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Date 2010/08/21 07:46:54
Name 빼꼼후다닥
Subject 스타2 한글화 명칭 어느 정도 쓰세요?

꽤 오래 하면서 느끼는건데, 스타1을 왠만큼 했던 분들은 전작 유닛 그대로 부르시더군요. 이거 당연한 것 같고, 스타1을 별로 안하신 것 같은 분들은 한글화 명칭으로 부르긴 하는데 그래도 전작 명칭으로 부르긴 하더군요. 저는 약간 의식하는게 있어서 거의 모두 한글화 명칭으로 부릅니다. 예전엔 저도 좀 헷갈린 부화장-번식지-군락은 이제 자연스럽게 나오고 있고요. 혹시나 해서 한번 유닛, 건물 이름을 쭉 써봤는데 로봇 공학 지원소였나요? 거신 생산에 필요한 보조 건물 빼고는 전부 완벽하게 알고 있었습니다.

아, 대신 업그레이드 부분은 많이 모르긴 하는데 이건 1도 제대로 된 명칭 없이 부르니 상관 없는 것 같고요. 그 외에 같이 게임하는 분들이 자주 헷갈리는건 '관측선'과 '탐사정'인데 이건 둘 다 뜻이 비슷해서 엄청나게 헷갈리시더군요. 그 외에는 '공성 전차'는 그냥 탱크, 탱크하는 분들이 대부분이고(저는 이상하게 전차, 전차라고 부릅니다.) 해병, 광전사 정도가 전작 명칭으로 자주 부르시는 것 같습니다. 아, 연결체와 사령부도 넥서스, 커맨드가 대부분이고 연결체 또는 사령부라고 부르면 못 알아듣는 분들이 좀 있네요. 아 저그 중에선 무리군주, 감시군주, 대군주가 제일 헷갈리는 유닛이었는데, 의외로 구분해서 잘 부르십니다. 물론 홍어나 가디언으로 바꿔 부르는 분들도 많지만요.

그래도 블리자드가 의도한대로 대부분의 한글화는 무리 없이 적응되는 것 같습니다. 이제 우려되는건 큰 규모의 리그가 진행될 때, 해설 문제인데 이건 별 걱정할 필요 없다고 보고, 가끔 흥분하거나 긴박할 때는 전작 명칭을 쓸 것 같긴 한데 크게 문제될 것은 없어보입니다.

마지막으로 영어권 유저들과의 소통 문제는 늘 말하지만 유닛 명칭이 문제가 아니라 영어로 소통이 먼저 되야 한다고 생각하고요.(물론 간단하게 유닛 이름을 부르는 것이나, 그런 것은 좀 문제가 될 수도 있긴 하겠는데 팀플레이가 아니고서야 큰 문제는 없을 것 같습니다. 한국 서버에서 플레이하는 외국인도 사실상 얼마 없고, 북미서버에서 플레이하시는 분들은 한정판이나 패키지 구매하신 분들이 아니고서야 대부분 북미쪽 거주하시는 분들인데 영어 소통은 원활하겠죠. 더군다나 영문판으로 플레이하고요. 뭐, 그리고 리그 때 선수들끼리도 마찬가지로 영어의 문제이지 한글화가 문제될 것은 없을 것 같고요. 어차피 곰티비 측에서 한글 해설과 영문 해설을 따로 두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

저는 한글화나 앞으로 문제는 전혀 없다고 봅니다만, 다른 분의 생각이 궁금하네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0/08/21 08:15
수정 아이콘
제가 아는 스타2 하시는 분은 거의 스타2 명칭으로 모두 부릅니다.
당장 여기 피지알에서 빌드같은 거 글 올리시는거 유심히 보시면 알수있죠.
다 스타2에 나오는 용어를 주로 쓰시더군요. 스타1에서 질럿이라 부르던 분들 조차도 스타2에선 스타2 용어를 쓰는 거죠.
제 경우도 그렇습니다. 크.

