 그들은..
정말 90분 내내 열심히 뛰었고.. 환상의 기술을 보여줬고.. 말도않되는 골 장면을 보여줬습니다..

한.일 월드컵.. 제가 봐온 월드컵이 아닙니다.. 최악의 전야제 부터 시작해서.. 모두의 잘못인 공석사태.. 그리고..
질이 떠러지는 경기들.. 첨엔.. 월드컵인데 왜 이렇게
재미없지?  역시 월드컵은 새벽에 봐야만 재밌는건가?
라고 생각했었는데.. 얼마않가.. 저와같은 생각을 가진분들이 생겨나더군여.. 도대체 왜.. 이런일이.. 기다리고 기다린 월드컵인데..  한달 일찍 연다고.. 얘들 실력어디 가겠어? 라고 생각한 FIFA의 안일한 결정이 문제였는지.. 프로의식을 가지고  월드컵 당일까지 최상의 컨디션을 만들지 못한  선수들의 문제인지.. 그들을 관리하지 못한 감독의 문제인지..

포르투칼의 경기를 보고 충격먹은 사람중 한사람입니다.. 그들은 유로2000의 포르투칼이 아니였고.. 지역예선때의 포르투칼이 아니였습니다.. 프랑스는 최악의 조직력을 과시하며 탈락했고, 아르헨티나 또한 죽음의 조이긴 했지만 컨디션 조절 실패한 팀중 하나라고 생각 됩니다..

어제 브라질 vs 잉글랜드 보셨습니까? 로날딩요의 환상 프리킥으로 브라질이 역전한순간.. 한.일 월드컵 최고의 명승부가 나오겠구나 싶었는데.. 로날딩요의 퇴장으로 물거품이 됐네여.. 이로서 브라질은 우승확률 0순위가 됐습니다만..  지금 브라질은 누가봐도.. 미국 월드컵을 우승했던 브라질과 프랑스 준우승의 브라질과는.. 정말 질적으로 다릅니다..  독일 사람들.. 그 전력가지고 우승한다니.. 부끄러워서 그런말 못하겠네여..

한국 대표팀.. 무자게 열심히 했고.. 또 무자게 잘한다는거 잘알고있지만.. 이번 월드컵 참여한 포르투칼이 지역예선 정도의 컨디션을 가지고 온 포르투칼이였다면.. 우린 절대 쉽게 이길수 없었습니다.. 박빙의 승부를 할수는 있었겠지만.. 이긴다 보단 진다 쪽에 무게가 더 쏠리는게 사실입니다. 그랫다면 16강 진출 경우의 수를
다시 써야했겠군여..

16강전 이탈리아와의 경기는 개인적으로 정말 좋으경기였습니다.. 예선 3경기.. (폴란드는 오랜만에 나온 국제
무대에 다가.. 열광적인 붉은앙마의 응원에 쪼라서..
실력발휘도 못하고.. 완패.. 미국은 실력에서 완패..
포르투칼.. 말도하기싫음..) 와는 달리.. 이탈리아 선수들에게는 이기고자 하는 마음이 아주 강렬했습니다..
이탈리아는 한국이란 나라는 우습게 봤을지 몰라도..
한국 축구는 우습게 보지않았고.. 이기기 위한 수단으로  유럽특유의 거친축구를 보여주며.. 이탈리아 전통의 무조건 수비.. 뻥차고.. 공잡아서 화려한 개인기로 골넣기를 보여주더군여..  경기 끝나고 심판문제로 말들많지만.. 첨으로 긴장하면서 본.. 좋은경기 였습니다..

