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월드컵 기간동안 일시적으로 사용되는 게시판입니다.
Date 2010/06/17 01:28:02
Name 아카펠라
Subject [기타] 이번 월드컵 굉장히 재미가 없네요.
4년에 한번씩 월드컵이 다가오면, 시작하기 한달 전부터 마음이 두근두근 했습니다.
06년에는 군대 크리를 타서 경기도 제대로 못보고, 두근두근 할 마음의 여유도 없었으므로 참 아쉬웠는데요..

거의 8년만에 월드컵을 보는 셈이라 다른때보다 더 기대하며 경기를 시청했습니다.
시간대도 꽤나 괜찮더라구요...

8시30분, 10시 30분이면 유럽에서 월드컵 할 때 보다는 훨씬 양호한 상황이죠.
새벽경기도 1번밖에 없고, 참 만족스럽습니다.

그런데 정작 가장 중요한 축구 경기가 좀.... 아니 많이 재미 없습니다.
개인적인 생각이지만, 역대 가장 재미없는 월드컵이 아닐까... 싶을정도로 실망스럽더군요.

벌써 조별예선 첫번째 경기가 다 진행되었는데, 그 중 2골차 이상 경기가

한국vs그리스(2:0)
독일vs호주(4:0)
네덜란드vs덴마크(2:0)

이 세 경기밖에 없습니다.

그나마 네덜란드도 자책골 나오기 전까지 답답한 경기의 연속이었고, 그리 재밌다고 할 수 없는 내용이었죠.

한국과 독일 경기만 좀 시원하게 볼 수 있었던 것 같습니다.
한국은 조국이라서가 아니라 스코어도 그렇고 경기 내용도 만족할만한 수준이었죠.
독일은 말할것도 없구요..

골이 안나니까 정말 지루하네요..
거의 모든 경기가 1골차 승부인데... 왜이렇게 골이 안날까요?

스페인은 오늘 실망스런 모습을 보여줬고, 브라질도 이기긴 했지만 예상외의 저조한 결과를 냈습니다.
강팀과 약팀이 붙는다고 해서 많은 골이 나오지는 않는듯 합니다.

세계 축구가 상향 평준화 되었다는 증거가 될 수도 있겠지만, 전반적으로 세계 축구의 흐름이 수비축구 쪽으로 옮겨진듯 합니다.
약팀이 강팀을 만나면 어쩔 수 없이 수비적인 성향을 띄지만, 비슷한 수준의 팀끼리 만나도 수비를 우선시 하는 것 같네요.

리그도 그렇고 토너먼트도 그렇고 수비 강한팀이 높은곳까지 올라갈 경우가 많기 때문에,
대부분의 국가에서 수비를 우선시 하는 것 같습니다. 그래서 골이 잘 안나오는것 같구요..

또한 자블라니도 한몫 하는 것 같습니다.
스페인 오늘 보니까 골키핑이 자연스럽지 못한 경우가 많더군요..
특히 빠르게 공격 전개시 공중에 뜨는 패스를 받을때 공이 바닥에 닿으면 좀 크게 튀는것 같았습니다.
그거 다시 잡으려고 시간이 지체되고, 그 사이에 수비는 진형을 갖춰 공격을 쉽게 저지할 수 있었던 것 같습니다.

또 중거리슛이나 프리킥 같은 경우에도 선수들이 원하는 것 보다 더 멀리, 높이 날아가서 골이 잘 안나오는 것 같기도 합니다.


현재 1라운드 경기가 모두 끝난 시점에서 이번 월드컵은 경기 내.외적으로 다 실망스럽습니다.
아직 많은 경기가 남아있으므로 속단할 수는 없지만, 이번 대회는 그리 성공하지 못할 것 같네요.
혹시라도 망하게되면, 아프리카 대륙은 월드컵을 다시 개최하기까지 꽤나 오랜 시간이 걸릴듯 합니다.
(제 예상으로는 한 50년 이상 걸릴듯...)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0/06/17 01:29
수정 아이콘
부부젤라 얘기가 빠졌습니다.
lotte_giants
10/06/17 01:29
수정 아이콘
아까 댓글에 썼는데...현재까지 경기당 평균 1.56골입니다. 역대 최저인 이탈리아 월드컵도 2.21골이었는데. 좀 심해요.
진지한겜블러
10/06/17 01:29
수정 아이콘
대체 제가 원하던 골잔치는 어디로 간건지..ㅠㅠ

공이 좀 문제가 있긴한건지?? 아님 요즘 수비축구가 대세인건지..아님..무엇인지..

