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Date 2010/09/27 19:30:56
Name Leeka
Subject 다음패치에 바라는 점..
개인적으로 다음패치에 바라는 점 중에 하나는.. 직접적인 벨런스보다 간접적인 벨런스 부분입니다.

대강 적어보자면

1. 감염충이 공격 우선순위가 고위기사 정도로 낮게 설정되었으면.

  왜 같은 마법 유니트인 고위기사는 우선순위가 낮아서, 어택명령을 내리면 선 공격을 안하는데, 감염충은 가장 먼저 죽게 되어있는지 몰르겠습니다..

공격 우선순위만 고위기사 정도로 내려가도 활용도가 많이 올라갈 수 있을것 같네요..


2. 수리중인 건설로봇의 공격 우선순위가 올라갔으면..

  이건 반대의 이유인데.. '수리중인 토르나 전순, 건물을 우클릭해서 강제공격하긴 쉽지만',
수리중인 건설로봇을 일일이 클릭하긴 정말 어렵습니다. (특히 전순 밑에, 토르 바로 뒤에.. 와 같은 위치는 클릭도 잘 안됩니다..)


3. 광전사의 돌진시 한대는 꼭 때렸으면..

이건 뭐 워낙 유명한 것이니....


4. 벙커 회수시 얻는 금액 변경..

체력이 100인 벙커든.. 풀인 벙커든.. 같은 돈을 주는 부분이나, 전액 돌려주는 부분.. 둘중 하나는 조정되었으면 좋겠습니다..

100%가 아니라 75%정도만 준다면 개인적으론 불만없이 납득할 수 있을것 같네요..


5. 모함의 요격기 개선..

요격기가 본체에 들어갔다 나오면.. 스1처럼 실드회복이 되거나, 뭐 요격기의 우선 공격순위가 낮다던가.. 하는식으로.. 요격기 자체가 개선되었으면 좋겠네요..


종족별 테크상 최종병기를 보면...  토스의 거신/고위기사/우주모함(모선은 정말 특수 유닛이니 논외로..),  테란의 전투순양함/토르/유령,
저그의 울트라/무리군주중..  우주모함의 성능은 참...(가격도 요격기 충전덕에 가장 비싸죠... ) 어느정돈 개선이 되었으면 좋겠네요..



전 이정도를 일단 바랍니다..

이정도 사항들은 다음패치에서 수정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특히 감염충은 랜덤저그 유저로써는 우선순위가 너무 높아서 힘드네요...  수리중인 건설로봇 클릭하기도 APM이 100 될랑말랑한 저한텐 너무 스트레스고..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0/09/27 19:28
수정 아이콘
좋네요. 블리자드식 패치마인드인 '평균 유저들을 위한 패치' 에도 부합하구요.
Physiallergy
10/09/27 19:47
수정 아이콘
2처럼 바꾸려면 공평하게 일하는 일꾼의 우선순위도 올라가야 한다고 봅니다.
저그에 드랍 가거나 암흑기사 보냈을 때 제일 짜증나는 게 어택 명령 내려 두면 얘들이 여왕부터 때린다는 거죠.
레몬카라멜
10/09/27 19:43
수정 아이콘
타..타락귀 좀.. 사거리든 타락이든 뭐든 좋으니 조금만 더 손대주면 안 될런지..
도달자
10/09/27 20:06
수정 아이콘
음... 마나있는 유닛이 무조건 1순위로 알고있었는데.. 고위기사는 별도로 공격순위가 낮은가보군요
구름을벗어난달
10/09/27 20:26
수정 아이콘
블리자드에선 이 글 꼭 봐야 합니다.
10/09/27 20:27
수정 아이콘
공감되는 항목이 참 많네요.
하지만 저 모든 내용을 합친 것보다 타락귀의 버프가 더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타락귀는 토스전에만 나오니까, 다른종족전에 영향도 안주기 때문에, 밸런스 걱정도 덜합니다.
Summerlight
10/09/27 20:41
수정 아이콘
감염충 공격 우선 순위는 아마 신경 기생충 때문에 계속 조정되었던 걸로 기억합니다. 신경 기생충을 사용하는 경우에 한해서 공격 우선 순위를 올리는게 어떨까 하는데...
10/09/27 21:22
수정 아이콘
타락귀는 이속만 좀 높여주면 괜찮을 것 같아요. 불사조 상성유닛임에도 불구하고 불사조 치고 빠지면 할게 없으니..
뮤탈과 타락귀를 조합하면 뮤탈만 따라가다 다죽고 컨트롤이 너무 힘들죠. 그래서 히드라 밖에 못뽑는거구요.
충격탄처럼 맞고 느려지면 너무 좋아질 것 같아서 생각도 안함 ㅠ_ㅠ
10/09/27 23:20
수정 아이콘
타락을 범위 마법으로 바꾸고 지속 시간동안 HP, MP, 보호막 회복이 불가능하게 한다면 어떨까요. 대신 사용마나는 100 정도로 하고...
10/09/27 23:21
수정 아이콘
플토상대로 메카닉 유닛좀 쓸수 있게 버프됬으면 좋겠네요. 고작 감시공장이라니... 우울할 따름입니다.

