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월드컵 기간동안 일시적으로 사용되는 게시판입니다.
Date 2010/06/17 00:58:44
Name 영웅과몽상가
Subject [기타] 스페인이 무너질 줄이야...
스페인이 오늘 질 줄 생각도 못했습니다.

연속무패를 하다가 컨페더레이션스컵 4강 미국에게 패배를 하긴 했지만

그들은 분명히 최상의 조합을 지닌 스페인 역대팀가운데 최고의 무적함대라고 볼 수

있습니다

오늘도 베스트 선수들이 다 출전했음에도 불구하고

토레스의 좋지 못한 컨디션과 번번히 수비에 막히면서 패배하고 말았습니다.

물론 스위스의 짠물 수비 축구 즉 문걸어잠그기 하나만큼은 이탈리아의 카테나치오에

못지 않았습니다.

스페인 팀으로써는 너무 아쉽게 되었습니다.

첫 경기는 잡아줘야 부담없이 경기할 수 있는 데 말입니다.

또 아마 메이져리그 징크스가 시작되지 않을 까 싶네요.

확실히 이니에스타와 사비등등 스페인 선수들이 활로를 만들고 공간을 만들어내는 능력은 선수들의 이름값 그대로 좋기는

했습니다만 한번에 무너졌던 수비는 보완할 점이 생겼습니다.

오늘 공격진 움직임도 많이 무디어 있었고 말입니다.

스페인으로서는 정말 답답한 경기를 했습니다.

토레스와 비야의 공격진 또한 오늘 날카롭지 못했던 것이 사실입니다.

최소 무승부라도 했다면 다음경기에 충분히 부담감 없이 힘해도 되었을 텐데 끝내

골은 터지지 않았습니다.

자신들이 지금껏 한번도 패배한 적이 없는 스위스에게 패배하고 특히 첫경기가 중요한 데

패배한 점은 어느 정도 부담으로 작용하지 않을까합니다.

북한 vs 브라질의 경기와 오늘 스위스 vs 브라질의 경기는 분명히 전통적인 축구강호와 신흥 축구팀들의

실력차이가 그리 크지 않음을 보여주는 좋은 예라고 할 수 있을 듯합니다.

요즘 정말 축구격차가 많이 좁혀져 있음을 느낍니다.

오늘 경기를 보면서 오늘 우리나라와 아르헨티나의 경기가 있는데 우리나라가 이변을

일으키는 것도 불가능하지는 않을 것 같습니다.

p.s 스페인팀의 패배는 의외입니다.
* 퍼플레인님에 의해서 게시물 이동되었습니다 (2010-06-17 01:20)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0/06/17 01:00
수정 아이콘
미국에게 2:0으로 진 스페인
스위스에게 1:0으로 진 스페인

어느게 더 충격적 - 의외의 결과 일까요 ?
레반틴
10/06/17 01:00
수정 아이콘
펠레 이양반 시작했군요.....

무서운 인간....
프링글스
10/06/17 01:00
수정 아이콘
월드컵 게시판으로~~!
민첩이
10/06/17 01:01
수정 아이콘
후반 10분 1골 먹혀있길래
당연히 확신을 가지고 친구와 밥 내기 했는데
(전 스페인의승리를)