스페인도 지고.. 하필 스위스한테.. 이것 참..

왠지 아르헨티나도 이길것은 징조기..
LowTemplar
10/06/17 01:30
수정 아이콘
근데 이상한 건 평가전때 스페인은 자블라니에 완벽 적응했다는 말이 나올 정도였는데 말이죠...
일단은 공 탓도 있지만 그 이전에 제대로 슛을 할 수 없게 막는 수비 전술의 역량을 평가해야 할 거 같습니다.
보람찬하루
10/06/17 01:30
수정 아이콘
부부젤라는 좀 그렇지만, 수비 축구와 자블라니는 아프리카의 잘못은 아니지 않나요?
Kristiano Honaldo
10/06/17 01:31
수정 아이콘
여기다가

총기 사고 몇개만 터지면

역대 최고의 월드컵이 되는겁니다 (아직까지 사고 소식 없는게 신기하네요)

하여간... 아프리카에서 왜 월드컵을 열어가지고
몽키.D.루피
10/06/17 01:32
수정 아이콘
감아 차는 슈팅은 어김없이 빗나가더군요;;
SOD매직미러호
10/06/17 01:33
수정 아이콘
정말 골 지겹게 안나긴 합니다.
제가 지금까지 본 최악의 팀은 카메룬....제일 실망한 팀은 포르투갈이네요.
그리고 자블라니가 얼마나 튀는지 한번 실축때 차보고 싶네요. 저같은 일반인도 캐논슈터로 만들어 준다는데...선수들은 왜 다들 그리 뜨는지..
한승연은내꺼
10/06/17 01:33
수정 아이콘
두번째경기부턴 좀 나아질까요......그런의미에서 우리나라 정말 대단하네요....2골씩이나 넣다니..
몽키D드래곤
10/06/17 01:35
수정 아이콘
진짜 레알 골안터집니다. 거기다 무승부도 엄청 쏟아지고.. 거기다 새벽3시30경기도있으니..으흉;

거기다 슈퍼스타들의 부상도많구요..토레스,드록바..로벤..ㅜㅜ

하지만 아무리재미없어도 좋으니 한국만 잘해준다면 불만없겠습니다.
니콜롯데Love
10/06/17 01:35
수정 아이콘
에효 ㅡㅡ 진짜 재미없어요
10/06/17 01:35
수정 아이콘
자블라니+고지대+수비축구유행+부부젤라 소음
고지대 효과도 무시못하죠.선수들 체력소모가 더 빠르다네요
테페리안
10/06/17 01:36
수정 아이콘
공이 역대 최악인것 같습니다. 무게감이랄까 그런 느낌이 전혀 없어요.
lotte_giants
10/06/17 01:36
수정 아이콘
조금 있으면 있을 남아공vs우루과이도 무재배의 냄새가 솔솔 풍기는 경기인데..흠..
적울린 네마리
10/06/17 01:37
수정 아이콘
대부분이 중원에서 압박,압박,압박의 군대축구의 전술을 시전하거나..
반코트로 극강의 9빽 전술이니...
10/06/17 01:37
수정 아이콘
제가 정말 축구팬이 맞는지 생각하게 만드는 이번 월드컵입니다...
장군보살
10/06/17 01:38
수정 아이콘
저는 항상 재미있게 보았고, 이번 월드컵 역시 재미면에서 그닥 다른걸 못느꼈습니다. 오히려 골이 안터지니, 가끔 가다가 터지는 골이 더 감격적이고 반가운 마음도 들구요..

