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Date 2010/08/02 17:57:53
Name 정지원
Subject 스타2 관련기사 떳는데 아무도 안 올리셔서 제가 올립니다.
http://news.nate.com/view/20100802n11490

기사를 보면 그래픽카드를 혹사 시킨다고 나와있는데 저는 07월 25일날 컴퓨터 설치해서 사용중이고 , 컴맹이고 게임전용으로
맞춰서 사용중이라 잘 모르겠습니다만 , 아는분이 컴을 조립해줄때 상당히 신경써줬으며 소음이 없는게 생명이라고 들었는데
유독 스타2만 돌리면 발열이 생각보다 나고 , 소음이 꽤 큽니다.
다른분들은 컴퓨터 어떠신지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0/08/02 17:59
수정 아이콘
예 이건 저도 그렇습니다.

평상시 컴퓨터 온도가 39~43도입니다. 최고사양으로 돌려도 43도죠.

스타크래프트2도 풀옵션으로 하면 43도 나오는데 이게 제라툴 마지막미션이나 케리건죽이는 최후의전투에서

끊기면서 온도가 44도정도까지 올라가는건 이해할 수 있긴한데 그냥

일반적으로 게임하다가 온도보면 갑자기 48도 49도더군요 읭!? 하는순간 컴퓨터다운..........

그래서 꼭 스타크래프트2하면서 온도체크 꼭꼭해주고있어요

컴퓨터날아갈까봐 무섭네요
SentimentalBLEU
10/08/02 19:36
수정 아이콘
스2하다 그래픽카드 하나 날려먹어서 갈은 다음 지금 케이스 뜯고 에어콘 틀어놓고 게임중입니다...
포도사과
10/08/02 20:14
수정 아이콘
i5 750(노 오버)+ gts250 + fsp450w + 삼성 ddr3 2gb+ WD 캐비어 500gb 조합이며
스2를 키고 하드웨어모니터링프로그램으로 온도를 측정해봤습니다.
게임은 서너판 정도 했던 것 같고 프레임이 가장 안나온다는 저그 유저입니다.
옵션은 1400x900대로 최상옵입니다.
로드온도는
CPU(최저/최대)
코어 0 45/66
코어 1 43/67
코어 2 46/68
코어 3 45/69

GPU(최저/최대) 38/63
하드 38/39

집이 더운 환경이라 기본온도가 낮은 편은 아닌데, 게임도중 최대온도가 63도인데 흐흐 살짝 문제가 있나요
사실좀괜찮은
10/08/02 20:31
수정 아이콘
CPU 의존도가 낮은 건 맞는 듯 싶어요. 듀얼코어에서도 풀옵 근처에서 돌아가는 걸 보면...
포도사과
10/08/02 20:39
수정 아이콘
스타2의 여러사이트 벤치결과를 종합하면 어느정도 수준의 vga에 도달하면 그 뒤로는 CPU의 성능에 따라 좌우된다는 평이 많았던 것으로 기억합니다. VGA의 성능이 좋으면 풀옵션, 안티도 걸 수 있지만 기본적인 프레임은 CPU가 뽑는 것 같습니다.
여기서 중요한게 그 CPU의 성능이 코어수가 많은가가 아니라 "클럭수"가 높음에 따라 결정이 됩니다.
i3와 i5를 오버해서 벤치를 돌리면 스타2에선 비슷한 프레임이 나옵니다.
스타2 자체가 CPU를 많이 먹는 프로그램임에도 듀얼코어밖에 지원하지 않아 3:3이나 4:4에서 프레임 저하가 일어나는 상황이 있습니다.
개돼지만한놈
10/08/02 20:52
수정 아이콘
저도 레고르 245 사파이어 hd 5770 사용중인데 평소엔 70도 스타2포함 고사양게임 하면 90도까지 치솟네요 ㅠ.ㅠ 그래서 케이스 열고 사용중입니다..
엔뚜루
10/08/02 21:00
수정 아이콘
쿨러 사세요~ 기본쿨러로 돌릴때 98도 찍었다가~
사제쿨러 사서 돌리니 48~50도 나와요 .....
포도사과
10/08/02 21:00
수정 아이콘
사파이어 5770이 발열이 결코높은 제품이 아닐텐데 문제가 있는거 아닌가요? 아이들이 70도면 확실히 문제가 있는 거 같습니다.
좋은풍경
10/08/02 21:19
수정 아이콘
이거만큼은 확실히, 언플이 아니고 문제가 심각한 듯 합니다.
설사 최신형 게임이라도 그래픽 카드에 과부하 걸게 하면 안되죠. 차라리 안돌아가게 해야 정상.
게다가 솔직히 스타2는 정말 고사양 게임에 비하면 많이 사양이 낮은편인데,
오히려 돌려보면 돌려볼수록 풀옵에서 프레임 저하가 꽤 심하더군요.(가령 캠페인 끝판이라던가)
여러번 세이브 로딩하면 할수록 램을 잡아먹었는지 엄청 느려지는 문제도 있지요.

종합해 봤을때, 저번 제 리뷰의 말을 수정해야겠습니다.
최신형 컴에서도 스타2는 별로 최적화가 안좋습니다.. 라고요.
컴 혹사시키는 겜은 최적화 부분만큼은 좋은 점수를 받을 수가 없죠. 게임성은 뭐.. 다들 아시죠? 저도 일주일동안 미쳐살았..

