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월드컵 기간동안 일시적으로 사용되는 게시판입니다.
Date 2010/06/13 21:20:46
Name 실수카고
Subject [기타] 이번 월드컵 골맛을 보기가 상당히 어렵네요.
아직 몇경기 진행안되서 섣부른 판단이 될 수도 있지만, 역대 월드컵을 통틀어서도 이렇게 골 보기가 어려운 대회는 처음인 것 같습니다.
현재까지 5경기에서 7골 밖에 안 터졌는데, 그나마도 최전방 공격수가 넣은 골은 한골도 없고...
한 경기에서 3골 이상 터진 경우도 없고, 팀 다득점도 겨우(?) 2득점을 한 한국 대표팀이 현재까진 단독 1위이군요 ㅡ.ㅡ
FIFA에서는 어떻게든 공격축구를 지향하기 위해서 오프사이드 동일선상, 백패스 골리 핸들링 금지 등의 여러가지 조항 개정에도 불구하고,
대회를 거듭할수록 월드컵에서는 수비축구가 대세를 이루는 것 같네요.
  시원한 골 장면을 기대하면서 월드컵을 보는데, 아직까지는 우리 대표팀 경기외에는 지루함과 답답함을 금할 길이 없네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0/06/13 21:22
수정 아이콘
공이 지나치게 붕뜨는게 외려 좀 슈팅 내지 득점에 에로사항을 꽃피게 하는 것같기도 합니다.
Korea_Republic
10/06/13 21:36
수정 아이콘
자블라니 때문에 정교한 킥을 보기가 참 힘듭니다.
10/06/13 21:37
수정 아이콘
자블라니가 탄력이 좋고 종잡을 수 없다는 게 오히려 공격수들의 볼 컨트롤과 슈팅 정확성을 떨어뜨리는 결과를 가져오는 게 아닌가 싶습니다. 골키퍼들이 선방을 잘하고 있다고 보기엔 지나치게 골문 밖으로 벗어나는 슈팅이 많고 정확하게 차려다 보면 골키퍼 정면으로 가는 경우가 많네요.
벤카슬러
10/06/13 21:38
수정 아이콘
공을 너무 과학적으로 만들어도 문제네요
C.P.company
10/06/13 21:48
수정 아이콘
메시같이 감아돌리는 슛은 그나마 좀 정확히 나오는데 좀 쎄게 찬다 싶으면 여지없이 딴데로 가버리니..
큐리스
10/06/13 21:53
수정 아이콘
공 자체에 문제가 있다기보다는...
고지대에서 자블라니를 사용하는 것에 아직도 익숙하지 않아서가 아닐까요.
대회 후반으로 가면 좀 나아질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10/06/13 21:54
수정 아이콘
아르헨티나 대 나이지리아 경기 보니 메시가 왼쪽으로 치고 들어오면서 날리는 슈팅....정교하긴했지만 리그의 쎄기가 안나오더라고요..
율본좌
10/06/13 22:01
수정 아이콘
북한 정대세의 시원한 슛팅을 기대해 봅니다..
wonderswan
10/06/13 22:08
수정 아이콘
A조, C조는 정말 최악이네요.
D조 이후부터는 좀 낫지 않을까 싶습니다.
몽키.D.루피
10/06/13 22:09
수정 아이콘
객관적으로 봤을 때 우리나라라서 그런게 아니라 한국 경기가 제일 재미있었던 것 같습니다. 지금까지의 경기력만으로는 역대 최악의 대회가 아닐까 싶은데.. 아직 대회 초반이니 16강 8강 갈수록 강팀들 컨디션이 올라오면 재밌어 지겠죠.
10/06/13 22:18
수정 아이콘
자블라니 문제라고 보기엔 매 월드컵때마다 새로운 공인구에 대한 적응 문제는 항상 제기되어 왔었죠.
팀 카이스트보다 자블라니가 더 파격적이라고 보기도 어렵구요.

전력의 상향 평준화, 강력한 압박과 수비 위주 전략의 득세에 따른 당연한 결과인 것 같네요.
공격수 외 다른 포지션에서의 많은 득점도 현대축구의 당연한 흐름이구요.