말이 길어져서 재가 무슨말 하는지 저도 잘모르겠지
만.. 축구를 좋아하고.. 4년마다 한번 열리는 월드컵을 기다리는 팬으로서.. 이번 월드컵 별로.. 정이 않가네여..  아.. 정리가 않됩니다..  
에이.. 프로축구 화이팅!! 울산현대 화이팅!!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02/06/22 12:26
수정 아이콘
저는 충분히 재미있습니다만.. ^^
아마토스
02/06/22 12:31
수정 아이콘
재미있게 보셔놓고.. 재미없다고 그러시네여 ^^
이광은
전 수비만 하는 나라들의 경기를 제외(-_-)하고는 정말 잼있게 보고 있습니다...^^
02/06/22 12:59
수정 아이콘
글쎄요 ^^; 저도 재밋습니다만
이카루스테란
02/06/22 14:09
수정 아이콘
저도 처음에는 강팀들이 줄줄이 떨어지는 것을 보며서 '아...스타플레이어도 없는 월드컵. 재미없을어'라고 생각했지만 곧 생각을 바꿨죠. 물론 스타플레이어들의 활약을 보는 것도 쏠쏠하고 강팀들의 완벽에 가까운 플레이를 보는 것도 좋지만 소위 약팀으로 분류되는 팀들이 활약하는 모습도 보기 좋습니다. 거만한 축구강국들이 쩔쩔 매는 것도 볼만 하고요. 저는 강팀들이 떨어진다고 해서 월드컵의 재미가 반감된다고는 생각하지 않습니다. 지금까지 강팀끼리 맞붙었다는 경기들이 몇개 있죠. 잉글랜드vs아르헨티나,스웨덴vs아르헨티나,브라질vs잉글랜드 등 대충 빅매치는 이정도가 되겠군요. 하지만 이 경기들 솔직히 경기 내용의 재미라는 측면에서는 그리 좋은 점수를 주긴 어렵군요. 서로 간의 조심스러운 플레이때문인지는 몰라도 소극적인 축구, 골 수도 적은 축구가 자주 펼쳐졌습니다. 그에 비하면 터키vs코스타리카전, 스페인vs남아공, 세네갈vs우루과이 등의 경기는 보는 사람으로 하여금 축구의 재미를 느끼게 해주었습니다.(물론 사람마다 관점을 다르겠지만요.)
골수 축구팬일수록 그리고 축구에 대해 좀 관심이 많다는 사람일수록(이런 분들은 대부분 세계축구의 흐름이나 유럽리그에 대해 쫙~꿰고 계시는 분들이죠. 물론 우리나라프로축구에 관심이 많으신 분도 계시고요.) 이번 월드컵이 재미 없다고 생각하시는 듯 합니다. 이분들은 약간의 고정관념을 가지고 계신게 안닐까 하는 생각이 듭니다. "유명한 선수들로 이루어진 축구 강호들의 수준 높은 플레이를 보는 것이 축구의 재미를 느끼는 것이다." 정말 그럴까요? 단순히 생각해보면 축구는 가장 원시적인 운동입니다. 서로 치고 박는 경기가 관중들에게는 더더욱 흥분을 느끼게 하죠. 저는 강팀들이 떨어져서 재미가 없어진다는 것은 그로인해 경기 내용이 재미없다는 것을 의미하는 걸까요? 사람들은 누구나 자신들이 주류라고 생각하는 가치나 집단이 비주류라고 일컬어지는 가치나 집단에 의해 손상될 때 왠지 모를 안타까움을 느낍니다. 하지만 그 주류와 비주류의 가치판단의 일부는 그 주류라는 명성에 의해 재생산된 측면이 많습니다. 최소한 무시할 수 없는 정도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이번 월드컵에 재미를 느끼지 못하시는 분들....비주류의 새로운 가치 창조에서 재미를 느껴보시는 것이 어떨지....^^
이카루스테란
02/06/22 14:34
수정 아이콘
요즘은 카메룬이나 나이지리아를 약팀으로 분류하는 사람이 별로 없습니다. 잉글랜드와 나이지리아의 예선 마지막 경기 0:0으로 비겼지만 그 경기에서 나이지리아가 이겼다고 해서 있을 수 없는 이변이 일어났다고 하진 않았겠죠. 축구의 역사가 단지 강팀들이 약팀을 이기기만 하는 구도로 가는게 좋을까요? 요즘 뜨고 있는 축구변방국가들은 그들 스스로의 노력을 통해 이 자리에 온것입니다. 강팀과 약팀의 분류는 실력에 있습니다. 실제 경기에서 실력을 보여주는 팀이 강팀입니다. 이런저런 이유로 실력발휘를 제대로 못했다고요? 이런저런 이유들이 불가항력적이라서 그 팀들이 떨어질 수 밖에 없는 환경을 조성하기라도 한건가요? 소위 축구 강국들은 어려서부터 좋은 환경에서 축구를 시작하고 세계최고의 리그에서 실력을 쌓죠. 최고의 대접을 받고 온갖 지원을 받으며 월드컵에 임합니다. 그에 비하면 축구변방의 약팀들의 환경은 훨씬 열악합니다. 이런데 이런저런 이유를 대는건 단지 마지막 남은 체면 차리기라는 인상이 짙습니다. 그 원인들은 통제 하지 못한것도 실수입니다. 다른 나라들은 통제하는데 강팀이라서 못하는 건가요? 강팀이라서 가지는 불리함도 분명 존재할 겁니다. 하지만 지금까지 그 많은 강팀들은 이런 불리함을 이겨내고 다들 잘하지 않았습니까? 여기까지만 말해도 충분할 듯 합니다.
혹 이변은 한두나라면 족하지 이렇게 줄줄이 일어나는 이변은 있을 수 없다고 생각하는 분이 계실지도 모르겠군요. 어느 월드컵에서 이변를 일으킬 나라의 숫자를 정한 적도 있습니까? 많으면 어떻고 적으면 어떻습니까? 왜 다들 열심히 뛰고 있는 월드컵이데 재미 없다느니 강팀이 떨어지는건 말이 안된다느니 강팀들은 이번에 이런저런 이유로 불리했다느니...한마디만 하죠. 축구를 그냥 축구로 느끼시기 바랍니다.
헤르만
지금까지본 어느 대회보다 비교할수 없을정도로 재미있네요....
우리나라 사람이라면..... 마찬가지이겠지만..........
물론 이름있는 선수들이 있는 전통적인 강호가 줄줄이 탈락해서 염려도 되었지만..... 그만큼 세계축구가 평준화 되어가는 증거가 아닐까요..? @@:;
목마른땅
02/06/22 23:08
수정 아이콘
물론, 강팀들이 자신들의 실력을 100% 발휘하는 것은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그로인해 전체적인 경기 수준이 많이 떨어지는 것도 사실이고 월드컵 매니아인 저로서도 프랑스, 아르헨티나, 포르투갈의 조기 탈락이 재미를 반감시키는 것도 사실입니다. 하지만 그렇다고 해서, 유로2000의 포르투갈을 우리가 절대 못 이길 것이다라고 말하는 것은 축구 전문가로서의 평이 아니라고 할 수 있습니다. 당시 포르투갈은 최강이긴 했지만, 타이트한 몸싸움을 하는 팀에는 약점을 보이는 편이었습니다. 즉 한국의 타이트한 마크와 몸싸움 및 체력전에는 그 당시의 포르투갈이라도 쉽지 않았을 거라는 이야기이지요. 매년 세계 축구는 기술적으로 체력적으로 전술적으로 발전하고 있습니다. 이번 월드컵의 의의는 강팀과 약팀의 격차가 점점 줄어들고 있다는 것을 증명하는 대회였다는 데에 있겠지요.
02/06/22 23:22
수정 아이콘
울산분이신가 -_-a
항즐이
02/06/23 00:45
수정 아이콘
지금 이곳에는 월드컵의 열기로 뜨거워하고,
한국 축구의 엄청난 수확에 감동하기를 주저않는 분들이
서로 격려하며 기쁨을 나누기 위해 함께하는 곳이라고 생각합니다.