하루 빨리 패치로 해결바랍니다.
제가 사양높기로 유명한 시리즈인 토탈워 시리즈중 나토를 돌려도 이정도로 컴에 무리(온도 상승)를 불러오진 않은 듯했는데..
포도사과
10/08/02 21:22
수정 아이콘
CPU나 램사용량 부분에 있어서 발적화는 인정하지만 VGA 에 무리를 준다는건 잘모르겠습니다. 저 기사에 어떤 벤치가 있는 것도 아니고
저 기사의 말과 반대로 오히려 일부 유저들은 스타2에서 막아놓은 AA까지 뚫어서 즐기는 판국이라-_-; 임의적으로 프레임 제한을 거는 것에 대한 내용은 이 기사 전까지 본게 없는데 다른분들은 본게 있으신가요
그대가있던계
10/08/02 21:30
수정 아이콘
기사내용이 정확한지는 모르겠으나 확실히 스타2 컴터에 부담을 주긴 주더군요.. 다른게임 아무리해도 아무렇지도 않은 컴터가

스타2 첫날 하다가 2번이나 다운되더군요.. 그래서 본체 한번만져보니 발열이 엄청나길래.. 본체 통풍 잘되는 곳으로 옮기고 나서

플레이 하니까 현재까지는 다운현상이 없는데.. 자꾸 발열체크를 해보게 되네용.
steellord
10/08/02 21:39
수정 아이콘
근데 최적화와 vga의 온도가 무슨 상관인가요?

저도 스타2 종종하는데 확실히 vga에 과부하가 많이 걸립니다.
그 얘기는 vga의 모든 능력을 끝까지 끌어올려 돌린다는 말인데 이게 최적화와는 거리가 멀다라는 주장과의 연관성을 모르겠네요.

그리고 스타2가 스타1만큼 최적화가 않됬다고 하시는분들은 스타1이 처음 발매됬을당시 주로 사용되던 컴사양과 그 컴퓨터로 돌리는 스타1이 어떤지는 못겪어 보신분들이겠죠?
산타아저씨
10/08/02 21:55
수정 아이콘
his 라데온 5750그래픽카드로 1024해상도 17인치 풀옵으로 한 2시간 돌리면 60도 나옵니다.

모니터 새로 장만할 생각인데 음 해상도 올라가면 발열도 엄청 올라갈려나요..
부평의K
10/08/02 23:57
수정 아이콘
아무리 갈궈봤자 어느 정도입니다.

스타2 듀얼코어 지원도 사실 명목상 지원인지라...
i7 920 + 460SLi로 사용중이긴 합니다만. 개인적으로 운영하는 PC방의 i5 750 + 460(768mb)나 큰 차이 없더군요.

뭐 발열도 사실 혹사는 아니죠... 어느정도 3D게임이면 다 저정도 올라갑니다. 그리고 발열한계치가 다 있어서...
큰 무리 없습니다.
빅토리고
10/08/03 08:03
수정 아이콘
그래픽 카드 발열이야 게임돌리면 발생하는 문제지만 최신 게임인데 쿼드코어 지원안하는건 차후에라도 패치를 통해서 지원하게 해줬으면 하네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215 테테전이 신기하게 재밌네요. [6] 김연우3260 10/08/03 3260
1214 자유의 날개 이후의 스토리에 대해서 어떻게 예상하십니까? [5] 물의 정령 운디2629 10/08/03 2629
1213 (질문)제라툴 초상화얻을려고 작업중인데.. [2] 리얼리스트가2465 10/08/03 2465
1212 디지털 구매에 관해 질문드립니다. [2] Love.of.Tears.2687 10/08/02 2687
1211 스타2 관련기사 떳는데 아무도 안 올리셔서 제가 올립니다. [20] 정지원4419 10/08/02 4419
1210 부대지정에 관한 질문입니다, [8] 켄신3548 10/08/02 3548
1209 승급에 관해서 질문이 있습니다.. [5] poibos2196 10/08/02 2196
1208 King of the Beta 에서 Idra 선수 (스포) [10] Firehouse2907 10/08/02 2907
1207 실제 다이아리그와 플래티넘리그의 실력차이는 어느정도 될까 [23] 삭제됨4689 10/08/02 4689
1206 PvsT 바이오닉 상당히 까다로워요 ㅠㅠ [12] 키큰지엠3363 10/08/02 3363
1205 *PGRer ID ver0802* + [배틀넷 잡담]* [24] RENTON2788 10/08/02 2788
1204 마지막 미션 '땅굴벌레' '아주 어려움' 후기 (+팁) [16] 대세는탱구5228 10/08/02 5228
1203 미션 첫번째 갈림길에서~~ [3] 눈물의 싸이오2613 10/08/02 2613
1202 저그유저분들, 바퀴 쓰십니까? [14] 카서스3662 10/08/02 3662
1201 전략?운영? 후반까지 빌드-패사후탱토르전략 [13] 통파2786 10/08/02 2786
1200 패치 되어야 할 인터페이스. [10] nameless..3401 10/08/02 3401
1199 확장팩에서는 화염차 or 시체매, 유령 or 악령, 밤까마귀 or 과학선 선택가능했으면 좋겠네요. [8] 넌좀굶어임마4888 10/08/01 4888
1198 중옵이상에는 비디오 카드성능에 따라 중옵이하는 CPU성능에 따라서 결정되네요. [7] 성야무인Ver 0.002780 10/08/01 2780
1197 저기 스타2 캠페인 난이도 별로 속도가 어떻게 되죠? [3] -Aka3810 10/08/01 3810
1196 메딕은 캠페인에만 나오나요?? [8] 진지한겜블러3174 10/08/01 3174
1195 스타2 싱글 너무 쉽다? [34] 똥꼬털 3가닥처4696 10/08/01 4696
1194 스타2 (저그) 어렵네요.. [6] 후니저그3238 10/08/01 3238
1193 캠페인 매우어려움 난이도에 대한 개인적인 TIP [17] Siriuslee6243 10/08/01 6243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