확실히 보는 재미가 떨어져서 아쉽긴 하네요. 대회가 진행되다보면 점점 재미있는 경기도 나오기 시작하겠죠.
축구사랑
10/06/13 22:19
수정 아이콘
이번 대회는 정말 뚜렷한 강팀도 없는 것 같습니다. 프랑스, 영국이 네임밸류에 훨씬 미달하는 내용이었고...
아르헨은 경기내용은 비로소 강팀다웠지만 결정력이 다소 아쉬웠기에...
2023 lck 스프링 결승 예측자Ed
10/06/13 22:41
수정 아이콘
스페인 브라질 독일만 보고 가야하는건가요?
SCVgoodtogosir
10/06/13 22:57
수정 아이콘
고지대+자블라니 콤보도 한몫 하는 것 같습니다.
10/06/13 23:08
수정 아이콘
자블라니도 자블라니지만 고지대라서 공이 평소보다 훨씬 높다거나 빠른 느낌이 드네요.
내일은
10/06/13 23:16
수정 아이콘
공 때문이기도 하지만,
압박축구가 보편화되어 월드컵 본선에 올라오는 수준의 팀들은 수비조직력이 어느 수준 이상인 것도 있고
브라질 같은 팀조차 우선적으로 단단하게 만든 다음 공격에 나서는 형편이니...
켈로그김
10/06/13 23:25
수정 아이콘
부부젤라때문에 콜플레이가 잘 안되서 그럴까요?>
핸드마스터
10/06/14 00:01
수정 아이콘
첫경기에서 작살(?) 나버리면 2,3번째 경기에서 만회가 힘들다고 보고 수비적인 전술 운영을 하는것 같습니다.
공격적인 성향을 띄어야 골이 잘나는데 나오는 팀들마다 수비적 성향을 띄고 있네요.
아마 2,3라운드부터는 골이 좀 나지 않을까 합니다.
비기면 떨어진다는 절박함이 있으면 공격하겠죠.
검은고양이경
10/06/14 08:39
수정 아이콘
이번 공인구가 한번 바운드할때 전진방향으로 많이 튕기고 미끌어 나간다는 느낌이 드네요. 역시 피치문제가 아니고 공 문제인거 같습니다. 백스핀이 들어간 롱패스면 한번 바운드할때면 브레킹이 들어가는데 자블라니는 완전 상관없네요. 이런 상황이라 롱패스의 성공율이 완전 바닥이니까 상대적으로 스페인, 브라질, 아르헨티나같은 팀한테 유리한거 같습니다. 공에 불규칙성을 넣어서 골이 많이 나게 한다는 아디다스와 피파의 예상과 완전 반대효과가 나오고 있습니다. 94년부터 대회 전용볼이 생겨서 최악의 공인건 사실인거 같습니다.
임이최마율~
10/06/14 10:03
수정 아이콘
현재 팀다득점 1위 한국의 위엄!! 쩝니다..
경기력도 지금까지 한 조별리그중에는 가장 좋았던듯..

기뻐해야할지..울어야할지..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598 [기타] 일본 VS 카메룬 불판(3) [207] 실수카고3233 10/06/15 3233
1597 [기타] 일본 vs 카메룬 불판(2) [426] 카시야신3903 10/06/14 3903
1596 [기타] 현재까지 득점자 명단 및 순위 (1) [11] Korea_Republic3374 10/06/14 3374
1595 [기타] 일본 vs 카메룬 불판 [397] 티티4269 10/06/14 4269
1594 [기타] 네덜란드 대 덴마크전 중계진 [18] Scout3204 10/06/14 3204
1593 [기타] 염보성선수가 아르헨티나 전에 대한 전망을 했네요. [17] SKY924449 10/06/14 4449
1592 [기타] 8강을 꿈꾸다!! [14] 은솔아빠3086 10/06/14 3086
1591 [기타] 네덜란드 vs 덴마크 불판 [392] 티티4118 10/06/14 4118
1590 [기타] [게임추천] 월드컵 조금 더 재미있게 즐기기-FFM 2023 lck 스프링 결승 예측자Ed2990 10/06/14 2990
1589 [기타] 개미가 왜 강한지 아는가? [13] 친정간금자씨!3264 10/06/14 3264
1588 [기타] 역대 월드컵 1-4위 성적 정리 [24] possible3455 10/06/14 3455
1587 [기타] 피파 랭킹에 대한 불만과 Elo 랭킹에 대한 소개 [16] SCV 맨7577 10/06/14 7577
1586 [기타] 현재까지 각 대륙별 승점상황 (2) [16] Korea_Republic3943 10/06/14 3943
1585 [기타] 알제리vs슬로베니아, 세르비아vs가나, 독일vs호주 경기 하이라이트 [8] Charles3912 10/06/14 3912
1584 [기타] 독일 vs 호주 라인업 [300] 반니스텔루이4574 10/06/14 4574
1583 [기타] 부부젤라 덕에 조용한 시청을 하고 있습니다. [17] fomo4001 10/06/14 4001
1582 [기타] 월드컵이나 올림픽때마다 나오는 급조된 해설자들.. [38] SSeri4017 10/06/14 4017
1581 [기타] 현재까지 각 대륙별 승점상황 [13] Korea_Republic4103 10/06/13 4103
1580 [기타] 지금 세르비아 대 가나 해설 누구인가요 [36] Scout4186 10/06/13 4186
1579 [기타] 2010 남아공월드컵 해설자/캐스터 안내. [13] 3116 10/06/13 3116
1578 [기타] 세르비아 vs 가나 라인업 불판 [284] 반니스텔루이3509 10/06/13 3509
1576 [기타] 이쯤에서 다시보는 박지성 스페셜 영상~!! [14] nomark3348 10/06/13 3348
1575 [기타] 이번 월드컵 골맛을 보기가 상당히 어렵네요. [21] 실수카고3896 10/06/13 3896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