그리고 밤까 추미도 마나를 낮추던지 데미지나 범위를 향상시켜주던지... 스톰맞을때 뭐라도 던져보고 싶어요.
Lainworks
10/09/27 23:29
수정 아이콘
3번은 정말.... 무리군주 보면 블리자드가 그냥 질럿 엿먹으라고 그렇게 만든것 같아요. 세상에 질럿 사거리가 0인데 0.1 까지 돌진이라니;;

모함은 지금 참 위치가 애매하지 싶어요. 공포랑 거신이라는 고가격 짱쌘애들이 있으니, 모함까지 쓸만해지면 후반부 토스에게 너무 힘을 실어주는 결과가 되는것 같기도 하고. 물론 인구수 문제도 있고 해서 쭉 모함까지 안정적으로 후반 테크 탈수 있다는건 아니지만 상대적으로 후반이 너무 좋아지는것 같네요. 근데 그렇다 쳐도 지금 모함은 너무 잉여돋고;;

모함 버프에 타락귀 대형유닛 대상으로 공격력 버프 주고 이속을 좀 높여주면....되려나?
10/09/28 00:24
수정 아이콘
그런데 우주모함은 참 문제인게 보통 프로토스들이 거신을 가서 테란이 바이킹을 확보해두죠. 따라서 우주모함은 테란 병력 구성의 빈틈을 노릴 수 없는 유닛이 되어버립니다.
물론 거신쪽을 포기하고 고위기사를 쓰다가 우주모함을 가면 완전 스타1이랑 똑같은 운영이 되겠죠.
하지만 유령의 emp는 고위기사 완전 카운터입니다.
불곰이 추적자, 바퀴의 카운터이긴해도 정말 압도적인 물량을 이기진 못하듯이 카운터라는 것에도 정도가 있는건데
emp는 정말 한방에 훅가버리는 극 카운터입니다. 따라서 프토는 거신 추적자 조합을 쓰죠.
프토가 구현해낼 수 있는 병력조합들 중에서 으뜸으로 강합니다. 뭐 이 이하는 더이상 얘기할 필요가없죵
greensocks
10/09/28 01:53
수정 아이콘
솔직히 벙커 전 금액 회수는 너무 황당한거 같네요.
이럴꺼면 토스 저그도 똑같이 만들어 주던가
테란만 그런 기능이 있는건 너무 넌센스네요
10/09/28 09:45
수정 아이콘
바로 패치되지 않을듯..

블리자드의 생각 :
저그에 익숙한 유저(=초고수)라면 감염충을 빼준다거나 수리중인 건설로봇 일점사 해주는 컨트롤 충분히 해줄수 있을것입니다.
하지만 일반적인 테란유저들은 감염충을 일점사해준다거나 건설로봇을 피해주는 컨트를 하기가 어렵습니다.
블리자드 개발진은 단지 하기 싫어서 저그를 안할뿐입니다.저그에 익숙한 유저들은 잘만 하던데요 뭐.(방송경기를 보라)
스누피
10/09/30 08:31
수정 아이콘
2번은 되려 악용될 가능성이 더 많아 보이는데요;;

얼추 대략 뒤쪽에 유닛을 수리하고 있으면 그 일꾼 때리러 몰려가게 될텐데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871 금일 한국 ELL 랭킹 및, GSL 8강 매치업 [10] Leeka3396 10/09/28 3396
1869 *PGRer ID 9월 28일자 + 스타2 관련 잡담* [20] RENTON3268 10/09/28 3268
1868 스타크래프트 II: 자유의 날개 - 패치 1.1.1 [22] kimbilly4638 10/09/28 4638
1867 논란_종결자.txt [16] 하나6364 10/09/28 6364
1866 얼마전 화제가된 게이머 ID 서연지에 관한 루머가 올라왔네요. [35] 충달7285 10/09/28 7285
1865 다음패치에 바라는 점.. [24] Leeka3599 10/09/27 3599
1864 스2 입문 초보의 배넷 관련 궁금점들입니다. [5] dokzu2678 10/09/27 2678
1863 ZOTAC CUP 스타크래프트 II 클랜팀배틀 예고. [7] 부평의K2907 10/09/27 2907
1862 ETN GSL 독점 중계? [10] 그랜드파덜3497 10/09/27 3497
1861 플토 잡는게 정말 어렵네요.ㅠ [5] 윤아3012 10/09/27 3012
1859 1.2패치에 관한 블리자드 인터뷰 번역입니다. [21] 샤르미에티미4271 10/09/27 4271
1858 A1방송국배 AST 2회차 대진표가 공개되었습니다. [5] JunioR2960 10/09/27 2960
1857 저그로 1200점을 달성했네요... [24] 韓信4116 10/09/26 4116
1856 유명 게이머가 되기 가장 쉬운 방법은 컨셉잡기다. [15] 하나4764 10/09/26 4764
1855 초반 펌핑보단 점막을 깔자... [5] Inocent5149 10/09/26 5149
1854 패치되었으면 하는 것. [18] 빼꼼후다닥4490 10/09/26 4490
1853 맹덕어멈을 잇는 초고수 익명게이머가 등장했습니다. [28] 28살 2학년8372 10/09/25 8372
1852 밴시는 너프될 필요성이 있습니다 [35] 하나5329 10/09/25 5329
1851 1.1패치 이후 테란은 불리하지 않다. [9] Lich_King3178 10/09/25 3178
1850 드디어 다이아 1000점이네요.. [5] 베일2455 10/09/25 2455
1849 2:2 레더 조 1위를 달성했습니다. [2] Monring3483 10/09/25 3483
1848 테테전 유령 더블 [24] 김연우5033 10/09/24 5033
1847 이번에 편집기로 만든 지도입니다. [5] 빼꼼후다닥3435 10/09/24 3435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