그런데 방금 한 스페인전은 정말 기대를 많이해서인지, 너무 재미가 없었네요... 특히 스위스의 철통수비때문인지.. 아우.. 스위스는 정말로 안봤으면 하는 팀입니다. 스페인이 골운이 안 따라줘서 그렇지만, 스위스도 치고박고 이래야 재미있는데 닥치고 수비니... 아우..
10/06/17 01:38
수정 아이콘
일단 자블라니.

골키퍼가 고생할꺼라는 전망과 카시야스와 부폰등의 세계 톱 키퍼들의 죽는소리와는 달리, 뚜껑을 열어보니 개고생하고 온갖 욕은 다 쳐먹는건 공격수입니다?
당장 독일 빼고 중거리슛으로 득점한 팀이 있나요? 제 기억엔 없는데.. (아,영국이 먹은 막장골은 제외합시다.으엌)
중거리슛만 쏘면 대기권 돌파 혹은 땅볼이니, 수비수 입장에선 수비하기 참 쉽겠습니다.
그깟 중거리슛 줘봤자 잘해야 골대거든요. 올 월드컵 골대 맞춘 중장거리슛 숫자 세고계신분?

그리고 현대 축구의 트렌드.

축구 전술 트렌드도 패션처럼 몇년에 한번씩 유행이 돌고 돈다고 하는데, 요즘 축구의 트렌드는 단연 수비축구입니다.
그것도 피지컬을 앞세워 촘촘히 공간을 지워버리고, 어쩌다가 기회가 되면 나가는 역습이 공격의 전부.
안티사커로 대변되는 이런 축구로 무리뇨 감독은 올시즌 인터밀란을 챔스우승에 올려놨습니다.
국대팀이라고 다를건 없죠. 당장 브라질과 스페인이 쩔쩔 매다가 고전끝에 겨우 승리,패배했습니다.
아마 안티사커를 깨뜨릴 전술이 나오지 않는한, 한동안 객관적으로 약팀들은 전부 다 안티사커 들고 나올겁니다.뭐 아무나 제대로 하는건 아니겠지만..

이제 첫번째 바퀴가 끝났고, 두번째&세번째 바퀴는 진출이냐 탈락이냐의 기로에 서있는 똥줄타는 팀들이 죽자 사자 달려들겠기에,
적어도 첫번째 바퀴때보단 점수가 많이 나리라 예상하지만..
적어도 다음 월드컵부턴 자블라니 같은 공좀 안썼으면 좋겠습니다.
10/06/17 01:39
수정 아이콘
이제 팀별로 첫경기했으니 좀더 두고봐야 할것 같습니다. 경기내용이야 어느 월드컵이나 비슷하겠지만, 골이 안들어가는건 확실히 공의 영향이 있는것 같은데... 적응되다보면 어느 순간엔 평년만큼 골이 나올지도 모르죠.
10/06/17 01:49
수정 아이콘
골이 안난다고 무조건 재미없다고는 볼 수는 없지만 좀 심한 수준이기는 합니다. 이거 공인구를 도중에 교체할 수도 없고 참 그렇네요. 이제 한경기씩 했으니 다음 부터는 좀 더 골이 많이 터지지 않을까 조심스렇게 예상해봅니다.
10/06/17 01:50
수정 아이콘
아 잔디상태도 있군요.
10/06/17 01:52
수정 아이콘
이런 분위기에서 대한민국은 최고의 경기력을 보이며 16강..8강 고고고 한다면 참 좋을텐데.
10/06/17 01:54
수정 아이콘
수준 이하의 경기도 꽤 있었던 것 같고 전체적으로 큰 재미는 없는 것 같네요
하지만.. 내일 아르헨을 살살 요리해준다면 이야기가 달라질듯 크크;
그래프
10/06/17 01:55
수정 아이콘
음 에궁 골이 안나오는탓이 공때문이라고들 하니 글쎄요 그냥 보기엔 좋은공같아보이는데 말이죠 어쨋거나 꼭 공탓만도 아닌거같습니다 확실히 축구선수들이 이야기하길 탱탱볼차는거같다고했으니 탄력성이 좋고 가벼운거같네요 공이 좀가벼우면 안좋은데말이죠 그러다보니까 회전이 잘안먹히는거같습니다 몇경기봤는데 회전수가 영 떨어지더라구요 게다가 고지대라 공기밀도도 낮아서 더욱더 마찰이 안일어나 회전이 더안먹히는거같네요. a급선수들 킥올리는거만봐도 회전이 영안걸리는거같더라구요. 어쨋거나 또 고지대라 체력저하도 심하구요 그러다보니 컨트롤이 더떨어져 공이 맘대로 안차지는듯합니다, 음 아무래도 역대최악의 조건 월드컵이아닌가 차라리 평지대에서하지
10/06/17 01:55
수정 아이콘
흠.......수비축구 자체를 좋아하는 성격이라..
전 재미있는데 말이죠;;;
재미고 뭐고 내일 아르헨한테 이겼으면.....ㅠㅠ
10/06/17 02:00
수정 아이콘
과반수의 팀이 04그리스를 추구하는 느낌입니다. (영혼의 수비 이후 역습 결승골)

