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 스포츠/연예 관련글을 올리는 게시판입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5/09/29 14:46
무리뉴 이전에는 말 그대로 모레알이었죠. 리옹까지 갈 것도 없이 코파에서 매번 하부리그 클럽에게 털렸으니... 체계적인 팀 스피릿을 갖추기 시작한게 무리뉴부터이지 않나 싶습니다. 물론 그 방식에 부작용이 없진 않아서 무리뉴 본인은 빅이어를 못 든채 분위기 수습을 못하고 나가긴 했지만...
25/09/29 14:58
2010년대 가장 저평가된 센터백. 최전성기 메시를 맨마킹으로 제어할 수 있었던 수비수.
억울하게 퇴장 당한 후에야 메시의 원더골이 터졌지만 세상은 메시의 원더골만 기억하는...
25/09/29 15:44
페페가 억울하게 퇴장당했던 적이 있었을 수도 있겠지만 그보다 비신사적인 수비로 워낙 악명이 높은 선수라...
아마도 같은 여기 소개된 글의 일부였던거 같은데 레알의 수비수가 커버하는 범위가 너무 넓어서 이적 후에 놀랐다는 내용을 본 기억이 있습니다. 자연스럽게 예전보다 비신사적인 행동이 잦을 수 밖에 없었다는 맥락으로 기억하네요. 그리고 페페가 메시를 막았던 경기도 있었지만, 그렇지 못한 경기도 많았지요. 페페가 메시를 막을 수 있었던 수비수라는 표현은 좀 과장된 면이 없지 않나 싶습니다. 전성기 메시는 사실 막을 수 있었던 수비수가 없었다고 말하는게 맞지 않을까요. 경기에 따라 어느 순간 막았을 수는 있었겠지요.
25/09/29 17:54
아마 페페를 수미로 올려서 메시에 맨마킹 붙였던 경기가 10/11 코파 결승과 바로 이어진 챔스 준결 1차전 이렇게 2경기 뿐일 겁니다.
일종의 고육책으로 쓴 건데 효과는 제대로 봤죠. 코파는 연장 끝에 우승했고 챔스에서도 페페 퇴장 전까진 살얼음 걷듯 팽팽했으니까요. 그 퇴장 자체는 오심에 가까웠던 것으로 기억하구요. 그 후에 봉인 해제된 메시의 단독 드리블 원더골이 터졌죠. 프라임 타임 메시가 대인마크로 그 정도 고전했던 상대는 페페 외에는 안 떠오르네요. 다만, 페페를 수미로 올리면 빌드업에 문제가 생기니 자주 쓸 수 있는 옵션은 아니었죠.
25/09/29 18:12
https://soccerline.kr/board/11740431
그 전부터 거칠게 수비하면서 스택 앃다가 스터드 들고 위험한 태클로 찍어버리고 레드 받은거라, 옐로우 카드로 끝낼 수도 있었다는 의견은 있을 수 있지만 오심이나 오심에 가깝다고 평가하긴 좀 무리라 봅니다.
+ 25/09/29 18:35
당시는 오심이란 반응이 대세였는데 정확히 보니 오심은 아니네요. 심판이 위험하다고 판단할 수 있는 플레이인데..
그래도 직접 가격이 없었고, 발이 높고 스터드가 들려 있었지만 공을 향해서 건드렸기 때문에 옐로로 끝날 수도 있지 않았을까.. 하는 당시 레알팬으로서 아쉬움이 있습니다. 엄청 기대하며 밤 새웠는데 경기가 엉뚱한 데서 터져 허무했던 기억이네요.
+ 25/09/29 19:50
페페와 메시하면 페페가 넘어져 있는 메시의 손을 일부러 밟고 지나가다가 퇴장 당한 장면이 워낙 인상이 깊은데요,
10/11 코파 결승전은 보지 못했더래서 좀 찾아보았는데 페페가 메시의 맨마킹에 성공했다는 얘기는 찾을 수가 없었고 "BBC는 조제 모리뉴의 수비 전술이 바르셀로나의 공격을 효과적으로 막아냈다고 평가했으며, 많은 반칙이 나온 거친 경기였다고 평했다. 주심은 8번의 경고를 제시했고, 앙헬 디 마리아는 120분에 두 번째 경고를 받아 퇴장당했다" 정도가 보이네요. 바로 이어진 챔스 준결 1차전이라면 10/11 챔스 준결승 말씀인가요? 역시 풀경기를 보지 못해서 찾아보니 (봤더라도 기억이...) 페페의 반칙이 좀 애매했지만 오심이라는 말은 찾을 수가 없네요. 굳이 따지자면 엘로가 더 가능성이 높았지만 레드였어도 뭐... 정도로 보입니다. 그런데 페페가 그렇게 성공적으로 메시 맨마킹을 했다면 왜 두경기만 페페로 맨마킹을 했었을까 하는 의문이 드네요. 당시 메시는 전성기였고 1명의 수비수가 맨마킹을 성공적으로 할 수 있다면 당연히 그렇게 하는게 가장 좋은 수비방법 아니었을까요?