이런?
수비수가 9명 ~ 10명이네
그래도 스페인 무적의창이 뚫을줄 알았건만 쩝..
10/06/17 01:01
수정 아이콘
혹시 자블라니랑 연관이...
1:0 0:0이 뭐이리 많은지..
10/06/17 01:02
수정 아이콘
54년 지역 예선 탈락
58년 지역 예선 탈락
62년 16강
66년 16강
70년 지역 예선 탈락
74년 지역 예선 탈락
78년 16강
82년 16강
86년 8강
90년 16강
94년 8강
98년 조별예선탈락
02년 8강
06년 16강
이게 스페인의 현실이죠. 그러나 만년 우승후보.
솔직히 8강 후보라고 하는것도 좀 거시기한 성적이네요
로토키스트
10/06/17 01:02
수정 아이콘
요번 월드컵 자블라니 덕분(?)인지 골 진짜 안나오네요.
뭔 뜨는 볼이 그렇게 많이 나오는지 참...
바카스
10/06/17 01:02
수정 아이콘
한국, 독일, 네덜란드 빼고 죄다 0:0, 1:0, 1:1 아닌가요? 2:1 경기도 기억에 없는 것 같은데..
10/06/17 01:03
수정 아이콘
스페인 공격력이 너무 실망스럽네요.
미드필드는 멋있게 볼돌리기만하고 정작 공격수에게는 롱볼로 패스하더라구요.
공격수는 공잡으면 계속 접기만하고...스페인입장에서 억울할 것도 없는 경기였다고 생각합니다.
10/06/17 01:03
수정 아이콘
스페인은 언제나 딱 8강정도가 적정선이랄까.. 맴버는 화려하지만 항상 실속은 없네요.
(비슷한 나라로는 영국이 있지만 영국 국대는 뭐 항상 막장의 끝을 달렸으니 스페인이 좀 더 나으려나요)

사실 스페인은 밀집수비로 공간 지워버리고 피지컬로 압박하는 형태의 축구에 항상 헤매는지라(2002년도에도 그랬죠)
스위스전도 쉽지는 않겠지 했는데 졌네요. 오히려 칠레같은 공격이 강하고 수비가 약한 팀을 탈탈 털어버릴 확률이 큽니다.

올해도 무난히 브라질 독일 이태리 셋중에 하나가 우승하리라 봅니다.
10/06/17 01:04
수정 아이콘
토레스는 진짜 그냥 벤치에 앉혀뒀던 게 더 좋았을 것 같네요. 윙니에스타도 솔직히 별로인 것 같고;
cutiekaras
10/06/17 01:05
수정 아이콘
스타플레이어들이 골을 못넣는게 공때문인거 같아서 많이 아쉽네요
델몬트콜드
10/06/17 01:06
수정 아이콘
딴건 모르겠고... 이번 월드컵은 소소한 심판들의 실수가 자주 보이지 않나요?ㅠㅠ 저만 그런가..
SOD매직미러호
10/06/17 01:08
수정 아이콘
그래도 오랜만에 안구정화되는 패스들... 강력한 중거리슛, 톱니바퀴처럼 약속된 플레이들.. 스페인 정말 잘만들어진 팀이에요.
유일한 단점은 한방에 훅가는것.
그리고 오늘도 느낀거지만 카시야스가 왜 세계최고 골킵으로 고평가받는지 잘 모르겠습니다. 레알에서 경기를 봐도 그닥...
낭만고양이a
10/06/17 01:08
수정 아이콘
자블라니 + 강팀의삽질(독일제외) (+ 궁극의10백)
모든팀들이 한경기씩 치룬 상황에서 경기력과 결과만 따졌을때 4강은 독일,네덜란드,브라질,대한민국 (으잉?)