헌데 정작 그리스는 헐헐,
10/06/17 02:01
수정 아이콘
4-2-3-1 포메이션이 대세 탄 것도 골 안터지는 거에 한 몫 단단히 하는 듯.
근데 뭐 골만 많이 안나왔다 뿐이지 재미 없는 월드컵은 아닌 거 같네요. 전 충분히 재밌게 보고 있습니다.
cutiekaras
10/06/17 02:02
수정 아이콘
세계 최고 수준의 선수들이 차는 감각이 정말 중요한데
공때문에 휘감아 차는건 어김없이 뜨니 뭐
Zakk Wylde
10/06/17 02:03
수정 아이콘
피버노버 다시 쓰면 안 되나요? 으잌
후니저그
10/06/17 02:07
수정 아이콘
공이 안좋다보니 공격위주의 팀들이 손해보는 느낌이 들긴 하더군요.. 그래도 나름 재밌게보고 있습니다. 일본vs카메룬 수준의 경기만 아니라면야.. 그리고 이제 한턴 돌았죠.. 이제부터가 진짜라고 생각됩니다.
반니스텔루이
10/06/17 02:32
수정 아이콘
이제 1차전 끝났으니. 저도 나름 재밌게 보고 있습니다 흐흐
네이눔
10/06/17 02:52
수정 아이콘
탄력만 있으면 장땡이 아니라는것을 보여주는 사례가 되겠네요. 뭐든지 적당한게 중요한가봅니다. 크크
10/06/17 03:00
수정 아이콘
이제 오늘부터 2라운드 시작.
1패.1승.1무. 각자 서로 다른 이유로 나머지 경기에 열을 쏟겠죠.
18시간 후에 있을 대한민국과 메시의 대전에서 필승을 기원해봅니다.

오늘 스페인 스위스전도 그렇고 칠레 온두라스전도 그렇고
볼만했습니다.
예쁘고어린여
10/06/17 03:26
수정 아이콘
에휴;; 참 안타깝습니다..

피지알에서도 월드컵 불판을 위해서 이렇게 게시판까지 만들어줬는데 말이죠..

골 어지간히 안나긴 합니다.. 선수들이 볼 트래핑도 길게 해서 뺏기고;; (은근 참 열받네요 볼때마다;;;)

슛하면 대기권 돌파;;;; 크로스도 상당히 높게 아니면 낮게 올라오고요;;;

프리킥은 이제 기대도 안합니다;;;;

어쩌다 이렇게 됬나요;;; 그리고 고지대라.. 남아공은 평지가 아예 없나요?? 왜 고지대에다 그렇게 삐까뻔쩍한 경기장들을 지은건가요;;

그래도 대한민국 16강가면 볼만하겠지만.. 2라운드에서도 병맛 경기들이 속출하면 피파 욕 한바가지 쳐먹고

아프리카에서 월드컵 절대 안할거같습니다..