제 개인적인 의견으로는 이런 글은 별로 보고 싶지 않습니다. 물론 의견의 차이일 뿐이지만, 괴로운 심정은 어쩔수 없군요.

이런 생각보다는 똑같은 말이라도 지금은 "한국만세!!"를 100만번쯤 듣고, 보고, 느끼고 싶을 뿐입니다.

만세!!

그게 팬이 할수 있는 최고의 세러모니니까요. ^^
02/06/23 04:53
수정 아이콘
한국이 이겨서 죄송합니다.

듣고 싶은 말씀이 이거였죠?^^
목록 삭게로! 맨위로 수정 삭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204 [기타] 위대한 한국축구여...... [1] estrolls2026 02/06/22 2026
202 [기타] 아침에 본 예언. [1] wook982202 02/06/22 2202
201 [기타] 대한민국 만세~~~ [1] 불멸의저그2281 02/06/22 2281
199 [기타] 월드컵이 좋은 또하나의 이유~! 통기타2071 02/06/22 2071
198 [기타] 영원한 짝사랑..히딩크 [1] 서수원1805 02/06/22 1805
197 [기타] 오늘의 승부예상 [3] 아마토스1859 02/06/22 1859
196 [기타] 한.일 월드컵 재밌습니까? [11] 인간4178 02/06/22 4178
195 [기타] 이태리 스포츠 사이트에서.. [2] rEmoNa4633 02/06/22 4633
194 [기타] [건의] 월드컵이 끝난후 이 게시판을... 정준영2144 02/06/22 2144
193 [기타] [펌]프랑스 반응.... [3] rEmoNa4528 02/06/22 4528
192 [기타] 차범근이라는 사람이 어떤 사람인가 [4] 이도근4206 02/06/22 4206
191 [기타] 패자 유구무언???? [1] 상허니2110 02/06/22 2110
190 [기타] 차붐 [1] 메딕사랑2107 02/06/22 2107
189 [기타] 이유있는 이탈리아의 항변에 대하여... [4] 목마른땅2162 02/06/22 2162
188 [기타] 발운동 뿐만 아니라 팔운동까지 해야하는 대표팀들.. [2] 마요네즈2132 02/06/22 2132
187 [기타] 우리선수의 피 ! 상대선수의 피? [3] 두번의 가을2250 02/06/22 2250
186 [기타] [감동] 브라질의 역전골!!! [2] 목마른땅2167 02/06/21 2167
185 [기타] 솔직히 말해 내일 한국이 이기긴 힘들다.. [15] 파~2386 02/06/21 2386
184 [기타] [펌]강추!! 즐기면 된다 [1] 에이취알1878 02/06/21 1878
183 [기타] [re] 이태리도 할말있다.. 천승희2623 02/06/21 2623
182 [기타]  이태리도 할말있다.. [26] 윤영식2815 02/06/21 2815
181 [기타] 잉글랜드와 이탈리아의 공통점 [11] 탄야2541 02/06/21 2541
180 [기타] [잡담] 3개 방송사 축구해설자 [7] 수시아2414 02/06/21 2414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