오늘 스페인은 자신들의 축구를 너무 과신했다는 생각이 드네요.
델보스케감독이 명장이긴하지만, 후반시작하자마자 전술의 변화를 빠르게 줬어야하는데 그러지못했고,
결과론적이지만 나바스,페드로 넣어서 크로스 올릴거면 토레스대신 요렌테를 넣는게 훨씬 나았을것 같기도하고..
아무튼 토털사커니, 아트사커니 역대 모든 축구전술<10백인것 같습니다. 허허
밉쌍덩어리
10/06/17 01:08
수정 아이콘
사비 에르난데스라는 존재가 오히려 독이 되었다는 느낌도 들었습니다.
(최근 스타판의 이영호 선수처럼 속도를 앞세운 축구가 많다고 생각했는데
이번 월드컵에는 지키는 축구를 하는 경우가 많아서 전혀 그런 느낌이 들지 않네요.)
뭐, 스페인이 신장을 앞세운 스타일도 아니지만...
챔스 4강 홈경기도 그렇지만 볼점유율만 극단적으로 높을 뿐 마무리가 안 된다는 느낌이 너무 강한 탓인지
사비 에르난데스와는 다른 스타일의 선수가 중원을 조율하는 게 어떨까하는 생각도 드네요.
방랑청년
10/06/17 01:09
수정 아이콘
유로2008로 징크스 극복했나 싶더니만... 역시 역사는 무시못하는군요..
그나저나 자블라니 왜이렇게 탄력이 좋을까요???
The)UnderTaker
10/06/17 01:10
수정 아이콘
히츠펠트의 전술의 승리라고 보네요
율리우스 카이
10/06/17 01:12
수정 아이콘
SOD매직미러호님// 레알 수비의 반 이라는 카시야스를.. 흑흑흑..
스칼렛
10/06/17 01:15
수정 아이콘
애초에 수비조율이나 공격전개는 레이나가 계속 카시야스보다 한수 위 아니었나요;;
그럼에도 카시야스가 더 고평가받는건 그 막장 수비속에서 빛나는 슈퍼세이브들 때문일텐데
사실 요샌 레이나가 더 잘 막는 것 같기도 하고;;
10/06/17 01:15
수정 아이콘
스페인의 장점 : 영원한 우승후보
스페인의 단점 : 영원한 우승후보
10/06/17 01:17
수정 아이콘
사실 스페인의 대회성적과는 무관하게 이 경기는 승리하리라 생각했는데, 오늘 결과는 감독 역량차이라고 생각되네요.

델보스케는 그냥 늘 하던대로의 스페인을 들고나온것 같고(거기에 세냐가 빠졌으니 전력손실도 상당..) 히츠펠트는 스페인 특유의 플레이에 맞춤으로 완전히 칼을 갈고 나왔던것 같고... 후반전만 봤을때, 경기는 스페인이 주도했지만 스위스쪽이 훨씬 세련된 느낌이였어요.
장군보살
10/06/17 01:19
수정 아이콘
전력최강, 우승후보 0순위라는 스페인이........ 진짜 오늘 스위스의 철통수비도 수비지만.. 정말 스페인은 월드컵에서 뭔가 안풀립니다...
10/06/17 01:22
수정 아이콘
스페인..너마져
선미남편
10/06/17 01:22
수정 아이콘
스페인엔 메시가 없고

아르헨티나엔, 스페인급 미드필더가 없으니..

우리도 해볼만 할듯 하네요
멀면 벙커링
10/06/17 01:22
수정 아이콘
스페인 선수들은 자신의 기술을 너무 과신한 거 같네요.
먼가 작품하나 만들어서 골 넣어야겠다는 느낌이 강했습니다.
Kristiano Honaldo
10/06/17 01:22
수정 아이콘
빨리 레기바이러스 숙주부터 찾아야 됩니다

앞으로 결승전까지 이런경기가 쭉 이어질수도 있습니다
산사춘
10/06/17 01:23
수정 아이콘
오늘 프로토 시작부터 쓰나미 시작...
막혀서안간것이 다행이네요
10/06/17 01:23
수정 아이콘
카시아스는 절대주전 아니었나요...

약한팀은 미친듯한 선방을 해주는 골키퍼를 원하고, 강팀은 안정감있는 골키퍼를 원하고...
카시아스는 둘 다 잘하고....;;
lotte_giants
10/06/17 01:24
수정 아이콘
그나저나 현재까지 경기당 평균 1.56골...월드컵 역대 최저가 2.21골인데, 결승 토너먼트보다 조별예선에서 골이 더 잘나와야 정상인데 이건 좀 심하군요.
Surrender
10/06/17 01:24
수정 아이콘
스페인은 피케의 찬스, 알론소의 슛, 이니에스타의 슛, 토레스의 슛 정도가 아쉽겠네요.
스위스의 수비력 대단하더군요.
스페인이 이렇게 허무하게 끝나지는 않겠죠?
몽키D드래곤
10/06/17 01:25
수정 아이콘
이건뭐 펠레의 저주 + 스페인의 월드컵징크스라고 해석이..