특히 질럿의 경우는 오히려 광전사로 많이 불리는 듯 하기도 해요.
해병은 마린과 해병을 혼용해 쓰지만, 빌드를 말할때는 해불빌드 해불러쉬라고, 즉 한글로 말하죠. 마불빌드라 하지 않죠.

새로운 유닛들을 한글로 읽는 건 물론 모든 사람들이 거의 다 익숙해진 것 같습니다.
추적자, 불곰, 의료선, 거신, 불멸자, 공허, 무리군주, 바퀴, 대군주, 감염충, 맹독충, 타락귀, 여왕 등등등등...

그리고 스타1에 나오던 유닛, 건물도 사실 상당히 한글에 더 익숙해진 경우도 많습니다.
가령 건설로봇, 사령부, 군수공장, 병영, 공학 연구소, 전투순양함 등등
광전사, 인공 제어소, 수정탑, 연결체, 관문, 광자포, 우주모함 등등,
번식지 가시촉수, 등...(제가 테란 유저라 저그쪽은 좀)

사람에 따라 혼용의 정도는 많이 있지만,
최소한 이거 하나는 스타2 유저들 다 동의하실 겁니다.

발매 전에 우려했던 것.
즉 영문이름을 왜 궂이 한글화해야하나? 라는데 찬반이 격론이 벌어진적이 있었지만...
또 이름은 스타1 팬들에게 고유명사화 되었다, 어색하다 이런 말씀들도 많았는데,(물론 반대 의견도 백중세였죠)
스타2 즐기는 사람들은 모두 너무 익숙해졌다는 거죠.
최소 자기가 해병을 마린이라 부르는 분이라 할지라도, 해병이라 부르는 것에 대해 멀 말하는지도 알고,
또 그게 어색하게 들리지도 않는다는 것.


여튼... 블리자드의 이번 스타2 한글화 정책은 너무 성공적으로 정착된 것 같습니다.
특히 많은 분들이 걱정하셨던 케이스인 방송에서의 용어도,
공성전 보신 분들은 아시겠지만, 전혀 어색하게 들리지 않지요.

결과론적으로 저는 그렇게 생각해요.
많은 걱정이 있었던 이유는 바로 "익숙함"의 문제였다고.
10/08/21 08:25
수정 아이콘
저도 대부분 한글로 부릅니다. 역시 무리군주 감시군주 저만 헷갈리는게 아니었군요...

전투중에 감시군주고치가 보이길래 우아앙 하면서 마린으로 공격했는데 튀어나오는게 홍어가 아닌데;;;
10/08/21 08:40
수정 아이콘
스타1 많이 했지만
절대적으로 한글화 된 명칭을 씁니다.
당연한거 아닌가요
10/08/21 08:54
수정 아이콘
제가 주변 친구들과 게임방에서 스타2 유저들을 관찰결과 거의 한글화된 명칭으로 부르더군요.
근데 1에서 나온 캐릭중에 몇개는 본래 명칭이 너무 익숙해서 그걸 쓰더군요.
10/08/21 09:07
수정 아이콘
게임내에서 한글을 가장 잘 구현하는 회사가 블리자드가 아닐지..
블리자드의 한글화정책을 지지합니다.
10/08/21 09:14
수정 아이콘
주위에 보면 스1 오래한 유저들은 스1과 똑같은 유닛은 이름을

그대로 쓰더군요

앞으로도 그럴껍니다...

예)질럿,드라군,드랍쉽
탈퇴한 회원
10/08/21 09:27
수정 아이콘
북미에서 게임하고 있는데요, 북미서버 한인분들은 대부분 영어를 쓰는것 같네요.

다만 한글화가 정~~말 잘됬다고 생각하는, 불곰, 사신, 파수기, 거신, 무리군주 등등은 거의 한글로 쓰네요.
10/08/21 10:06
수정 아이콘
와우도 그렇고 블리자드가 한글화는 잘하는것 같습니다.

