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 스포츠/연예 관련글을 올리는 게시판입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5/10/26 18:36
남은 경기는 풀로테 돌린다고 선언했습니다. 무고사는 후이즈랑 갭이 좀 있으니까(4골 차) 후반에 주로 나오지 않을까 싶네요.
초반에 엄청 달리다가 여름에 부상자들이 우르르 나와서 좀 주춤했는데, 젊은 선수들이 잘 버텨주는 동시에 수원을 포함한 플옵권 팀들이 치고 올라오지 못 하면서 1위 수성에 성공했네요. 일단은 1+1 계약한 윤정환 감독 잘 붙들고, K2에서도 한계를 드러낸 몇몇 선수들은 적절히 정리해야겠네요.
25/10/26 23:53
강등 바로 다음해에 1부에 있을 때의 전력이 조금이라도 남아 있을 때 바로 승격하지 않으면 다시 승격하기가 참 힘듭니다.
특히나 인천은 전력의 대부분이 남아 있어서 1위 승격이 좀 더 원할했던 것 같네요.
+ 25/10/27 11:19
주요 전력을 그대로 지킨데다, 국내 탑티어급 감독이 매물로 나오자 마자 빠르게 잡아서 승격에 성공했네요. 솔직히, 멤버는 못지않게 좋았지만, 초짜 감독 티를 벗지 못한 변성환의 수원은 수원FC or 제주를 플옵에서 만나는 수렁길(?)로 들어가 버렸습니다. 무엇보다 [[축구는 감독 놀음]] 이라는 걸 뼈저리게 증명한 K2 2025시즌이었네요.
+ 25/10/27 11:40
사실 저는 수원도 잘했다고 생각해요.
인천이 너무 규격외였을 뿐... 외국인 다 지키고 바로우를 추가로 더 데려오는 2부 팀이라니...
+ 25/10/27 12:59
사실 둘의 차이는 감독 차이였죠. 인천이 우승을 해서 가려졌을 뿐, 선수 뎁스나 영입을 고려한다면 수원이 인천보다 장기레이스 측면에서는 더 좋을 수도 있었다고 봅니다. 인천의 경우 경기텀이 1주 간격이긴 했으나 주전 의존도가 심했고, 뎁스는 생각보다 얇았거든요. 거기에 민경현 입대, 박경섭 장기부상, 무고사 부상 등의 악재로 2로빈 부터는 위기가 있었습니다. 그런데 확실히 감독 차이가 컸던게, 브루노 실바 부상 말고는 전력 누수가 거의 없었던 수원은 인천이 부진할 때 같이 미끄러진 반면, 무고사 없어도 톱 신진호, 박호민 등을 잘 활용했고, 거기에 김건희와 박승호를 확실한 주전급으로 키워내며 잘 버텼죠. 특히 6월 15일 수원에서 벌어진 두번째 맞대결에서 승리를 거뒀던게 사실상 올시즌 분수령이었죠. 솔직히 선수단이 규격외는 아니었습니다. 다만 감독이 규격 외 였죠.
변성환은 여러모로 초짜 티를 심하게 냈는데, 작년 플옵 진출 실패 후 다른 팀에 비해 2주나 먼저 동계를 시작해 놓고, 겨우내 준비했던 전술은 불과 3경기 만에 박살나서 새로운 포메이션을 다시 짜는 등 온갖 삽질을 벌이다가, 여름에 인천이 뎁스의 한계를 드러낼때 김포, 부산, 이랜드에 연달아 잡히면서 1위는 커녕, 2위 자리마저 위협받았죠. 특히 8~9월이 최악이었습니다. 윤정환이 강원에 남아있었더라도, 올해 하는 꼬라지로 봤을 때, 우승을 할 수 있었을까 싶네요.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