개인적으로는 스위스감독의 승리라고 봅니다만

아 귀신같은 토토..나도 해바야지 북한 vs 포르투갈에서 북한한테 걸면 대박날것같네요
한승연은내꺼
10/06/17 01:26
수정 아이콘
그런데 약팀이 강팀이기니까 기분좋은건 저만그런가요..
적울린 네마리
10/06/17 01:26
수정 아이콘
스페인이나 영국이나 자국리그의 명성에 고평가되고 있는 건 아닌지 싶네요.
유로2008을 거머쥐었지만, 클럽에서의 플레이와 국대의 플레이의 격차가 너무 크네요.
SOD매직미러호
10/06/17 01:28
수정 아이콘
그래도 스페인 16강 가는건 그리 어렵지 않을것 같기도..
칠레같은 공격적인 팀에겐 스페인이 상당히 강할것 같거든요.. 오늘 패인중에 하나는 골운이 안따라준면도 있다고 봐서...
낼 우리나라가 아르헨도 깨서 이변을 이어나가길 기원합니다.
C.P.company
10/06/17 01:58
수정 아이콘
스페인 16강이야 가겠죠. 애들 표정보니 빡돈거 같던데 아마 다음팀에겐 재앙이될지도 모르겠군요.
네이눔
10/06/17 02:12
수정 아이콘
16강이야 가겠지만 결국은 그동안의 역사를 되풀이 하지 않을지.. 언제는 스페인이 누구에게 이름값 떨어졌었나요. 이름값으로 결정하는 월드컵이라면 우승 3번은 넘게 했겠죠.
정태영
10/06/17 02:21
수정 아이콘
이제 겨우 한경기 했습니다. 안풀릴 수도 있죠.

스페인 최소 4강은 가리라 생각합니다.
10/06/17 03:14
수정 아이콘
스페인 이번 국대는 딱히 고평가 아닙니다. 잉글랜드는 사실 뭐 전 항상 고평가라고 생각해서
지금의 팀이 갖추어지기 전 스페인 국대가 사실 우승전력정도까지 불릴만한 적은 적었죠.
만년 우승후보라고 했지만 사실상 그 만년 우승후보의 거의가 브라질, 아르헨, 네덜란드, 독일, 이탈리아, 잉글랜드, 프랑스 등등 축구강국이라고 불리면 누구나 함께 듣던 만년 우승후보였습니다. 이번에말로 진짜 우승후보죠.

그러나 이번 국대는 유로 우승을 넘어서 이제까지 성적도 성적이고 경기력도 부끄럼 없었죠. 오늘만 못했죠.
모든 해설이나 축구 전문가가 스페인을 우승 전력 1순위를 둔게 괜히 둔게 아니죠. 근 3년동안 부정할 수 없는 최고의 팀이었는데
아무리 봐도 아직은 스페인이 고평가받았다고 말하기는 이릅니다.
10/06/17 08:14
수정 아이콘
사실 스페인 식의 팀의 약점은 10백입니다.
스페인과 비슷한 축구를 하는 아스날과 바르샤의 가장 큰 차이점은 메시의 유무로 보거든요.
바르샤가 아닌 아스날에 메시가 있었다면, 아스날 역시 리그와 챔스 모두 1위를 다투는 팀이였을거라 봅니다.
(아스날은 몇시즌째 그냥 걸어 잠그는 팀들에게 많이 발목을 잡혀왔죠, 대신 초반에 골을 넣으면 골풍년;)
스페인의 현재 문제는 메시 수준의 드리블러가 없는 것인데, 이네이스타와 실바가 이부분은 어느정도 해소해줘야죠.
현 상황이라면, 약팀과의 경기때는 비야 1톱으로 놓고, 쉐도우에 세스크를 넣는 것이 현명하다고 봅니다.
결정적 패스를 할수 있는 선수가 한명더 늘어나는 것이 확실해 보여요.