솔직히 균형발전이니 뭐니 다 축구팬들한테는 X소리죠;;;

최상의 경기력이 나와야 즐거운건 부인할수가 없는거구요.. 저번 독일대회가 참 볼만했는데 말이죠..

주닝요 선수가 일본상대로 넣은 후덜덜 중거리슛 이번대회에선 보기 어려울것같습니다;;;;
10/06/17 04:58
수정 아이콘
저번 대회에서의 주닝요나 막시 로드리게스, 슈바인 슈타이거 등의 미칠듯한 중거리슛이 그립긴 합니다..
10/06/17 07:05
수정 아이콘
경기력 자체가 떨어지는 것 같지 않는데 확실히 약간씩 아쉬운 장면들이 많이 나오긴 하네요..
자블라니의 위력인가요
율본좌
10/06/17 08:15
수정 아이콘
자블라니는 누가만든건지;;
너무 과학적으로 만들어도 탈..
10/06/17 11:22
수정 아이콘
그리스전도 재밌는 경기는 아니였죠.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650 [기타] 스코어/관중/실제 경기시간 분석표입니다. [8] 2756 10/06/17 2756
1649 [기타] 아르헨티나와 한국의 최근 10전 [3] SCV 맨3266 10/06/17 3266
1648 [기타] 득점 시간 분석. [1] 2561 10/06/17 2561
1647 [기타] 이제부터 시작인걸까요? [4] 후니저그3101 10/06/17 3101
1646 [기타] 현재까지 대륙별 승점상황 (5) [2] Korea_Republic2927 10/06/17 2927
1645 [기타] 현재까지 득점자 명단 및 순위 (4) [1] Korea_Republic2966 10/06/17 2966
1644 [기타] 어라 그러고 보니.. [5] 은솔아빠2793 10/06/17 2793
1643 [기타] 지극히 개인적인 관점에서 본 월드컵 경기력하락의 원인.... (특히 아프리카..) [8] 성야무인Ver 0.003375 10/06/17 3375
1642 [기타] 남아공의 패배..그여파는..? [8] 몽키D드래곤3524 10/06/17 3524
1641 [기타] 우루과이 VS 남아공은 불판이 없네요;;; [280] ds09043040 10/06/17 3040
1640 [기타] 래드브록스의 현재 우승팀 배당률과 B조 관련 배당 [5] SCV 맨3739 10/06/17 3739
1639 [기타] 남아공 월드컵 본선 1차전 각종 정리(1) [9] 반니스텔루이2861 10/06/17 2861
1638 [기타] 이번 월드컵 굉장히 재미가 없네요. [42] 아카펠라3945 10/06/17 3945
1637 [기타] 아~ 브라질 vs 스페인의 죽음의 16강 매치업이 나오나요? [16] 난동수2889 10/06/17 2889
1636 [기타] 스페인이 무너질 줄이야... [59] 영웅과몽상가4525 10/06/17 4525
1635 [기타] 성급하지만 이번대회 진정한 우승후보는.. [43] TheLazy3432 10/06/17 3432
1634 [기타] 스페인vs스위스 불판(3) [338] 포프의대모험3458 10/06/17 3458
1633 [기타] 스페인vs스위스 불판(2) [404] 반니스텔루이2991 10/06/17 2991
1632 [기타] 스페인vs스위스 불판 [331] 반니스텔루이3559 10/06/16 3559
1631 [기타] 온두라스vs칠레 불판 [136] 반니스텔루이2941 10/06/16 2941
1630 [기타] 아르헨티나 전 예상 BEST 11은? [26] Charles3385 10/06/16 3385
1629 [기타] 현재까지 포지션별 득점 현황 [3] 마음을 잃다3081 10/06/16 3081
1628 [기타] 뉴질랜드 vs 슬로바키아, 코트디부아르 vs 포르투갈, 브라질 vs 북한 경기 하이라이트 [16] Charles4047 10/06/16 4047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