그제 이영호 선수 경기대 정명훈 선수 경기 댓글 중계 보니까 스타2 용어 쓰시는분들이 계시더라고요 크크크크

'망령이 건설로봇을 잡고 있습니다.' 이런식으로..크크
파벨네드베드
10/08/21 10:31
수정 아이콘
거의 한글로 씁니다만...

이상하게 템플러는 고위기사로 부르면서도 사이오닉폭풍은 스톰..
그리고 암흑기사는 다템.. 이렇게 부르네요.
10/08/21 10:54
수정 아이콘
갑작스레 튀어나오는 질럿이~ 마린이~ 이런거 뺴고는 다 한글 씁니다.

갑작스레 튀어나오는 말 아니면 전부 광전사 해병으로 부르구요.


근데 사이오닉 폭풍만큼은 스톰이라고 안하기가 힘든거같아요 흑..
회전목마
10/08/21 11:21
수정 아이콘
제 주변은 거의 대부분 원래 명칭 쓰더군요(질럿, 드라군, 셔틀, 캐리어 심지어는 스카웃까지!!!)
다만 완전 첨보는 거신이나 사신 같은거는 한글로 부르구요
(저는 첨에 사신이 다크템플러인줄 알았습니다 ㅠㅠ)
10/08/21 11:23
수정 아이콘
저도 거의다 한글 쓰는데, 템플러는 왠지 그대로 쓰게 되더군요.
10/08/21 11:48
수정 아이콘
무리군주는 무조건 홍어라고 부르고
프로브 드론 하이브 넥서스 레어 질럿 마린 등은 그냥 영어 명칭을 부르게 되네요....
Ilovenmh
10/08/21 12:36
수정 아이콘
가끔 이름이 생각 안나서 추적자를 스토커라고 부른다던가 의료선을 메디박이라고 부르는건 좀 이상한 케이스였군요. orz [.....]
하심군
10/08/21 12:45
수정 아이콘
요즘 부르기 가장 난감한 용어가 넥서스=연결체지요. 사실 설정같은걸 생각해보면 연결체라고 부르는게 개념번역이 맞긴 합니다만 넥서스라는 단어자체가 좀 자연스럽게 번역하기 힘든 감이 있는것 같더군요. 다른 게임인 '데몬즈 소울'에선 마을이자 피난처인 영어명 넥서스를 쐐기 신전이라고 부르거든요-_- 뭐...이경우에는 데몬즈 소울 일본판을 번역해서 그대로 쓰는것 같긴 합니다만..(데몬즈소울은 일본업체인 프롬 소프트웨어에서 만들었습니다)
10/08/21 13:05
수정 아이콘
유닛은 한글로 많이 쓰고 아직까지 기존 건물들은 아직 영어 명칭을 쓰게 되네요
10/08/21 13:14
수정 아이콘
처음에는 좀 불편하긴 했는데 이젠 거의 스2 명칭 그대로 읽는 편입니다. 그런데 아직도 헷갈리는건 부화장입니다. 해처리-레어-하이브 아직도 이게 익숙하네요.. 부화장-??-군락 레어 단계가 잘 기억이 안나요 ㅜ
그리고 테란은 거의다 스2 명칭으로 읽고 플토 같은 경우는 연결체와 암흑기사 고위기사를 스1 명칭으로 읽습니다.
케이크류
10/08/21 17:23
수정 아이콘
대부분 한글인데 몇몇 단어는 짧고 입에 잘 붙은걸로 씁니다. 스톰이라던지.. 다크라던지.. 레어나 하이브라던지;
닥치고어택땅
10/08/21 17:51
수정 아이콘
한승엽 해설이 전에 서플 깨지는 것을 보고 아 보급창 이러셨었죠.. 전 스2는 한글 이름으로 스1은 읽던대로 그냥 쓰게 되네요
원시제
10/08/21 22:01
수정 아이콘
적잖은 수가 기존유닛은 기존유닛이름으로 부릅니다.
새로 나온 유닛이야 당연히 새 이름으로 부르지만요.