+ 25/09/29 21:20
(수정됨) 당시 경기 평가와 분위기는 대충 참조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위에 고기반찬님이 가져오신 링크만 봐도 당시 오심 논란이 치열했음을 알 수 있죠. 링크 글 자체가 그에 대한 반박이니까요.) https://namu.wiki/w/%ED%8E%98%ED%8E%98(1983)/%ED%81%B4%EB%9F%BD%20%EA%B2%BD%EB%A0%A5/%EB%A0%88%EC%95%8C%20%EB%A7%88%EB%93%9C%EB%A6%AC%EB%93%9C%20CF#s-6 2011년 4월 27일, UEFA 챔피언스 리그 준결승 1차전 FC 바르셀로나와의 홈 경기에서도 페페는 수비형 미드필더로 선발 출전하였다. 메시를 완전히 지워버리는 등 최고의 활약을 보여주고 있었다. 하지만 후반전에 다니 아우베스에게 태클을 가해 레드 카드를 받아 퇴장당했고, 팀은 홈에서 0-2로 패했다. 비난의 화살은 아우베스를 향했고, 레알 마드리드는 아우베스가 태클당한 것을 격렬히 연기했다고 비난했다. https://www.asiae.co.kr/article/2011042806215838254 '메시 봉쇄카드'이자 수비형 미드필더로 전진배치 됐던 페페가 위협적인 동작으로 퇴장을 당했다. 설상가상으로 판정에 격렬하게 항의하던 무리뉴 감독마저 관중석으로 쫓겨나고 말았다. 페페가 빠지면서 메시는 완벽한 자유를 얻었고, 결국 후반 31분 선제골까지 터뜨렸다. https://www.kns.tv/news/articleView.html?idxno=4097 경기의 중심에는 무리뉴 감독이 ‘El Clasico를 향한 신의 한수’로 선택한 포르투갈 대표팀 출신 중앙수비수인 페페(28)의 ‘중앙수비형 미드필더기용’에 있었다. 페페의 기민하면서 자유로운 움직임은 전반 이어 후반까지 바르샤 ‘공격의 핵’인 메시의 공간을 메워나가며 ‘메시에 의한 메시로 인한 공격’의 맥을 적절히 끊어주고 있었다.
25/09/29 15:32
해축 얘기 개꿀잼..
칸나바로 세리에랑 라 리가, 레알이랑 전술 스타일 다르다며 적응 안 됐다고 하던 사람이 저기선 터줏대감인 것처럼 나오네요(..) 미드필더 세 명도 그렇고 레프트백 마르셀루도 어릴 때라 에인세가 맞지 않나 싶었는데 저 스쿼드가 최다 출전 선수들 스쿼드 맞고, 공, 수, 미드 다 여러 선수들이 비슷비슷하게 골고루 출전했네요. 실속 별론데 그래도 매력적인 세계적 선수들..
25/09/29 16:44
프라임은 어마한데 꾸준하게는 안 되는 거에서 비슷한 느낌의 카사노도 같은 시기 같이 있었는데 둘 다 맨날 그날이였으면 어땠을지 크크
25/09/29 15:54
레알 팬 입장에서는 성격이 지랄맞지만 사실 너무 고마운 선수죠. 그 전에 사온 수비수들이 돈값을 못하던때라 포르투에서 이름이 알려지지 않은 수비수를 '또 비싼돈 주고' 사온다고 했을때 뭔 돈지랄인가 했습니다.
25/09/29 17:02
개인적으로 선수 평가할때 고점의 높이, 고점 언저리를 유지한 기간, 일정 이상 수준의 경기력을 유지한 기간 세가지 기준으로 삼각형이 얼마나 큰지를 중시하는데 모든면에서 대단했다고 생각합니다.
깡페페 이미지가 잘한걸 너무 잡아먹는 느낌이고 본인 업보라 그리 억울할것도 없다 생각하지만 남들 감독 할 나이에 아직도 포루투라는 큰 팀과 포국에서 뛰는건 진짜 아무나 할 수 있는 일이 아님.
|