그러나 스위스야 워낙 피지컬과 수비가 강한 팀이지만, 남은 두 팀이 방어를 해낼 것 같아 보이진 않네요.
10/06/17 08:15
수정 아이콘
스페인이 8강만 간다면, 우승도 가능하리라 봅니다.
스페인은 바르샤에 견줄수 있는 스쿼드라 봤을때, 치고 박고 싸우는 경기흐름에서는 스페인을 잡을 팀이 없어 보여요.
10/06/17 09:12
수정 아이콘
경기 최악의 선수로 세르지오 라모스 꼽습니다. 실점장면에서 골넣은 선수 마킹 풀린건 말도 안되는 실수일 뿐더러, 공격전개 장면에서도 지나치게 앞쪽으로 나와있어서 오른쪽으로 밸런스가 쏠렸었죠. 이 선수는 정말 순간에 집중력을 잃거나 침착함을 잃는 모습이 너무 자주 보이네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646 [기타] 현재까지 대륙별 승점상황 (5) [2] Korea_Republic2903 10/06/17 2903
1645 [기타] 현재까지 득점자 명단 및 순위 (4) [1] Korea_Republic2944 10/06/17 2944
1644 [기타] 어라 그러고 보니.. [5] 은솔아빠2769 10/06/17 2769
1643 [기타] 지극히 개인적인 관점에서 본 월드컵 경기력하락의 원인.... (특히 아프리카..) [8] 성야무인Ver 0.003352 10/06/17 3352
1642 [기타] 남아공의 패배..그여파는..? [8] 몽키D드래곤3498 10/06/17 3498
1641 [기타] 우루과이 VS 남아공은 불판이 없네요;;; [280] ds09043015 10/06/17 3015
1640 [기타] 래드브록스의 현재 우승팀 배당률과 B조 관련 배당 [5] SCV 맨3713 10/06/17 3713
1639 [기타] 남아공 월드컵 본선 1차전 각종 정리(1) [9] 반니스텔루이2839 10/06/17 2839
1638 [기타] 이번 월드컵 굉장히 재미가 없네요. [42] 아카펠라3924 10/06/17 3924
1637 [기타] 아~ 브라질 vs 스페인의 죽음의 16강 매치업이 나오나요? [16] 난동수2865 10/06/17 2865
1636 [기타] 스페인이 무너질 줄이야... [59] 영웅과몽상가4502 10/06/17 4502
1635 [기타] 성급하지만 이번대회 진정한 우승후보는.. [43] TheLazy3408 10/06/17 3408
1634 [기타] 스페인vs스위스 불판(3) [338] 포프의대모험3435 10/06/17 3435
1633 [기타] 스페인vs스위스 불판(2) [404] 반니스텔루이2967 10/06/17 2967
1632 [기타] 스페인vs스위스 불판 [331] 반니스텔루이3533 10/06/16 3533
1631 [기타] 온두라스vs칠레 불판 [136] 반니스텔루이2918 10/06/16 2918
1630 [기타] 아르헨티나 전 예상 BEST 11은? [26] Charles3361 10/06/16 3361
1629 [기타] 현재까지 포지션별 득점 현황 [3] 마음을 잃다3059 10/06/16 3059
1628 [기타] 뉴질랜드 vs 슬로바키아, 코트디부아르 vs 포르투갈, 브라질 vs 북한 경기 하이라이트 [16] Charles4024 10/06/16 4024
1627 [기타] 현재까지 각 대륙별 승점상황 (4) [13] Korea_Republic3732 10/06/16 3732
1626 [기타] 현재까지 득점자 명단 및 순위 (3) [4] Korea_Republic3339 10/06/16 3339
1625 [기타] 몇개나 맞출수 있을까요? [6] 2934 10/06/16 2934
1624 [기타] 17일 경기 K-리그 서포터즈가 함께 할 거리응원 봉사 및 자율응원 장소입니다. [3] 2567 10/06/16 2567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