실질적으로 예전 이름으로 부를 수 있는 유닛들, 그러니까
해병, 공성전차, 전투순양함, 보급창 등등
이런건 예전 그대로 마린, 탱크, 배틀, 서플 이렇게 부르는 사람들도 아주 많습니다.

특히 토스 유닛중에서 질럿, 하이템플러 다크템플러, 아칸은 제 주변에서 스타2 하는 사람은
전원 예전 이름 그대로 부르더군요.

새로 나온 유닛이야 당연히 기존 이름이 없으니 한글 이름으로 부르게 되죠.
그것만 보면 마치 한글 이름을 아주 익숙하게 부르는것처럼 느껴지시겠지만,
실제로 이름이 바뀐 유닛의 경우에는 예전 이름을 그대로 부르는 사람이 좀 많습니다.

결국 훨씬 더 익숙해지기 전에는 한차례 머릿속에서 개념 전환의 과정을 거쳐야 한다는 이야기죠.
Crusader[SKY]
10/08/21 23:12
수정 아이콘
저도 새 유닛은 한글 이름으로 부르지만..
스1에 나왔던 유닛이나 건물은 그냥 영어로 부르게 되네요.
마린, 탱크, 템플러, 해처리...
밀가리
10/08/22 06:59
수정 아이콘
재미있는 건 정작 중국어 버전에서는 시즈탱크는 공성탱크로 번역되는 것이고.. 한국어 버전에서는 공성전차로 번역된다는 점일까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399 테란유저인데요 [2] 레몬커피2396 10/08/21 2396
1398 테란너프에대한 지극히 주관적인생각. [95] 통파5096 10/08/21 5096
1397 드디어 다이아입성.. [8] 베일2442 10/08/21 2442
1396 스타 2의 테란크래프트화는 예상된 일.. [19] Snim3521 10/08/21 3521
1395 스타2 한글화 명칭 어느 정도 쓰세요? [25] 빼꼼후다닥3198 10/08/21 3198
1394 유럽에서 열리는 IEM 8강 보셨습니까? (스포) [8] Firehouse2805 10/08/21 2805
1393 아프리카 연승전 BJ -gisado 인터뷰 [10] 구름을벗어난달3323 10/08/20 3323
1392 스타2 명칭에 대한 궁금증이 있습니다. [7] ISUN2559 10/08/20 2559
1391 테저전, 원햇 뮤탈은 어떻습니까? [25] 맹독충4108 10/08/20 4108
1390 스타2를 하면서 게임하곤 상관없는 궁금증이... [3] 리얼리스트가2595 10/08/20 2595
1389 스타2를 하면서 몇가지 느끼는점 [20] 수지3791 10/08/20 3791
1388 스타크래프트 ost에대해 [5] 고마유3837 10/08/19 3837
1387 지금 기사도 연승전 보시는 분 계신가요? [21] 하나4154 10/08/19 4154
1386 토스로 불곰함대를 상대할 방법은 정녕 없는 것입니까? [14] 불멸자4545 10/08/19 4545
1385 초보 저그 유저들 다이아보내기! [11] 0ct0pu53736 10/08/19 3736
1384 곰티비 공성전을 보고 느낀점... [23] 체념토스4941 10/08/19 4941
1383 스타2 클랜 목록 5.0 [4] Fix_me2596 10/08/19 2596
1382 저징징글의 완성본이 나왔네요. [82] Monring6903 10/08/19 6903
1381 승급관련 궁금증이 있습니다. [6] 오줌똥토3010 10/08/18 3010
1380 스타1 유저를 위한 스타2 가이드 [24] 김연우7216 10/08/18 7216
1379 저그유저입니다. [11] 블레이드2872 10/08/18 2872
1378 대테란전에서 파수기를 어떻게해야 잘 쓰는지 궁금하네요. [10] ColdWM3243 10/08/18 3243
1377 제가 지금 미국에 있는데요. [2] 카프카2785 10/08/18 2785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